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fff 키타산 블랙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include(틀:JRA 경주마 랭킹 연도별 1위)]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 ||<-3> '''2016, 2017년 [[JRA상]] 연도대표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타산 블랙_아리마 기념.jpg|width=100%]]}}} || ||<-2> 이름 || キタサンブラック[br]Kitasan Black[br]北部玄駒 || ||<-2> 출생 || [[2012년]] [[3월 10일]] ([age(2012-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블랙 타이드]] || ||<-2> 어미 || 슈가 하트(シュガーハート) || ||<-2> 외조부 || [[사쿠라 바쿠신 오]] || ||<-2> 생산자 || 야나가와 목장[* [[코파노 리키]]와 같은 목장 출신이다.] || ||<-2> 마주 || [[키타지마 사부로|유한회사 오노 상사]][* 회사명은 마주 본인의 본명 오노 미노루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키타지마씨 본인은 2023년 경 마주를 그만두기로 선언했으나 해당 법인에서 그를 대신해서 계속 위탁 관리 중이다. ] || ||<-2> 조교사 || 시미즈 히사시 (릿토) || ||<-2> 성적 || 20전 12승 (12-2-4-2) || ||<-2> 총상금 || 18억 7684만 3000엔[* 2023년 기준 [[이퀴녹스]], [[아몬드 아이]]에 이은 일본 3위 기록.] || ||<|2> 주요[br]우승 || G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킷카상]](2015)[br][[천황상 (봄)]](2016, 2017)[br][[재팬 컵]](2016)[br][[오사카배]](2017)[br][[천황상 (가을)]](2017)[br][[아리마 기념]](2017)}}} || || G2 || [[스프링 스테이크스]](2015)[br][[세인트 라이트 기념]](2015)[br][[교토대상전]](2016) || ||<-2> 주요 수상 || 2016, 2017년 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 ||<|2> 레이팅 || [[론진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WBRR]] || L117 - E117([[틀:2015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5]])[br]L123([[틀:2016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6]])[br]I123 - L124 - E121([[틀:2017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7]]) || || 타임폼 || 128 || ||<-2> [[#s-4.1|주요 자마]] || '''[[이퀴녹스]] (2019)'''[br][[솔 오리엔스]] (2020)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2102013/|[[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155349/|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키타산.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itasan_Black_Portrait.jpg|width=100%]]}}}|| || '''그리고, 모두의 애마가 되었다.[br]{{{-2 そして、みんなの愛馬になった。