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하반신]][[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adductor magnus'' '''}}}[br]{{{#ffffff ''' ''(큰모음근, 대내전근)'' '''}}} || || [[파일:바깥폐쇄근앞쪽.jpg|width=100%]][* 그림에서는 오른쪽 큰모음근만 나타내었다. 큰모음근이 짧은모음근(adductor brevis m.)이나 긴모음근(adductor longus m.)보다 깊이 존재하므로, 두 근육에 덮여서 큰모음근이 둘로 나뉜 것처럼 보인다.] || [[파일:큰모음근.jpg|width=100%]][* 초록색 표시된 게 오른쪽 큰모음근으로, 겉에 있는 긴모음근과 짧은모음근을 제거한 뒤의 모습이다. 같이 있는 근육들은 가쪽에서 안쪽의 순서로 [[넙다리근막긴장근]], [[가쪽넓은근]], [[두덩정강근]]이다.] || || 이는 곳[br](origin) || 모음근부분: 궁둥두덩가지(ischiopubic ramus)[br]폄근부분: 궁둥뼈결절(ischial tuberosity) || || 닿는 곳[br](insertion) || 모음근부분: 볼기근거친면~거친선, 안쪽관절융기위능선(gluteal tuberosity~linea aspera, medial supracondylar line)[br]폄근부분: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osity) || || 동맥[br](artery) || 깊은넙다리동맥[br](deep femoral artery) || || 신경[br](nerve) || 모음근부분: 폐쇄신경 뒷가지(posterior branch of obturator nerve)[br]폄근부분: 궁둥신경의 정강신경 부분(tibial portion of sciatic nerve) || || 기능[br](action) || 넓적다리 모음, 굽힘[* 모음근부분만], 폄[* 폄근부분만][br](adduction, flexion, extension of thigh) || [목차] [clearfix] == 개요 == 큰모음근(adductor magnus muscle)은 넓적다리 안쪽칸(medial compartment)에서 가장 큰 세모꼴의 근육으로, 모음근부분(pubofemoral; adductor part)과 폄근부분(ischiocondylar; hamstring part)으로 나뉜다. == 구조 == 큰모음근이 닿는 [[넙다리뼈]] 뒤쪽면의 긴 선(볼기근거친면~넙다리뼈 거친선~안쪽관절융기위능선[* 이 선이 표에도 나와있듯 모음근부분의 닿는곳이다.])을 따라서, 큰모음근은 널힘줄(aponeurosis; 건막)[* 힘줄이 막처럼 매우 얇고 넓게 펴진 것.]이 되어 붙는다. 이때, 모음근부분 닿는곳의 널힘줄에서는 보통 세네 개의 뚝뚝 끊긴 구멍들이 보이는데, 이 구멍들로 [[깊은넙다리동맥]](profunda femoris; deep femoral artery)의 관통가지들(perforating braches)이 지나간다. 한편, 모음근부분의 널힘줄이 끝난 부분과 폄근부분이 닿는곳인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cle)[* 그림에서 큰모음근 닿는곳 중 혼자 뚝 떨어진 부분이 폄근부분 닿는곳인 모음근결절이다.] 사이의 다른 구멍들보다 큰 틈새를 모음근구멍(adductor hiatus)이라고 부른다. 이 부분은 [[모음근굴]](adductor canal)을 빠져나온 [[넙다리동맥]]과 [[넙다리정맥]]이 뒤쪽으로 빠져서 [[오금]](popliteus)으로 가기 위해 지나가는 틈새이다. === 모음근부분 === 모음근부분(adductor part)은 큰모음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이는곳은 궁둥뼈와 두덩뼈가 만나는 부분인 궁둥두덩가지, 닿는곳은 볼기근거친면부터 안쪽관절융기위능선까지 이어지는, 넙다리뼈의 거친선을 포함하는 매우 긴 일련의 선이다. 이 부분을 영어로 부르는 adductor part 외의 다른 용어인 pubofemoral part는 이 부분이 두덩뼈(pubis) 근처에서 일어나서 넙다리뼈(femur) 뒤쪽면에 길게 닿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 부분의 닿는곳은 상술했듯 막 형태의 힘줄인 널힘줄로 이루어져 있다. 역시 앞에서 얘기했듯, 이 모음근부분에 존재하는 작은 세네 개의 구멍들로 깊은넙다리동맥의 관통가지들이 통과한다. 신경의 지배는 폐쇄신경의 뒤쪽가지가 와서 붙는다. === 폄근부분 === 폄근부분(hamstring part)[* [[햄스트링]] 근육인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두갈래근]] 모두가 넓적다리 뒤칸(posterior compartment)에서 넓적다리를 펴므로 햄스트링 부분이 곧 폄근부분이 되는 것이다.]은 모음근구멍의 밑쪽에 존재하는 큰모음근의 부분이다. 폄근부분은 모음근부분이 일어나는 궁둥두덩가지보다 안쪽인 궁둥뼈결절에서 일어나고, 닿는곳은 넙다리뼈의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에 존재하는 모음근결절이다. 이는곳이 궁둥뼈(ischium)이고, 닿는곳이 융기(condyle)이므로 ischiocondylar part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이 부분을 지배하는 신경은 궁둥신경, 그 중에서도 다리 뒤쪽칸으로 주행하는 정강신경 성분이다. == 기능 == 모음근부분이든 폄근부분이든 두 부분이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은 넓적다리의 모음이다. 이름에 모음근이 붙는 것은 이 근육이 [[긴모음근]], [[짧은모음근]]과 함께 넓적다리 모음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굽힘/폄에 있어서는 두 부분의 작용이 다르다. 이름 그대로, 폄근부분은 넓적다리를 펴는 데에 도움을 주고, 모음근부분은 넓적다리를 굽히는 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