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고'''}}}[br]'''2023 Crimean Bridge Explosi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717_175823.jpg|width=100%]]}}}|| ||<-2> '''{{{#FFF 상판이 주저앉은 러시아 쪽 도로 교량}}}''' || || '''{{{#fff 발생 시각}}}''' ||<-0> [[2023년]] [[7월 17일]] 오전 3시 4분~20분{{{-3 ([[UTC]]+03:00)}}} || ||<-2> '''{{{#fff 장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kerch krymskiy most, 높이=200, 너비=100%)]}}}[[크림 반도]] [[케르치]] 해상 [[크림 대교]] || ||<-2> '''{{{#fff 원인}}}''' || ||<-2> '''[[우크라이나 보안국]]과 [[우크라이나 해군|해군]]의 수중 드론 타격''' || ||<-2> '''{{{#fff 피해 규모}}}''' || ||<-2> 2명 사망, 1명 부상 [br]일시적 통행중단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7월 17일 [[크림 대교]]에서 발생한 또 한번의 폭발 사건. 2022년 [[크림 대교 붕괴 사건]]에 이어 두 번째로 전쟁중 크림 대교가 손상을 받은 사건이다. 145번 교각이 타격을 입었다. 9월 15일 사건 발생 이후 59일만에 완전 복구 되었다. 이는 예정보다 하루 일찍 완료된것이다. == 상세 == 2023년 7월 17일 크림 대교에서 폭발음이 들리고 비상 상황을 이유로 도로 교통이 통제되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traffic-stopped-crimean-bridge-due-emergency-russian-backed-governor-2023-07-17/|#]] 다리 일부가 손상된 영상이 촬영되었다.[[https://twitter.com/warmonitors/status/1680755588567801858?s=46|#]] 차도 상판 일부가 옆으로 꺾인 것이 확인되었다.[[https://youtu.be/4qNZ6-1QchU|#]] 러시아 반테러위원회는 이를 우크라이나의 수중 드론 타격이라고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526754?sid=104|#]] 1차 폭발 때와는 달리 군수물자 상당수가 이동하는 철교는 피해를 입지 않아, 현지 시간 9시에 운행이 재개되었다. [[CNN]]은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내 소식통을 인용하여, 우크라이나 보안국과 [[우크라이나 해군]]의 연합작전으로 붕괴한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사실을 공표하는 것이 당국자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이기에 소식통의 신원은 비공개로 한다고도 덧붙였다. [[https://edition.cnn.com/2023/07/16/europe/russia-crimea-bridge-intl-hnk/index.html|#]] 폭발 당시 다리를 통행하던 러시아인 부부가 사망하였고, 딸이 중상을 입었다.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parents-killed-daughter-injured-crimea-bridge-emergency-russian-governor-2023-07-17/|#]] 2023년 8월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특별히 제작한 수상드론 시베이비(Sea baby)와 크림대교를 공격하는 당시의 영상을 공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94lVNtEa_-4|#]] == 영향 ==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2022년 흑해 항로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에 대해선 사전에 결정된 사항이라면서 직접적으로 부인했다.[[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07-17-23/h_46761334c24f297c0eb2845427fedea3|#]] 이후 우크라이나의 흑해 곡물 수출항인 [[오데사]]에 러시아군의 대규모 공습이 이어졌는데 언론은 흑해 항로 협상보다는 이쪽을 크림 대교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89848?sid=104|#]] 이에 우크라이나도 반격하여 크림 반도의 탄약고를 공습하는 등 상호 보복이 이어지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77386?sid=104|#]]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건 사고]][[분류:교량 사고]][[분류:2023년 재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