}}}''' || '''연회가 시작되다[br]{{{-2 宴が始まる}}}''' || || '''히어로 열전 No.81''' || '''2022년 명마의 초상''' || >[[키타지마 사부로|오너]], 그리고 [[타케 유타카|명수]]가 사랑하는 말은, >{{{-2 オーナー、そして名手が愛する馬は、}}} > >싸움을 거듭할 때마다,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2 闘いを重ねるたびに、人々の心の中へ。}}} > >위풍당당, 새로운 왕의 여행은 계속된다. >{{{-2 威風堂々、新たなる王者の旅は続く。}}} > >수많은 추억과 함께. >{{{-2 幾多の想いとともに。}}} >---- >JRA 히어로 열전 >'''연회가 시작되다''' > >멈추지 않는 위세 >그늘짐 없는 신속 >칠흑의 창의 일격에 >우리들은 더 이상 당해낼 방도가 없다 > >싸움에 도전하는 자들이 >전부 힘을 다해 간다 > >이윽고 연회가 시작된다 >너를 기리는 노랫소리가 >토벌된 우리들의 마음에 >선망과 체념을 새겨 둔다 >---- >JRA 명마의 초상 || [youtube(7saepFySrDk)] || 일본의 경주마. JRA 34번째 [[현창마]]이자 2016, 2017년 연도 대표마 및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2017년 은퇴당시 JRA 상금 1위/G1 레이스 승수 타이 1위를 기록했으며, 그 활약상과 후술한 마주의 인기에 힘입어 [[오구리 캡]],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하루 우라라(말)|하루 우라라]] 등과 함께 '''경마는 몰라도 이름은 아는 말'''로 불렸을 정도로 대중적으로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 종마로 전직한 이후에도 초년도 산구인 [[이퀴녹스]]가 G1에서 우승하고, 2년차 산구인 [[솔 오리엔스]]가 클래식 전선에서 활약하는 등 딥 임팩트가 죽은 이후 선데이 사일런스계 종마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블랙 타이드]][br]{{{-2 ブラックタイド[br]2001}}}||<|2>'''[[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2>윈드 인 허 헤어[br]{{{-2 Wind in Her Hair[br]199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알자오[br]{{{-2 Alzao}}}|| ||버클리어[br]{{{-2 Burghclere}}}|| ||<|4>슈가 하트[br]{{{-2 シュガーハート[br]2005}}}||<|2>[[사쿠라 바쿠신 오]][br]{{{-2 サクラバクシンオー[br]1989}}}||[[사쿠라 유타카 오]][br]{{{-2 サクラユタカオー}}}|| ||사쿠라 하고로모[br]{{{-2 サクラハゴロモ}}}|| ||<|2>오토메고코로[br]{{{-2 オトメゴコロ[br]1990}}}||저지 안젤루치[br]{{{-2 Judge Angelucci}}}|| ||티즐리[br]{{{-2 Tizly}}}|| ||<-3>* 리파르 4×4 12.5%[br]* [[노던 댄서]] 5×5×5 9.375%|| 아비는 딥 임팩트의 전형(부모가 전부 같은 형)인 [[블랙 타이드]]로, 경주마로서는 G2 우승 1회 정도의 크게 대단할 것이 없는 커리어를 가졌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데뷔 때 유망주로 평가받았으며, 실제로 사츠키상 이전까지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사츠키상에서 16착으로 망한 직후 굴건염이 발병해 재활에만 2년을 보냈다. 부상 때문에 잠재력을 날려먹은 케이스.] 오직 그 딥 임팩트와 같은 부모를 가졌다는 이유로, 4000만 엔에 달하던 딥 임팩트의 막대한 교배료를 감당할 수 없는 히다카 지역의 중소 목장에서 많이 선택한 종마였다. 그러던 와중 키타산 블랙이 대박을 치면서 종마로서의 입지도 상승, 900여 두의 산구를 배출하는 건실한 종마로 자리잡은 상황이다. 