[include(틀:포켓몬 기술, 격투=, 물리=, 파일=크로스촙.png, 한칭=크로스촙, 일칭=クロスチョップ, 영칭=Cross Chop, 위력=100, 명중=80, PP=5, 효과=양손으로 당수를 상대에게 힘껏 쳐서 공격한다. 급소에 맞기 쉽다., 성질=접촉)]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로 2세대부터 등장한 고위력 격투 타입 기술이다. 급소 보정이 주어지는 기술이므로, 급소에 맞을 확률이 기본적으로 통상의 2배(⅛)가 된다. 물론 여기에 도구 등으로 보정을 더 쌓아주면 급소에 맞을 확률은 더 올라간다. == 상세 == 현재는 [[인파이트]], [[무릎차기#포켓몬스터의 기술]]에 밀리고 있지만, 그래도 3세대까지는 위력 100 이상의 고위력 격투 타입 기술 중에선 가장 안정적인 기술이었다. 덕분에 2세대 당시 악명을 떨치던 레드의 잠만보를 돌파하는 격투 포켓몬의 키 스킬로도 쓰였다. 레드의 잠만보에게도 유효하지만, 실제 대전에서도 [[잠만보]], [[밀탱크]], [[마기라스]], [[블래키]] 등을 자속으로 노릴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 괴력몬을 실전에 투입한다면 꼭 넣었던 기술. [[성원숭]]의 메인웨폰이기도 했으며, 2세대에서는 공격 종족치가 그럭저럭 높은 [[골덕]]이나 [[에레브(포켓몬스터)|에레브]]가 서브웨폰으로 채용하기도 했다. 이보다 위력이 더 높았던 [[힘껏펀치]]는 쓰는 데 심리전이나 [[대타출동]], 수면기 등과의 겸용이 필수였고, [[폭발펀치]]는 명중률이 끔찍하게 낮은데다가 이때는 노가드 같은 특성도 없었기 때문에 쓰기 힘들었다. 또 [[엄청난힘]]은 3세대 시점에선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레지시리즈]], [[테오키스]], [[니드퀸]][* 파레리그 때부터]뿐이어서 범용성이 매우 낮았고, 쓰고 난 후 공격과 방어 랭크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크로스촙은 격투 타입 기술로서 채용 가치가 상당히 높았다. 명중률이 80%인 게 걸림돌이긴 했지만, 간편히 날릴 수 있는 기술 중에선 분명히 가장 강력한 기술이었다. 같은 위력 100 이상의 다른 격투 타입 물리기들과 비교했을 때, 사용에 디메리트가 없으며 나름 괜찮은 부가 효과를 가진 기술로 실전성은 충분히 있다. 하지만 명중률이 80%로 다소 불안한 편인데다가, '''격투 타입 메인 웨폰에는 인파이트라는 넘사벽이 존재한다.'''[* 레벨 업으로 인파이트랑 크로스촙을 둘 다 배우는 포켓몬은 [[성원숭]]밖에 없다.] 명중률 90%도 은근히 잘 빗나가거니와, [[아이언테일|명중률]] [[드래곤다이브|75%]]부터 체감 명중률이 급감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80%의 명중률은 주력기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다. 게다가 크로스촙을 배우는 대부분의 포켓몬들은 인파이트나 무릎차기[* 무릎차기 실패 시 받는 엄청난 반동 대미지 때문에 크로스촙으로 대신하기도 한다.]를 배우거나, 특성이나 배울 수 있는 기술 등에 따라 크로스촙보다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기술들을 배우는 게 대부분이라 채용률이 굉장히 낮다. 가끔씩 [[벌크업(포켓몬스터)|벌크업]]을 쌓아가는 [[하리뭉]]이 랭크 다운 디메리트가 있는 인파이트나 엄청난힘 대신에 이 기술을 대신 채용하기도 하지만, 벌크업과 연계는 '''[[드레인펀치]]'''라는 매우 우수한 기술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쪽으로도 채용 순위가 밀린다.[* 물론 하리뭉은 8세대까지는 드레인펀치를 배우지 못하기에 인파이트의 방어 하락이 거슬린다면 어쩔 수 없이 크로스촙을 써야 했으나, 9세대부터는 드레인펀치를 배우게 되면서 정말로 채용 가치가 떨어졌다.] 