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항공병기)] [[파일:weborion-male-uav.jpg]] [목차] Кронштадт Орион (Kronshtadt Orion) == 개요 == 러시아의 첫번째 중고도 장거리 [[무인기]](UAV) 시스템. == 상세 == 날개길이는 15m. 카본파이버 동체이다. 모든 제어는 전자적으로 하며 유압등은 없다, fly-by-wire. 러시아 특유의 날씨 조건에서도 동작할 수 있게 성에제거 시스템이 되어 있다. 따라서 더 넓은 작전가능 지역을 가진다. 심지어 북극권까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지상기지 혹은 트럭을 이용한 센터를 통해 최대 6대까지 운영할 수 있다고 한다. Kronshtadt (KT) 그룹이 2011년 [[러시아]]의 MoD를 받아 개발되었고, 초기에는 감시정찰 업무만 부여되었으나 무장버전도 개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 [[2017년]] [[7월]] 러시아 MAKS 전시회에서 KT가 공개하였고, 서방의 부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개발되었으며 즉각 양산에 돌입할 수 있다고 하였다. [[2017년]] [[9월]]부터 지상 시운전을 시작한다고 한다. 대략 미국의 [[MQ-1]] 프레데터 무인기 보다는 절반 정도로 작은 편이고 터키의 [[바이락타르 TB2]] 보다는 2배 가까이 큰 편이다. 가격도 TB-2 의 약 2배 정도 가격으로 알려졌다. TB-2 처럼 무인기 전용의 가벼운 대전차 미사일을 사용한다. 터키의 TB-2 가 중동 등 무기수출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자 러시아도 서북부 콜라반도와 동부의 캄차카 반도에 배치하고 수출에도 적극적이다. 이번 MAKS-2021 에서 수출 계약도 체결 되는 등 큰 성과가 있었다. [[https://tass.ru/armiya-i-opk/11940861|#]] 2021년 8월 30일 JSC "Kronshtadt"는 해외를 포함한 고객을 위해 생산을 현지화할 계획 이며 이것은 모스크바 지역에서 열린 국제 군사 기술 포럼 "Army-2021"에서 기업 CEO Sergei Bogatikov의 대표이사가 TASS 통신을 통해 공식 브리핑 하였다. [[https://tass.ru/armiya-i-opk/12249801|#]] 또한, 지난 8월 26일 Rosoboronexport는 현재 20개국 이상에서 Orlan-10E에 대한 신청서를 받았으며, 최근에 세계 시장에 출시된 Orion-E 정찰 및 타격 무인 항공기에 대한 약 10개의 신청서를 작업 중"이라고 공식 브리핑 했다. [[https://tass.ru/armiya-i-opk/12223557|#]] 2021년 9월 1일 러시아의 무인 드론 전문 제작 업체인 크론슈타트(사) 에서 가까운 해외 국가에 전투용 UAV 공급을 위한 첫 번째 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며 인도는 내년 부터 시작 된다고 공식 브리핑 하였다. 앞서 "Kronstadt"는 정찰 및 타격 UAV "Orion-E" 조달에 20개국의 관심을 발표 하였으며, 이것은 러시아 전투 UAV 수출 계약의 첫 번째 공개 발표 라고 한다. [[https://armstrade.org/includes/periodics/news/2021/0901/125064326/detail.shtml|#]] 2021년 9월 8일 “러시아의 공격형 무인항공기 오리온은 최근 시험장에서 전투시험을 치르는 동안 100kg의 무유도 공중폭탄으로 4km 높이에서 '탱크'형 표적을 명중했다. 이러한 지표는 고정밀 유도무기의 특성에 해당하며 새로운 조준 및 항법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고 한 소식통은 RIA Novosti에 발표 했다. [[https://anna-news.info/udarnyj-bespilotnik-orion-ispytal-novyj-pritselnyj-kompleks/?utm_source=yxnews&utm_medium=desktop|#]] 2021년 10월 11일 최신 크론슈타트 오리온 무인 UAV는 영하 50도에서 영상 50도의 온도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북극과 남극의 극한 기온 상황 에서도 정찰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tass.ru/armiya-i-opk/12625737|#]] 2021년 10월 11일 JSC Kronshtadt가 2021년 연말 Dubna에 오픈될 예정인 무인 항공기(UAV) 생산 공장에서 "Orion-E", "Sirius" 및 기타 여러 종류의 무인항공기를 연간 수십 대씩 생산할 수 있게 된다고 발표하였다. [[https://tass.ru/armiya-i-opk/12626321|#]] 또한, 최신 무인항공기(UAV) '오리온'은 위성 통신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제어할 수 있다고 밝혔다. [[https://tass.ru/armiya-i-opk/12626355|#]] 2021년 10월 11일 타스: 최신 오리온 무인항공기(UAV)는 개방형 아키텍처 방식을 적용해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모든 무장을 장착하여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https://tass.ru/armiya-i-opk/12625887|#]] == 성능 == || '''최대이륙중량''' || 1,000 kg || || '''Payload''' || 200kg || || '''최대속도''' || 200 km/h || || '''순항속도''' || 120 km/h || || '''최대고도''' || 7500 m || || '''운항거리''' || 250 km || || '''비행지속시간''' || 24 hr. || || '''추진''' || 슈퍼차저 디젤엔진 구동 프로펠러 || || '''통신''' ||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한 초저주파 대역 지상통신.[* 통신 도달 거리를 길게하고자 이 대역을 선택한 듯.] || || '''감시시스템''' || VIS/NIR 대역 카메라/gyro 안정화 소형터렛, AESA radar, Rf 검출기 || == 매체 == [[워 썬더]]에 드론 업데이트를 통해서 [[MQ-1]], [[CAIG 윙룽]]과 함께 추가되었다. [각주] [[분류:드론]][[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정찰기]] [include(틀:포크됨2, title=크론슈타트 오리온, d=2022-07-12 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