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클러스터 펜듈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35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클러스터 펜듈럼, 일어판 명칭=クラスター・ペンデュラム, 영어판 명칭=Cosmic Compass, 레벨=1,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00, 수비력=3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까지\, 자신 필드에 "펜듈럼 토큰"(기계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을 특수 소환한다.)]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에 등장한 카드. 이름의 유래는 [[펜듈럼]]. 자기 필드가 아닌 상대 필드에 의지한다는 점을 빼면 [[환상의 총사]]와 엇비슷하다. 활용법 자체는 환상의 총사와 거의 같지만 본체도 토큰도 레벨이 낮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싱크로 소환 레벨 조정이 가능하며, [[악마족]]이 아닌 [[기계족]]이기 때문에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의 소환 소재로 쓸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공격력이 낮은 건 어차피 전투 용도가 아니라 상관없긴 한데, 다만 차라리 0인 쪽이 더 좋았을 것이다. 토큰은 가능한데 정작 본인은 [[레프티레스#레프티레스 바스키|레프티레스 바스키]]의 소환 소재로 쓸 수 없기 때문. 따지고보면 최초로 나온(?) 펜듈럼이란 이름을 가진 몬스터. 이름과는 달리 [[유희왕 ARC-V|훗날]] 등장한 [[펜듈럼 소환]]과의 상성은 '''최악'''이라고 할 수 있다. 펜듈럼 소환은 1턴에 대량으로 특수 소환하는 방식이라 이 카드의 효과를 이용한 토큰의 소환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며, 펜듈럼 스케일 0의 펜듈럼 몬스터들이 나오긴 했지만, 토큰 소환 효과는 일반 소환시에만 발동한다. 거기다 토큰이 펜듈럼 소환이랑 뭔가 같이 쓰일 만한 것도 없다는 것도 문제. 이름에 '펜듈럼'이 들어가긴 해도, [[펜듈럼(유희왕)|'펜듈럼' 카드군]]은 펜듈럼 몬스터가 해당되기에 카드군에는 속하지 않는다. 허나 이후에 나온 '''[[링크 소환]]'''과는 최상의 궁합을 자랑하는데, 링크 소재로 토큰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재정이 나온 데다 따로 튜너를 필요로 하지도 않기에 싱크로 소환보다도 궁합이 좋다. 레벨 1 / 땅 속성 / 기계족이라 각각 [[링크리보]], [[미세스 레디언트]], [[클리포트 게니우스]],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등의 링크 소재로 쓸 수 있단 것도 장점.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소환한 몬스터와 토큰을 이용해 "몬스터 체인"에 연결하지만, [[극신성제 오딘]]의 효과로 몬스터 체인을 무시하고 공격해서 파괴된다. 그 후 [[데브리 드래곤]]으로 특수 소환되고,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과 함께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된다. 여기서 유세이가 "클러스터 펜듈럼이 싱크로 소재가 된 것으로 1장을 드로우한다."라고 했지만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드래곤을 부르는 피리]]가 생각나는 장면마냥 해당되는 효과는 없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파밍용 덱에서 쓰이는 걸 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 STOR-KR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STORM OF RAGNAROK]] || STOR-JP00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 - [[파워코드 링크]] || SD33-JP020 || [[노멀]] || 일본 ||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Storm of Ragnarok]] || STOR-EN00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클러스터 컨제스터 == [[파일:クラスター・コンジェ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클러스터 컨제스터, 일어판 명칭=クラスター・コンジェスター, 영어판 명칭=Cluster Congester, 레벨=7, 속성=빛,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000, 수비력=2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컨제스터 토큰"(사이버스족 / 어둠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공격받은 배틀 스텝에 1번\, 그 링크 몬스터와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링크 몬스터의 수까지\, 자신 필드에 "컨제스터 토큰"을 특수 소환한다.)] 클러스터 펜듈럼의 사이버스 버전이지만 상급이기에 소환이 힘들고,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면 쓸 수 없으며 1장밖에 불러내지 않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공격받으면 그 몬스터와 함께 제외되어 상대 필드의 링크 몬스터 수만큼 토큰을 불러내주는 효과도 있다. 상대 필드 몬스터 수만큼 토큰을 불러내는 점이 클러스터 펜듈럼과 비슷하다. 원작에서는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사용, [[시큐어 가드너]]를 제외하여 컨제스터 토큰 5장을 불러냈다. 원작과 OCG 효과가 많이 다른데, 효과를 발동한 턴 다른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봉인하는 효과와 엔드 페이즈시에 특수 소환된 컨제스터 토큰을 전부 파괴하고 1장당 300 데미지를 주는 3번 효과가 존재했다.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CYHO-KR00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 CYHO-JP00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