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utzer, Kreuzer 중세 게르만 어로 사거리「kriuz(e)」 부근에 사는 주민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튜튼기사단]] 단원을 뜻하는 용어 'kriuzære'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목차] == 크로이처 동화(銅貨) == 옛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 등지에서 사용된 동전. [[십자가]] 모양이 새겨져 있다고 해서 '크로이처(Kreuzer)'라는 이름이 붙었다. 독일어로는 십자가를 크로이츠(Kreuz)라고 하기 때문. 가령 '갈고리 십자가'는 독일어로 [[하켄크로이츠]]라고 한다. 1 크로이처는 약 4 페니히 정도의 가치를 지녔고, 독일에서는 60 크로이처,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는 100 크로이처가 1 굴덴의 가치를 지녔다. == 크로이처 소나타 == ===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 [include(틀:루트비히 판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번 '크로이처''''(Sonate für Violine No. 9 'Kreutzer' in A major, Op. 47). [[파일:external/assets6.classicfm.com/kreutzer-sonata-beethoven--1363186450-view-0.jpg]] ▲크로이처 소나타 초판본 표지 [youtube(UQSEmnm9ez4)] ▲영화 [[불멸의 연인|불멸의 연인(Immortal Beloved)]]에서 크로이처 소나타가 연주되는 장면 일명 '협주곡 스타일의 소나타'[* 본래 소나타는 실내악곡에 속하지만, 이 곡은 홀처럼 넓은 곳에서 연주해야 제맛이란 소리이다.]로 1803년 작곡. 작품 구성은 다음과 같다. * 1악장, A장조-A단조: Adagio sostenuto(느리고 침착하게) - [[프레스토|Presto]] * 2악장, F장조: Andante con Variazioni(느린 변주곡) * 3악장 피날레, A장조: Presto [[프랑스]]의 바이올리니스트인 로돌프 크로이처(1766 ~ 1831)에게 헌정된 바이올린 소나타. 본래 베토벤은 친구이자 [[영국]]의 흑인혼혈 바이올리니스트인 조지 브리지타워(1780 ~ 1860)를 위해 이 곡을 작곡했고 그에게 갔'''었'''다. 일단 초연도 둘이서 치렀다. 그런데 뒷풀이를 하며 브리지타워가 당시 베토벤의 여자친구를 비난하자, 화가 난 베토벤이 그와 연을 끊어버리고 헌정 사실도 말소해 버린 뒤 생판 만난 적도 없는 크로이처에게 가게 된 것. 정작 로돌프 크로이처 본인은 '난폭하고 이해불가의 연주불가능한 곡'이라면서 연주는커녕 거들떠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현재 이 곡에 대한 평가는 바이올린 소나타 장르의 최정점에 위치하는 걸작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진정한 의미의 대등한 구도로 불꽃튀는 접전을 펼치는데 특히 1악장은 격정적인 두 악기의 협주를 통해 피아니스트와 바이올리니스트의 진검 대결을 느끼게 된다. [[레프 톨스토이]]는 이 곡을 모티브로 아래의 문제적 소설을 썼다. 일본 애니메이션 [[클래시컬로이드]]에서 [[베토벤(클래시컬로이드)|베토벤]]이 뮤지크를 사용할 때 나온 곡으로 A단조 부분을 사용했다. 다른 뮤지크 곡들과 마찬가지로 현대화에 맞추어서 기타 연주로 나왔다. 일본 만화/애니메이션 [[4월은 너의 거짓말]]에서 [[미야조노 카오리]]의 콩쿠르 연주곡으로 등장한다. 일본의 작곡가 [[a_hisa]]가 편곡하기도 했다. [[https://youtu.be/Y1X47K49QlE|#]] [[분류:실내악]] [[분류: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작품]] ===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 [[크로이체르 소나타]] 참조. == [[독일]]의 피아니스트 == 레오니트 크로이처(1884년 1월 13일 ~ 1953년 10월 30일). [[독일어]]: Leonid Kreutzer [[러시아어]]: Леонид Давидович Крейцер (레오니트 다비도노비치 크레이체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태생으로 [[독일]]의 피아니스트. 유태인이기 때문에 나치에 의해 추방된 후 [[일본]]에 정착하여 [[쇼팽]]의 피아노 작품 교정판을 출판하는 등 음악 연구가로서의 삶을 살았다. 죽을 때까지 일본 [[도쿄]]에서 살았으며 일본 피아노계에 업적을 남였다. [[피아니스트]]의 실제 주인공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이 그를 [[사사]]한 바 있다. == [[악튜러스]]의 등장인물 == [[위스텐 크로이체르]] 항목 참고. ==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 == 아래 두 항목을 참고. * [[로자라인 폰 크로이처]] * [[카테로제 폰 크로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