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클래스물]][[분류:야만전사물]][[분류:한국 판타지 소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클래스물)]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판타지 소설/한국, top2=판타지 웹소설, top3=게임 빙의물, top4=책빙의물, top5=아카데미물)] [목차] == 개요 == 클래스 개념을 사용하거나 혼용한[* 이종족물. 인외물.] [[한국 판타지 소설]]의 클래스 종류 분류 문서. == 종류 == * [[:분류:직업(판타지)]]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전사 === === 야만전사 === [[바바리안 퀘스트]],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 이후 [[바바리안|야만전사 주인공]]을 컨셉으로 한 일련의 유행. 야만전사물의 주인공은 문명세계와 정 반대에 위치한 야만의 전사이며, 마법과 검기로 대표되는 판타지적 환상, 계략과 지능적인 싸움을 배제한 채 순수한 육체적인 힘과 저력, 혹은 야만전사로서의 능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사이다(클리셰)|단순하고 파괴적으로]] 해결해나가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또한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의 영향으로 [[게임빙의물]]의 성격을 가진 사례가 많으며, 주인공은 현대인이 환생한 경우가 많다. 현대인이 가지는 중세 판타지 세계에 대한 우월성과, 그에 반해 실제 몸은 판타지 세계로부터 경시당하는 야만전사라는 모순적인 상황을 통해 [[힘숨찐]]등의 재미를 주기도 한다. * ㄱ *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2021)》 - 정윤강 *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2019)》 - [[컵라면.]] * 《게임 속 2회차 광전사(2023)》 - 인생망했음 * ㅁ * 《먼치킨 야만 마법사(2023)》 - 베르헤라 * 《만렙잡캐(2020)》 - 케이로드 * 《망겜 속 야만전사(2023)》- 보헴 * ㅂ * 《[[바바리안 퀘스트]](2017)》 - [[백수귀족]] * 《뼈와 살을 부수는 야만전사(2020)》 - 토니토 * ㅇ * 《아카데미의 야만용사(2020)》 - 예티르 * 《야만전사로 살아가는 법(2020)》 - 양파지 * 《야만전사 하록(2022)》 - 장상사 * ㅈ * 《[[종말의 바바리안]](2023)》 - [[도동파(작가)|도동파]] * ㅋ * ㅌ === 용병·모험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험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용병/한국 판타지 소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험가(판타지 용어), 앵커=한국 판타지 소설의 모험가)] 모험가가 주인공일 경우에는 모험가물보다는 '''[[모험물]]'''이라는 독립적인 장르로 분류된다. 