어미인 슈가 하트는 키타산 블랙과 같은 야나가와 목장 생산마로 단거리 스프린터인 [[사쿠라 바쿠신 오]]의 딸. 나름 기대주였지만 굴건염이 발병해 데뷔도 하지 못하고 번식에 들어간 말이다. 모계쪽의 Tizly는 [[티즈나우]]의 부계 혈통(할머니)이기도 하다. 모계가 단거리계의 끝판왕이었던 바쿠신 오의 피를 이었고 아비인 블랙 타이드 역시 장거리 적성이 없다고 평가받았는데도 키타산 블랙은 중장거리에 강한 적성을 보였다는 점도 특이사항 중 하나.[* 사실 사쿠라 바쿠신 오의 아비인 [[사쿠라 유타카 오]]의 거리적성은 장거리까지는 아니지만 중거리 2000미터였고 아비인 블랙 타이드는 장거리에서도 매우 강한 모습을 보인 무패 삼관마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의 전형제 형이라서 오히려 키타산 블랙이 정상이고 사쿠라 바쿠신 오가 돌연변이였다는 의견도 있다.] == 커리어 == === 데뷔 전 === 2012년 홋카이도 히다카 지역의 중소 목장인 야나가와 목장에서 태어났다. 망아지 시절에는 덩치는 크지만 근육이 덜 발달해 가느다란 인상이었고 당연히 잘 달릴거 같지 않다는 평가를 받아 경매에서 사 가는 사람이 없었다. 목장주도 옆에서 보다보니 확실히 잔병치레 없이 튼튼해보이긴 했지만, 그렇다고 G1 우승을 할 정도로 운동수행능력이 보이지는 않았었다고 나중에 말했다. 일본 [[엔카]]계의 대부인 [[키타지마 사부로]]가 헐값에 사들여 데뷔할 수 있었다.[* 서류상 마주는 유한회사 오노상사로 되어있는데 이 오노는 다름아닌 키타지마의 본 성씨다. 본명을 걸고 법인을 세워 우회 소유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식이든 결국 키타지마씨의 소유가 맞다.] 관명(마주가 자신의 소유임을 나타내기 위해 말 이름에 붙이는 특정한 단어)인 '키타산'도 그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北島三郎(키타지마 사부로)->北三(키타산)으로 줄여쓴 별명.] 마주로서는 50년 동안 중소목장의 싸구려 말들을 사들여 지방 경마에 주로 출주시키는 영세 마주였다가 복덩이를 얻은 셈.[* 다만 한국식으로 보면 [[나훈아|훈아]] 블랙, [[설운도|운도]] 블랙 같은 웃기는 네이밍이라 키타산을 깔 때 '''이름이 촌스럽다'''라는 비판에는 할 말이 없다는 것이 대중적인 여론이다. 키타산의 일부인 사부로라는 이름 역시 일본에서는 삼돌이 같은 노인 이름 느낌이라서 그렇다.] 평이 안좋았던 망아지를 산 것에 대해 마주는 얼굴이 자기를 닮아 잘생겼다는 이유로 선택했다고 밝혔지만, 사실 야나가와 목장과 연이 있던 키타지마가 팔리지 않아 처치 곤란이었던 망아지를 사주었던 것이다.[* 근래 경마계에 입문한 마주는 대부분 샤다이와 샤다이에서 추천한 조교사를 통해 말을 구입하지만, 그 이전에는 오로지 인맥으로 말을 구해야 했기 때문에 마주일을 오래 한 마주는 경주능력이 허접해도 인맥을 유지하기 위해, 아니면 그냥 친해서 말을 사주곤 했다.] === 2015년 (3세) === [include(틀:2015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2015년 1월 도쿄에서 열린 3세 신마전으로 조금 늦게 데뷔했다. 조교사는 대형마라 코스가 넓은 교토에서의 데뷔를 생각했지만, 마주인 키타지마의 거주지가 도쿄라 이를 고려해 변경했다. 대형마라 본격화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교를 맡은 마방에서도 시간을 들여 천천히 육성할 것을 방침으로 삼았고,[* 가끔 경주마 경매에서도 훈련이 늦거나 천천히 하고 있는 말들을 따로 표시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클래식 등록도 하지 않았다. || [youtube(Z2cF1swikOE)] || || 2015년 [[스프링 스테이크스]] 영상 || 그러나 1월의 데뷔전, 2월의 3세 500만 이하, 3월에는 사츠키상 트라이얼인 [[스프링 스테이크스|스프링S]]까지 3연승해 [[사츠키상]] 출주권을 얻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었고 소유마가 클래식에 나설 수 있게 된 데 환호한 키타지마 사부로는 추가등록비 200만엔을 쾌척해 무대에 나선다. 