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ddd '''이탈리아의 축구 코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리스티안 스텔리니.jpg|width=100%]]}}} || ||<-2> '''이름''' || {{{+1 '''크리스티안 스텔리니'''}}}[br]'''Cristian Stellini''' || ||<-2> '''출생''' ||[[1974년]] [[4월 27일]] ([age(1974-04-27)]세) / [br] {{{-1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 바레세 도 부스토 아르시치오 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 '''신체''' ||[[키(신체)|키]] 180cm || ||<-2> ''' 직업''' ||[[축구선수]] ([[레프트백]], [[센터백]] / ^^은퇴^^)[br][[축구감독]]|| ||<|2> '''소속''' || '''선수''' ||[[노바라 칼초]] (1991~1992 / ^^유스^^)[br][[노바라 칼초]] (1992~1994)[br][[SPAL]] (1994~1996)[br][[테르나나 칼초]] (1996~2000)[br][[코모 1907]] (2000~2003)[br][[모데나 FC]] (2003)[br][[제노아 CFC]] (2004~2007)[br][[SSC 바리|AC 바리]] (2007~2010) || || '''감독''' ||[[ACN 시에나|AC 시에나]] (2010~2011 / ^^테크니컬 코치^^)[br]{{{-1 [[유벤투스 FC]] (2011~2012 / ^^테크니컬 코치^^)}}}[br][[제노아 CFC]] U-19 (2015~2017)[br][[US 알레산드리아 칼초 1912]] (2017)[br]'''{{{-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나치오날레]] (2019~2021 / ^^수석 코치^^)}}}'''[br]'''{{{-1 [[토트넘 홋스퍼 FC]] (2021~2023 / ^^수석 코치^^)}}}''' [br][[토트넘 홋스퍼 FC]] (2023 / ^^감독 대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코치]]. [[안토니오 콘테]] 사단 소속이다. == 지도자 경력 == [[안토니오 콘테]]를 따라 인테르에 합류해 20/21 시즌 스쿠데토를 안겨주었다. 이후 콘테가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의 감독이 되면서 본인은 토트넘 수석코치로 부임하게 되었다. [[2023년]] [[3월 26일]], 토트넘이 [[안토니오 콘테]]와 상호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하였지만, 함께 떠날 거라는 모두의 예상과 달리 팀에 잔류하여 잔여 시즌 동안 감독 대행을 맡게 되었다. [[에버튼 FC|에버튼]]전에서 콘테와 다를 것 없는 끔찍한 경기력을 보였다. 상대가 강등권 팀인 데다 한 명이 퇴장당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루카스 모우라]]가 무리한 태클로 퇴장당하며 균형이 맞춰지고 결국 [[마이클 킨]]에게 90분 동점골을 허용했다. [[사우스햄튼 FC|사우스햄튼]]전에 이어 토트넘은 강등권 팀에게 2연속으로 다 잡은 승리를 놓치며 리그 4위 싸움에 매우 불리해졌다.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브라이튼]]전에서는 경기 시작 전부터 [[로베르토 데 제르비]]와 신경전을 벌이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후반 중반 갑자기 양 팀 스태프들 간 싸움이 벌어지며 '''양 팀 감독이 동시 퇴장을 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다만 초반에 신경전을 벌이긴 했어도, 퇴장의 단초가 된 싸움에서 데 제르비 감독과 싸운 사람은 스텔리니가 아닌 [[스테파노 브루노]] 피트니스 코치였는데 뜬금없이 본인이 레드카드를 받는 바람에 어이없어하는 표정으로 필드를 떠났다.[* 스텔리니가 퇴장 판정을 받은 이유는 코칭스태프들이 단체로 싸움이 일어날 경우, 이를 중재하지 못한 감독이 그 책임을 지기 때문이다.] 