관련 설명은 위 항목 참고. === [[기사]] === 주인공이 [[기사]]인 작품군. * ㄱ * 《[[기사의 일기]](2019)》 - 편곤 * ㅂ * 《[[방랑기사로 살아가는 법]](2020)》 - [[글쓰는기계]] * 《[[불멸의 기사]](1999)》 - 유민수 * ㅇ * ㅎ * 《[[하얀 로냐프 강]](1999)》 - [[이상균]] * 《[[하얀 늑대들]](2003)》 - [[윤현승]] * ㅍ === 검사 === ==== 소드마스터 ==== 주인공이 검에 통달한 [[소드마스터]] 인 경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드마스터/한국 판타지 소설)] ==== [[마검사]] ==== * ㅁ * 《[[마검전생]](2010)》 - [[김재한(소설가)|김재한]] * 《[[마검사(소설)]](2004)》 - 치우기 * ㅊ === 마법사 === 정령사, 소환사, 초능력자포함. * 숫자, 알파벳. * 《1서클 대마법사(2004)》 - 양강 * ㄱ * ㄷ * 《대마법사(2003)》 - 김도진 * 《더 메지션(2003)》 - 조용진 * ㅁ * 《마법대부(2006)》 - 김종휘 * 《[[무한의 마법사]](2014)》 - 김치우 *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2021)》 - [[글쓰는기계]] * 《모험을 하지 않는 마법사(2003)》 - 윈드시커 * ㅂ * 《[[바람의 마도사]](1996)》 - [[김근우]] * ㅇ * 《[[약먹는 천재마법사]](2020)》 - 글근육 * ㅇ * 《[[위저드 스톤]](2016)》 - 이경훈 * ㅈ ==== 정령사 ==== * ㄱ * ㄴ * 《[[내 가족 정령들]](2003)》 - [[탁목조]] * ㅈ * 《정령 대공(2013)》 - 권이백 * ㅌ ==== 흑마법사 ==== ===== [[한국 판타지 소설|판타지]] ===== * 알파벳 * ㄱ * ㄴ * ㄷ * 《[[다크 메이지]](2003)》 - [[김정률]] * ㅁ * 《마지막 흑마법사(2005)》 - 허건 * ㅊ * 《[[천재 흑마법사]](2021)》 - 노란커피 * ㅎ * 《후작가의 망령 재림(2018)》 - Lab.No9 ===== [[현대 판타지]] 계열 ===== * ㅂ * 《밤의 제왕 흑마법사(2014)》 - 카르마이 : [[현대 갑질물]] ===== [[게임 판타지]] ===== * ㅋ * 《커스 마스터(2009)》 - 건즈백 ===== [[퓨전 판타지]] ===== * ㅎ * 《흑마법사 무림에 가다(2008)》 - [[박정수]] * 《흑마법의 대가(2011)》 - 신비한 : [[게임 판타지]], [[퓨전 게임 판타지]] ==== [[네크로맨서]] ==== [[네크로맨서]]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재적 장르. 웹소설에서 등장하는 네크로맨서 클리셰의 원형은 [[디아블로 2]]의 [[강령술사(디아블로 2)|네크로맨서]]이다. 이후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언데드 스컬지]], [[언데드(워크래프트 시리즈)|언데드]] 설정 역시 한국 판타지 소설의 네크로맨서, 언데드 설정에 영향을 주었다. 디아블로 2의 네크로맨서와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언데드 스컬지를 기반으로 과거 2000년대 대여점 시대에 발간된 [[다크메이지]][* 데스 나이트 클리셰에 영향.], [[앙신의 강림]][* 독을 사용하는 네크로맨서 클리셰에 영향], [[커넥션(소설)|커넥션]][* 언데드를 진화시킨다는 클리셰에 영향.]이 [[한국 판타지 소설]]의 네크로맨서 이미지를 정립하였으며, 이후 한국 판타지 소설에 등장하는 네크로맨서는 디아블로 2, 다크메이지, 앙신의 강림, 커넥션에서 정립한 클리셰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웹소설 시대의 네크로맨서는 일인군단이라는 이미지를 이용, [[헌터물]] 등지에서 독고다이 주인공의 직업으로 자주 등장하고 있다. ===== [[한국 판타지 소설|판타지]] ===== * ㄱ * ㅅ * 《성황의 손자는 네크로맨서(2019)》 - 그림자꾼: [[망나니물]] * ㄴ * 《네크로맨서, 부업은 성자요(2019)》 - 하얀섬아이 * 《[[네크로맨서 학교의 소환천재]] (2020)》 - 일제사격 : [[아카데미물]] * 《[[앙신의 강림]](2004)》 - [[쥬논]] * ㅎ * 《환생한 네크로맨서가 사는 법(2021)》 - 신율 : [[망나니물]] ===== [[로맨스 