하지만 클래식의 주인공은 키타산 블랙이 아니었다. 4월 [[사츠키상]]은 코너링에 실수하고도 엄청난 추입을 보인 [[두라멘테]]와 자신이 스프링S에서 이겼던 [[리얼 스틸(말)|리얼 스틸]]에 밀려 3착.[* 1착 두라멘테와는 4마신차, 2착 리얼 스틸과는 2 1/2 마신차였다.] 5월 [[일본 더비]]에서도 승리는 두라멘테의 차지였고, 키타산 블랙은 직선에서 실속하며 14착 대패라는 성적으로 봄철 클래식을 마감했다. || [youtube(7_GxnQmURRg)] || || 2015년 [[세인트 라이트 기념]] 영상 || || [youtube(R__DtSQA-yc)] || || 2015년 [[킷카상]] 영상 || 9월에는 킷카상 트라이얼인 [[세인트 라이트 기념]]에 출주, 여름 휴식기간 동안 폼이 떨어져 걱정을 샀으나 예상을 깨고 1착하여 킷카상 우선 출주권을 얻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미호노 부르봉 시대에 이미 벌어진 관서-관동의 격차와 그 약한 관동 대표를 뜻하는 세인트 라이트 기념의 우승 실적만으로는 마권을 끌어모을 수 없었고, 건너편 고베 신문배 우승마 리어 팔과 2착 리얼 스틸에 비해 현격히 낮은 5번 인기를 받아들게 된다. 모부 사쿠라 바쿠신 오의 높은 단거리 적성에 발목을 잡힐거란 예상은 덤. 본선에서는 흥분한 기색이 역력한 초반의 전개를 최내곽에서 감내하며 체력을 비축, 교토 최종 코너의 가드레일이 열리는 순간을 노려 인코스로 빠져나오는 전략을 감행한다. 외곽에서 날아든 리얼 스틸의 맹렬한 강습을 목차로 견디며 승리, 첫 G1 타이틀 및 클래식 승리의 영예를 안게 된다[* 별난 기록으로 역대 킷카상 우승마 중 최고 마체중 530kg의 기록이 있다. 대체로 스테이어는 말쑥한 마체를 선호하는 편인데 할아비 박신을 닮은 듯 안 닮은듯 묘한 특징이다.], 의리로 거둬온 애마가 안겨준 첫 중앙 경마 G1 승리였고, 우승 공약대로 키타지마는 시상식에서 자신의 히트곡 마츠리를 개사해 부르는 축하 라이브를 열었다.[* 우마무스메 팬 사이에서는 우스갯소리로 현실판 위닝라이브라고 하기도 한다.] 이 모습이 지상파를 통해 퍼지면서 팬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 [youtube(HuDiYUS3-u0)] || || 2015년 [[아리마 기념]] 영상 || 3세 최종전은 12월에 열린 [[아리마 기념]].[* [[골드 쉽]]의 은퇴전이었는데, 이 날 키타산 블랙에 기승했던 기수는 골드 쉽의 고마 시즌 주전 기수였던 [[요코야마 노리히로]]였다. 골드 쉽은 은퇴 기념으로 클래식 시즌 주전 기수였던 [[우치다 히로유키]]가 기승했다.] 킷카상 우승과 키타지마의 라이브로 인지도가 오른 키타산 블랙은 팬 투표 3위로 선출되었고, 본 레이스에서는 4번 인기로 평가되었다. 키타산 블랙의 터프함에 주목한 요코야마는 과감히 도주를 선택해 데뷔 이후 처음으로 선두 자리에서 경주를 진행했으며, 아쉽게 [[골드 액터]]와 [[사운즈 오브 어스]]에 따라 잡혀 3착으로 경기를 마쳤지만 특유의 묵직하게 짓누르는 슬로우 선두 스타일을 처음으로 확립해 고마 시즌으로 기대를 이어가게 된다. === 2016년 (4세) === [include(틀:2016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youtube(XizJj0oAEpk)] || || 2016년 [[천황상#s-2|천황상(봄)]] 영상 || 2016년부터는 주전 기수가 [[타케 유타카]]로 교체되어 키타산 은퇴까지 콤비로 함께하며, 본격적으로 각질을 도주, 선행으로 고정하게 된다. 초전을 4월의 산케이 [[오사카배]]로 택해 목 차이의 2착을 기록하지만 당시 g1도 아니었던 오사카배보다도 진짜 목표는 봄의 천황상. 1번 게이트의 이점을 활용한 슬로우 도주로 경기를 주도한다. 