결국 이 경기는 감독의 대행의 대행인 [[라이언 메이슨]]이 코칭했다. 31R [[AFC 본머스]]전, 경기 직전에 공격적인 축구를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줬고 팀은 수비진의 호러쇼로 3-2로 패배했다. 32R [[뉴캐슬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3백을 버리고 4백을 들고 나왔는데, '''전반 20분 만에 5골'''[* 2019년에 [[맨체스터 시티 FC|맨시티]]를 상대로 18분만에 5실점을 당한 [[왓포드 FC|왓포드]]에 이어 2번째로 최단 시간에 5실점을 기록했다.]을 먹히는 대참사 끝에 6-1로 완패를 당했다. 이날 공격적으로 4백으로 나섰으나, 4백 구성원 중 [[이반 페리시치]], [[에릭 다이어]], [[페드로 포로]]는 수비력이 부족한 선수였다. 그나마 제 역할을 해내던 [[크리스티안 로메로]]마저 4백 체제 안에서 부진하였고, 결국 뉴캐슬 선수들에게 처참히 농락당하고 말았다. 또한 이날 선발로 나선 [[파페 사르]]는 4백을 전혀 커버하지 못하며 스텔리니 감독의 전술적 미스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뉴캐슬전 대참사 때문에 맷 로를 비롯한 유력 기자들과 일부 언론은 토트넘이 감독 대행 스텔리니마저 경질하고 잔여 시즌을 '''감독 대행의 대행인''' [[라이언 메이슨]]으로 갈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결국 다음 날 구단의 다니엘 레비 회장 공식 발표를 통해 전격 경질되었고, 이에 따라 함께했던 [[안토니오 콘테]] 사단 인원이 전부 토트넘을 떠나게 되었다.[[https://www.tottenhamhotspur.com/news/2023/april/club-update-from-daniel/|#]] == 여담 == * [[인테르]] 수석코치 시절 [[디에고 고딘]]의 머리 +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의 얼굴을 더하면 스텔리니가 된다는 드립이 있었다. * [[가가멜]]을 닮았다는 드립이 있다. * 워낙 본인 사단의 감독이 [[안토니오 콘테|한 성격 하는 인물]]인 만큼 [[퇴장|감독 대행을 맡는 일]]이 잦다. * 말하는 스텐스가 매우 중립적이라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피력하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벌어진다. * 재밌는 점은 토트넘에서 감독 대행을 맡은 후 경기는 모두 승리했었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콘테의 전술과 전략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가장 잘 아는 인물 중 한 명 이기에 큰 변수 없이 치를 수 있었기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2월 16일, 콘테가 담낭염 수술 후 회복을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간 동안 스텔리니가 다시 팀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 2월 20일, PL 24R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웨스트햄]]전 홈 경기에서 다시 2-0 승리를 거뒀다. 그 다음 경기인 27일, PL 25R [[첼시 FC|첼시]]와의 경기에서도 2-0 클린시트로 승리해 토트넘에서 감독 대행 자격으로 8전 8승을 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 100% 승률의 기록은 3월 2일 22-23 FA컵 16강전 [[셰필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무기력하게 0-1로 패배하면서 막을 내렸다. * JD Football 진행자 크레이그 미치는 스텔리니가 그저 콘테의 넘버2일 뿐이라며 감독대행으로 앉힌 토트넘의 무계획성을 비판했다.[[https://youtu.be/Wi7Iu_Ekwrc|#]] [[분류:1974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이탈리아의 축구감독]][[분류:감독 대행/축구]][[분류:부스토 아르시치오 출신 인물]][[분류:노바라 칼초/은퇴, 이적]][[분류:SPAL/은퇴, 이적]][[분류:테르나나 칼초/은퇴, 이적]][[분류:코모 1907/은퇴, 이적]][[분류:제노아 CFC/은퇴, 이적]][[분류:SSC 바리/은퇴, 이적]][[분류:US 알레산드리아 칼초 1912/역대 감독]][[분류:토트넘 홋스퍼 FC/역대 감독]][[분류:롬바르디아 주 출신 인물]][[분류:1992년 데뷔]][[분류:2010년 은퇴]][[분류:수비수]][[분류:레프트백]][[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