판타지]] ===== * ㄱ * 《그녀, 네크로맨서(2020)》 - 타챠 ===== [[현대 퓨전 판타지]] ===== * 《생명의 네크로맨서(2014)》 - 용천수 ====== [[헌터물]] ====== * ㄴ * 《네크로맨서는 세계최강(2019)》 - 신필 * 《[[나 혼자만 레벨업]](2016)》 - [[추공]] * ㅅ *《서울역 네크로맨서(2015)》 - 진설우 * ㅇ * 《[[영웅, 회귀하다]](2017)》 - [[흑아인]] * ㅋ * 《[[킬 더 히어로]](2018)》 - [[디다트]] * ㅎ * 《현대 네크로맨서 길라잡이(2019)》 - 눈여우77 * 《헌터명가 초월급 네크로맨서(2021)》 - 시공전사 ====== [[아포칼립스물]] ====== * ㄴ * 《[[나 혼자 네크로맨서]](2019)》 - 지점장 * 《네크로맨서가 너무 강함(2020)》 - 진범 * ㅁ * 《멸망한 세계의 네크로맨서(2020)》 - 글포터 ====== [[한국식 이세계물]] ====== * 《네크로 마스터(2018)》 - 돈트스탑: [[한국식 이세계물]] ====== [[탑등반물]] ====== * ㅇ * 《올 마스터 네크로맨서(2020)》 - 청송 * 《역대급 네크로맨서는 탑을 공략한다(2021)》 - 차공진 ===== [[퓨전 판타지]] ===== * ㅁ * 《무적사신(2005)》 - [[무영자]] * 《무림세가 전생랭커(2020)》 - 산보: [[무협 웹소설]], [[망나니물]] ====== [[퓨전 게임 판타지]] ====== * ㅇ * 《옥사건 더 디파일러(2014)》 - 시옷전사 * ㅋ * 《[[커넥션(소설)|커넥션]](2005)》 - 정민 ===== [[게임 판타지]] ===== * ㄴ * 《네크로 핸드(2009)》 - 수민 * 《네크로 블랙스미스(2009)》 - 현재홍 * ㄷ * 《독식하는 네크로맨서(2021)》 - 유다: [[게임 판타지]] * ㄹ * 《라이프 크라이(2009)》 - [[성상영]] * ㅁ * 《[[만렙 검사에서 회귀했더니 네크로맨서라구요?]](2018)》 - Artifacts * ㅅ * 《솔플의 제왕(2015)》 - [[디다트]] * 《스켈레톤 마스터(2016)》 - 더페이서 * ㅇ * 《암흑사제(2008)》 - [[탁목조]] * ㅎ * 《해골제작자(2008)》 - 몽계 * ㅌ * 《[[튜토리얼부터 SSS급 무기가!?]](2017)》 - 오메가쓰리 ==== 힘법사 ==== * ㅁ * 《마법사가 힘을 안 숨김(2019)》 - 자리 === 사냥꾼 === ==== 야수조련사 ==== === 성직자 === ==== 성기사 ==== ==== 드루이드 ==== * [[드루이드입니다]] * [[서울역 드루이드]] ==== 성녀 ==== 주인공이 성녀인 경우. 성녀 그 자체를 쓰기보단 클리셰 비틀기라든지, 캐릭터 특성중 하나로 부여되는 편이다. 성녀인데 악하다든지, 성녀인데 버려진다든지, 한미한 가문 출신이거나 이세계 빙의한 주인공이 성녀의 재능을 개화한다든지가 대표적이다. * 성녀물 작품 목록은 [[:분류:성녀물]]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계급 관련 === ==== 귀족 ==== 주인공이 귀족인 경우. 보통 귀족을 배경으로 검사, 마법사 등 타 클래스를 결합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그 자체를 소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망나니물, top2=명가물)] ==== [[황공녀물|귀족·황족 영애]] ==== 여성향 [[로맨스 판타지]]는 황족, 귀족 영애를 소재로 하여 로맨스를 전개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로맨스 판타지, 앵커=영애물(황/공녀물))] ==== [[영지물|영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지물)] ==== [[북부대공]] ==== 북부대공 클리셰를 소재로 한 부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부대공)] === 기타 === * ㅈ * 《[[중세 판타지 속 망나니 경비조장]](2022)》 - 곰돌이는 : 경비조장 ==== 교사·스승 ==== 주인공의 클래스가 교사, 스승인 클리셰. 