전반 1000m 61.8, 중반 1000m 61.7초의 칼같은 슬로 페이스로 최종 직선에서도 충분한 여력을 남겨두고 있었다. 최종 직선에서 거대한 키타산을 바람막이 삼아 잠입하고 있던 [[카렌 미로틱]]에 순간적으로 선두를 내주긴 했지만 근성을 발휘해 다시 엎어치며 g1 2승에 도달하게 된다. 6월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두바이 시마 클래식 이후 국내로 복귀한 두라멘테에 이어 2번 인기 5배의 배당율로 참가한다. 클래식 때는 그림자도 밟지 못한 상대였지만 g1 2승으로 크게 성장한 자신을 다시금 증명해야 하는 경기. 3번 게이트에서 출발한 키타산 블랙은 당일 한신의 초중마장에도 불구하고 59.1초의 하이페이스로 승부를 달구고, 직선에서도 힘이 다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괄목한 자신을 선보인다. 하지만 문전에서 아까운 차이로 [[마리알라이트]]와 두라멘테에게 코차의 3착을 가져갔다. 이때의 접전으로 빈집털이 아니냐는 여론을 어느 정도 불식시키는데 성공하지만, 경주 직후 두라멘테가 부상으로 은퇴해 설욕의 기회는 영영 사라지게 된다. 이후 목표는 여름을 보내고 10월 [[교토대상전]] 출주를 거쳐 재팬 컵으로 나아가는 것. 커리어 최초로 인기 1위에 올랐고, 오랜만에 선행으로 승리를 올리며 기세를 올린 키타산 블랙은 단승 3.8배로 확고부동한 대본명 1번 인기 자리를 굳히며 재팬컵에 출주한다. || [youtube(TSwG23oXgOk)] || || 2016년 [[재팬 컵]] 영상 || [[재팬 컵]]의 도주는 후속과 2 1/2마신차를 자아내는 키타산 커리어 최고의 완승극이었다. 1번 게이트에서 출발해 평소같은 슬로우 선두 포지션에 자리매김한 키타산 블랙. 교토보다 가혹한 도쿄 경마장의 최종 직선을 고려해 페이스는 봄 천황상보다도 늦게, 타케 유타카 특유의 체내시계를 십분 활용한 기계적인 12초 펄롱 페이스를 짜낸 키타산은 같은 멤버로 10번을 다시 해도 결과가 같을 것이라는 찬사를 듣는 완봉 플레이를 선보인다. 사운즈 오브 어스와 슈발 그랑의 추격은 2마신 차이로 닿지 않았다. 중반에 달라붙어 봉쇄를 풀어내려 한 원 앤드 온리는 침몰, 골드 액터와 리얼 스틸의 순발력으로는 따라잡지 못했다. 누구 하나라도 버림패로 달라붙어 키타산을 쪼고 동반침몰하지 않는 한 이길 수 없을거란 평가까지 나올 정도. 한때 자신에게 버거웠던 더비와 같은 환경에서 최고의 도주극을 펼친 키타산 블랙은 어느덧 G1 3승째. 타케 유타카의 역대 최다 재팬컵 우승 기수 4승 기록을 만들어주며 아리마 기념으로 향한다. || [youtube(qax9f3QYFmY)] || 작년과 마찬가지로 연말의 아리마 기념을 시즌 피날레 삼은 키타산 블랙. 디펜딩 챔피언 골드 액터가 재팬컵 결과로 살짝 평가가 내려간 가운데 나타난 라이벌은 당해 클래식의 국화상마 [[사토노 다이아몬드]]였다. 연이어 나타났지만 출신도 스타일도 모두 다른 두 국화상마가 맞붙어 키타사토 매치로 명명된 이 매치는 그러나 훗날 뒷말을 자아내는 묘한 전개로 흘러가게 된다. 일본 경마에서 금기시되던 팀플레이가 있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직전의 재팬컵 완승이 만들어낸 짙은 그림자는, 개별적으로 덤벼서는 키타산 블랙을 부러뜨릴 수 없다는 공포를 자아내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사토노 노블레스가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승리를 위해 키타산을 잡고 같이 떨어진게 아니냐는 뒷말이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나와버리게 된 것이다. 전개는 다음과 같았다. 말티즈 아포지의 대도주로 시작한 경주에서 키타산 블랙의 포지션은 2순위. 페이스는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 키타산 블랙은 자리에서 묵직하게 마군을 틀어쥔 채로 예의 스태미나 승부를 끌어갈 준비를 하고 있었다. 