크로스촙 [[독개굴]]은 인파이트와 엄청난힘 모두 배울 수 없기 때문에, 고위력 격투 타입 메인 웨폰이 필요하면 어쩔 수 없이 이 기술을 써야만 하지만, 독개굴도 벌크업-드레인펀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잘 채용하지 않는다. 다만, 서브 웨폰으로서는 고위력 격투 타입 기술이라는 것 하나만으로도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교배를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격투 타입 이외의 포켓몬들이 인파이트를 배울 수 없는 경우나 엄청난힘과 더불어 서브 웨폰으로 채용하기도 한다. 다만 거다이맥스 형태의 괴력몬은 급소 3랭크를 쳐야 급소를 100%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실전에서 급소 3랭크를 다 채우는 경우는 거의 없어 이론상 쓰인다 해도 1~2랭크 치는 게 고작이라 노가드-폭발펀치, 근성-인파이트같이 주로 사용되는 전술과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2랭크만 채워도 사실상 급소를 확정적으로 맞힐 수 있는 크로스촙을 써야만 한다. 하지만 '''배우는 포켓몬은 매우 적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인데, '''이 기술을 자력기로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은 [[성원숭]], [[괴력몬]], [[거북손데스]], [[어흥염]], [[가로막구리]]로 5마리 뿐이다.''' 교배 쪽도 [[고라파덕]], [[깜지곰]], [[에레키드]], [[마그비]], [[하리뭉]], [[루카리오]], [[독개굴]], [[루차불]][* 9세대부터] 정도다. 거기다가 정작 인파이트나 드레인펀치마저 못 배우고 엄청난힘을 쓰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큰 [[염무왕]], 급소 보정 고위력기가 없기 때문에 딜러로 애매한 [[드래피온]], 대운 특성을 활용하여 바위/강철 타입을 견제할 기술이 필요한 [[켄호로우]]같이 '''정작 필요한 포켓몬들은 못 배운다'''는 점도 마이너스 요소. 이것의 바위 타입 버전으로 [[스톤에지]]가 있다. 다만, 이쪽은 대체할 수 있는 고위력기도 없고[* 바위 타입 초 고위력기는 양날박치기와 암석포가 있지만 양날박치기는 ½만큼 반동 피해를 입기 때문에 돌머리 특성의 포켓몬이 아니라면 막 쓸 수 없는데다 암석포는 1턴을 쉬어야 한다는 페널티가 있다.] 배우는 포켓몬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범용성이 매우 높다. 애니메이션 국내판에서는 무인편에서 AG 초기까지 ''''십자당수''''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포켓몬 GO]]에서는 위력 50에 2차징 기술이다. 위력이 같은 2차징인 폭발펀치보다 40이나 떨어져서 기술의 딜레이가 적은 걸 감안해도 레이드에서는 쓸 일이 없지만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요구 에너지가 35밖에 안 돼서 매우 유용하게 쓸 수있다. 물론 트레이너 배틀에서도 대미지 효율 자체는 인파이트나 폭발펀치가 훨씬 좋지만, 실드 시스템이 있고 상대가 먼저 스페셜 어택으로 선수를 칠 수도 있는 트레이너 배틀의 특성상 크로스촙은 좋은 기술이다. 다만 활용할 수 있는 포켓몬은 본가보다 훨씬 적어서 최종 진화형 중 배우는 포켓몬은 괴력몬, 성원숭(레거시), 골덕, 가로막구리 뿐이다. [[분류:포켓몬스터/격투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