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재난]][[분류:탈선 사고]][[분류:2016년 철도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파일: 크로이던 전차 탈선.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_PhLSGxCAk)]}}}|| || [[BBC]] 런던 뉴스의 크로이던 트램 사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5m072-QJ9s)]}}}|| || [[Sky(회사)|Sky]] 뉴스의 크로이던 트램 사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dIvW2GuMkg)]}}}|| || [[Sky(회사)|Sky]] 뉴스의 크로이던 트램 사고 과정 상세 설명 (재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7a02DNZD5M)]}}}|| || [[ITV(영국)|ITV]] 뉴스의 크로이던 트램 사고 || [목차] == 개요 == '''Croydon Tram Derailment''' [[2016년]] [[11월 9일]] [[영국]] 크로이던에서 일어난 [[노면전차]] 탈선 사고. == 사고 당시 == 당시 비가 오던 가운데 [[런던 트램]] 소속 2551번 노면전차, 기종 봄바르디어 CR4000[[https://en.m.wikipedia.org/wiki/Bombardier_CR4000|#]]은 5시 50분 쯤 뉴 에딩턴 역을 지나 [[윔블던]]으로 향하던 중 샌디랜즈 정류소 앞 급 커브 구간에서 속도를 너무 빨리 내는 바람에 6시 10분 전차가 균형을 잃고 '''탈선했다.''' 샌디랜즈 정류소 전의 커브 구간은 너무 급격히 꺾이는 구간이었고 20km까지 줄여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고 제한속도의 3배를 넘는 시속 73km로 진입한 것이 화를 불렀다. 2551이 탈선하면서 무전이 끊기자 샌디랜즈에서 뉴 에딩턴으로 향하다가 2554번 노면전차는 상황을 확인하려고 했는데 2551번이 탈선한 것을 보고 911에 신고했다. 승객들은 창문을 깨고 빠져나왔고 핸드폰으로 911에 신고했다. 부상자들을 이송하기 위해 22대의 구급차가 동원됐고 부상자들은 인근 크로이던 대학병원, [[투팅]]의 성 요셉 병원으로 이송됐다. 결국 이 사고로 '''7명이 사망하고 62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는 1959년 있었던 노면전차 사고 이후 없었던 영국 노면전차 무사고 기록을 깨 버렸다. == 사고 이후 == 이 사고로 윔블던을 연결하는 구간의 모든 전차 운행이 11월 18일까지 중단됐으며 인근 도로도 통제되어서 크로이든 지역 주민들이 교통체증을 겪어야 했다. 차량 조사 결과 트램은 아무런 문제 없이 멀쩡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로 사고 원인이 초점이 맞춰졌고 사고 원인은 운전자의 [[졸음운전]]으로 밝혀졌으며 커브구간에서 속도를 줄이라는 표지판이 커브와 너무 가까이 설치되어 있어 반응을 느리게 할수 있다는 의견이 지적되었다. 2019년 사고 지역 인근에 추모비가 세워졌다.[[https://www.bbc.com/news/uk-england-london-41920267|#]] == 유사 사고 == * [[타코마 노면전차 참사]] * [[맬본 스트리트 탈선사고]] *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 [[발렌시아 지하철 탈선 사고]] * [[스페인 갈리시아 고속열차 탈선사고]] * [[필라델피아 암트랙 탈선사고]] * [[시애틀 암트랙 탈선 사고]] * [[대만 이란선 열차 탈선 사고]] 전부 열차가 커브 구간에서 과속하면서 일어난 사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