사토노 다이아몬드는 그 바로 뒤에서 키타산 블랙을 마킹하고 있었는데 반대측 직선에 다다른 시점에서 사토노 노블레스가 마쿠리[* 예의 골드 십이 구사하던 반대편 직선에서 시동을 거는 이른 추입.]를 걸어 다이아몬드와 어깨를 나란히 했고 그 상태의 두번째 3코너에서 사토노의 두 기수 사이에 프랑스어가 오고갔다는 것이다.[* 해당 경기에서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기수는 [[크리스토프 르메르]], 사토노 노블레스의 기수는 뱅상 슈미노로 둘 다 프랑스인이었다.] 사토노 노블레스는 그 후 마쿠리를 이어가 키타산을 외측에서 넘어서려는 듯 움직이며 하이페이스를 유도하고 다이아몬드의 바깥으로 물러난다. 이렇게 되자 최종 직선에서 이미 골드 액터와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머리를 나란히 한 키타산 블랙은 골드 액터를 1/2마신 차로 억눌렀지만 사토노 다이아몬드에 목 차로 2위를 차지하게 된다. 물론 사토노 노블레스와 다이아몬드가 정말 티밍을 했는지 어떤지는 알 길이 없다. 하지만 타케 유타카는 검량실과 이후 인터뷰에서 '조직력에 당했다'며 완곡한 표현으로 패배의 감정을 표출했고, 팬들은 알 길 없는 내막으로 설왕설래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록 연말의 아리마를 찝찝한 느낌으로 마쳤지만 키타산 블랙은 연도대표마 선정과 함께 5세 시즌을 준비하며 겨울나기에 들어선다.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 2017년 (5세) === 이 해부터 이른 봄철에 짧은 거리에서 뛰는 경주마들이 G1이 없어 해외로 나돌게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봄의 삼관 경주 신설과 함께 오사카배가 새로이 G1으로 승격된다. 키타산 블랙도 봄 첫 경주로 두바이 미팅을 비롯한 해외 경주를 고려하고 있었지만 4세 시즌의 오사카배 석패가 아쉬움으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봄의 삼관 노선을 채택, 오사카배 G1 초대 챔피언의 타이틀에 도전한다. [include(틀:201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youtube(KfQqjsprRA0)] 이후로 모든 경주에서 1번 인기를 차지하는 키타산 블랙은 전년 더비마 [[마카히키]], 홍콩 버즈와 교토 기념을 연승한 [[사토노 크라운]], 오사카배 디펜딩 챔피언 앰비셔스 등을 맞아 3번 포지션에서 경주를 전개, 느린 페이스에 마카히키 등 후위가 지쳐가는 동안 리듬 좋게 말티즈 아포지 등을 제치고 300미터 지점에서 선두로 도약, 스테파노스에 3/4마신차 우위를 지키며 초대 G1 오사카배 챔피언에 이름을 남겼다. [youtube(ymREO3rb3uI)] 동월 30일 제155회 천황상(봄)에서는 연패를 노리는 키타산 블랙과 아리마 기념에서 키타산을 이긴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리벤지 매치로 주목받았다. 과거 메지로 맥퀸이 그러했듯 직전 한신대상전에서 슈발 그랑을 꺾고 기세를 올린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토카이 테이오가 그랬듯 오사카배를 우승하고 넘어온 키타산 블랙의 매치 구도는 각각 2.5배, 2.2배의 단승 지지로 확실한 일대일 구도를 확립했다. 2006년 딥 임팩트 이래 1번 인기가 모두 격침되어온 상황에서 징크스를 깰 수 있는지 또한 주목받던 상황. 야마카츠 라이덴이 사전에 선언했던대로 1000m를 58.3초에 통과하는 대도주를 하면서 전체 펄롱 타임이 1400m 지점까지 11초대를 찍는 하이페이스 전개. 5착 앨버트까지 제133회 천황상에서 딥 임팩트가 기록한 3분 13초 4의 기록을 깬 이 경기의 승자는, 2착인 슈발 그랑을 1 1/4 마신차이로 따돌린 키타산 블랙이었다.