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주]][[분류:중국의 도시]][[분류:중국-키르기스스탄 관계]] [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include(틀:튀르크)]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000,#ddd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 ||<-3> {{{#ff0 '''{{{+1 [ruby(克孜勒苏, ruby=Kèzīlèsū)][ruby(柯尔克孜, ruby=Kē'ěrkèzī)][ruby(自治州, ruby=Zìzhìzhōu)][br]قىزىلسۇۇ قىرعىز اپتونوم وبلاسى}}}'''[br]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br]Kizilsu Kyrgyz Autonomous Prefectu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주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br]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br]아르투슈시 파미얼루3위안[br]新疆维吾尔自治区[br]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br]阿图什市帕米尔路3院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72,468.0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현급시 7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622,222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8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위구르족]] 64.68% | [[키르기스족]] 27.32%[br][[한족]] 6.78% | [[타지크족]] 1.06% || ||<-2> '''{{{#ffff00 서기}}}''' || 왕쉐둥(王学东) || ||<-2> '''{{{#ffff00 주장}}}''' || 울루스 알리 하샤르바이^^([[키르기스족]])^^[br](吾肉孜阿力·哈西哈尔巴依)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3억 600만^^(2019)^^ || || '''{{{#ffff00 1인당}}}''' || $3,705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주화}}}''' || 없음 || || '''{{{#ffff00 주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新P'''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克州'''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5'''3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08''' || ||<-2> '''{{{#ffff00 우편번호}}}''' || '''8453'''5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J-30''' ||}}}}}}}}} || ||<-3> [[http://www.xjbz.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소속 자치주. 키르기스 자치주이지만 제일 많이 거주하는 민족은 [[위구르족]]이고 [[키르기스족]]은 27%로 2위이다. [[한족]]은 6.7%로 비교적 소수이다. 동쪽으로 [[아크수지구]] 및 [[호탄지구]]와, 서쪽으로 [[키르기스스탄]]과, 남쪽으로 [[타지키스탄]]과, 북쪽으로 [[카자흐스탄]]과 접한다. 중국 최서단 지급행정구로, [[톈산 산맥]]과 [[파미르 고원]]이 만나는 곳에 위치 해 있다. == 상세 == [[파일:AFB0F75C-BE04-4E12-BC0F-0E2BDB0A38E9.jp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크르그즈어 발음으로는 '크즐수'가 맞는 발음이다.]는 [[키르기스스탄]] 및 [[타지키스탄]]과 접해 있다. 그리고 [[소련]]시절부터 교역도 많이 있었다. 현재는 키르기스스탄 본토와의 교류도 많이 있다. 크즐수(Кызылсуу, Kyzylsuu)는 [[키르기스어]]로 붉은(kızıl) 물(suu)이라는 뜻이다. [[파일:3546D207-3A2E-4C0A-8FA3-E9CA236404D3.jpg]] == 주민 == 과거에는 [[사카족]] 계열 [[오손]] 유목민의 영역이었으며, 이후 중세를 거치며 이 지역 주민들은 튀르크화되었다. 키르기스인 본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1440~50년대 [[에센 칸]] 치하 [[오이라트]]의 압력을 피해 오늘날 키르기스스탄 및 신장으로 이주하였다 한다. [[천산 산맥]] 일대에 이주한 키르기스인들은 서로는 우즈벡인과 동으로는 위구르인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화 되었다. [[키르기스스탄]]과 접해 있어서 [[키르기스인]]들의 비중이 높다. 2010년도 인구 조사 기준으로 14만여 명으로 자치구 전체 인구의 27%에 달한다. 그외에도 [[한족]]이 있으나 비율이 6~7% 정도에 그치며 [[위구르인]] 인구가 34만여 명, 65% 정도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다. 일부 [[사리콜인]]과 [[와키인]]을 포함한 소수민족들도 거주하고 있다. 특히 키르기스족과 위구르족 비중이 높다.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의 키르기스인들은 키르기스어를 사용하지만, [[키릴 문자]] 대신 [[아랍 문자]]로 된 키르기스어를 사용한다. 주민들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중국 내 미분류 민족인 티베트 불교를 믿는 [[하카스인|부위 키르기스인]]은 이 지역에 거주하지 않고 내몽골 동부 등지에 거주한다. == 역사 == 고대 [[쿠샨 왕조]]의 카니슈카가 이 지역을 점령하였고, 이와 동시에 이 지역에 불교가 전래된다. 이후 [[사산 왕조]]가 이 근방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튀르크인과의 전투 끝에 튀르크가 승리하여 사산 왕조는 이 근방에서 물러난다. [[당나라]]가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 이 지역에 소륵도독부(疏勒都督府)를 설치하고 통치하였으며 당나라가 위구르에서 세력을 잃은 뒤에는 [[고창회골]]이 건국되어 통치하였다. 그 이후에는 [[카라한 칸국]]이 건국되어 통치하였으며 [[서요]]의 통치를 거쳐 [[몽골제국]]이 점령, [[차가타이 칸국]]의 영토가 된다. 차가타이 칸국의 분열 이후 [[모굴리스탄 칸국]]의 영토가 되었고 이후 [[준가르]]를 거쳐 [[청나라]]가 점령한다. [[1950년]]에 이 지역은 아크수전구(阿克苏专区), 아르튜슈현(阿图什县), 카슈가르전구(喀什专区)로 나뉘어 있었고 [[1954년]]에 이 지역의 키르기스인 지역을 떼서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구(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区)를 설치한다. 이후 이듬해 자치주로 변경된다. == 교통 == 관할 주요 철도역으로 아르투슈역(阿图什站)이 존재하며 난장철도(南疆铁路)가 지나간다. 공항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