주로 [[아카데미물]]에서 나타난다. * ㅁ * 《마법선생(2009)》 - 팅커 : 게임판타지 * ㅇ * 《[[악당은 살고 싶다]](2020)》 - [[지갑송]] ==== 의원 ==== 주인공이 의원, 약사인 경우. * ㄷ * 《닥터 플레이어(2019)》 - [[유인]] * ㅇ * 《[[외과의사 엘리제]](2015)》 - [[유인]] * ㅈ * 《주치의는 할 일 다 하고 사표 씁니다(2020)》 - 유나진 * ㅊ * 《[[치료사 렌]](2003)》 - 한도현 === 종족 === 엄밀히 따지면 클래스가 아니며 종족물, 이종족물으로 분류해야 하지만, 현재 분류가 없는 점, 장르 판타지 씬에서 클래스와 종족이 혼용되어온 점[* 관련 내용은 [[클래스물#종족과 클래스]]의 종족과 클래스 문단 참고]에 근거하여 편의상 클래스물 문서에 함께 기재. ==== 정령 ==== 주인공의 종족이 정령인 경우. * ㅈ * 《[[정령왕의 딸]](2003)》 - [[박신애]] * 《[[정령왕 엘퀴네스]](2004)》 - [[이환]] * 《[[정령왕의 뉴라이프]](2006)》 - 오윤 *ㅎ * 《혼돈의 정령왕(2005)》 - 강대렬 ==== [[드래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곤물)] ==== 인외물 ==== 인간 외 종족을 소재로 하는 소설군. * ㄱ * 《개미로 환생!(2020)》 - Ryan McGrath(작가)/YAGI(번역) * 《근수저 오크는 근손실이 싫다(2023)》 - 곽도우 * 《[[고전게임의 고양이 검성]](2022)》 - 부프하임 * 《[[그린스킨(웹소설)]](2016)》 - 흙수저 * ㄹ * 《레벨업 언데드(2019)》 - [[쿠우울]] * ㅁ * 《먹이사슬 최상위의 포식자(2019)》 - 우노 * ㅂ * 《뱀이로소이다(2021)》 - 웅백 * 《붕어된 썰 품 ㅋㅋㅋ(2020)》 - 쫄면에삼겹 * 《[[반지하 오크]](2021)》 - [[파커Q]] * ㅇ * 《이세계로 전생했더니 식인식물(2017)》 - 기소반 * 《[[옥탑방 엘프]](2021)》 - [[파커Q]], * ㅈ * 《[[진화하는 우주괴물이 되었다]](2021)》 - 공포의거북이 * 《진화 어디까지 해봤니?(2020)》 - 점소이99 * 《재벌집 장녀의 고양이가 되었다(2020)》 - 탄E * ㅊ * ㅋ * ㅌ * ㅍ * ㅎ * 《[[해골병사는 던전을 지키지 못했다]](2017)》 - 소소리 * 《[[하필이면 까마귀가 되어버렸다]](2019)》 - 실베스타 ==== 마족 ==== * ㅁ * 《[[마족의 계약]](2002)》 - [[김윤경]] * 《[[마왕의 육아일기]](1998)》 - 방진하 * 《[[마왕전기]](2000)》 - [[이도경]] * 《마족전기 세를리오즈(2000)》 - 한초롱 * ㅇ * 《[[은빛마계왕]](2006)》 - [[이환]] * ㅎ == 관련 문서 == === [[용사물]] === 한국 판타지에 영향을 준 [[JRPG]]에선 용사 클래스 설정이 빈번하였으나, 한국 판타지 소설에선 그다지 주목 받지 못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용사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클래스물, version=1, paragraph=4.1, title2=웹소설/장르, version2=675, paragraph2=6.9, title3=웹소설/장르, version3=675, paragraph3=6.10, title4=웹소설/장르, version4=675, paragraph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