[* 키타산 블랙의 기록은 3분 12초 5. 2023년 기준으로 JRA 잔디 3200m 레코드 및 교토 경마장 잔디 3200m 3세 이상 코스 레코드로 남아있다.] 천황상(봄) 연패로는 4번째.[* [[메지로 맥퀸]](1991년·1992년), [[티엠 오페라 오]](2000년·2001년), [[페노메노(말)|페노메노]](2013년·2014년). 연패가 아닌 2승마로는 [[라이스 샤워]](1993년·1995년)가 있다.] 이 경기 전까지 키타산이 출주한 경주는 슬로페이스가 대부분이라 하이페이스 경주에서는 따라가지 못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혹이 있었지만 딥 임팩트의 징크스 뿐 아니라 기록까지 대대적으로 깨트린 경주에서 낸 실적으로 다시금 자신의 강함을 증명하고 있었다. [youtube(yPM0gd3PETs)] 봄의 삼관을 목전에 둔 제58회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사토노 다이아몬드가 개선문상 출주를 위해 은둔함에 따라 주목되는 라이벌도 없어 압도적인 인기로 단승 1위로 뽑혔지만 결과는 9착 참패에 그쳤다.[* 우승은 [[사토노 크라운]].] 일단 경기를 시작하자마자 슈발 그랑에 선두 자리를 뺏기고 3순위로 내려앉은 것도 모자라 답지 않게 반대 직선에서 흥분해 날뛰다가 직선에서 일찌감치 침몰해버리고 만 것. 기수인 타케 유타카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이런건 처음이라 유감입니다. 어렵네요, 경마는'이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딱히 부상을 당한 것도 아니라 확실한 원인은 불명이지만[* 키타산이 호흡곤란을 겪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체로 초장거리에 지나치게 하이페이스로 전개된 2개월 전 천황상의 여파가 아니냐는 평.[* 2017년 천황상 봄의 출주마들의 이후를 살펴보면, 2착마였던 슈발 그랑은 타카라즈카에서 8착을 기록하며 5세 시즌에 유일한 착외 기록을 남겼으며, 4착 어드마이어 데우스는 인대 손상, 6착인 [[디 마제스티]]는 가을까지 회복을 기다리다가 결국 한 경기도 못나간 채 연내 은퇴를 하게 되었다. 그나마 멀쩡했던 것은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2착을 기록한 7착 [[골드 액터]]와 여름 휴양 후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 3연승을 달성한 5착 알버트 정도.] 가을 로테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던 경기 전에는 봄 삼관 위업을 완수한 뒤 [[개선문상]]으로 떠나는 계획도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이 패배로 종래의 계획을 포기하고, 가을에는 주요 G1 3전 출주 후 은퇴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youtube(RyQlRvicIcg)] 제156회 [[천황상#s-3|천황상(가을)]]은 22호 태풍 [[사올라(태풍)|사올라]]의 영향으로 비바람이 몰아쳐 마장이 논두렁으로 변해버린 최악의 환경. 1번 인기였지만 3.1배로 배당은 크게 늘어 직전 타카라즈카의 불량마장에 녹아내렸던 것과 라이벌 사토노 크라운이 중마장 적성을 유감없이 과시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게이트가 열리기 전에 문에 머리를 찧는 바람에 커리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늦게 발주해[* 기수인 타케 유타카는 이로 인해 제재를 받았고,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우마무스메]]에서는 선입 적성을 C로 배분받는 것으로 고증된다. 애니메이션 3기에서는 게이트에서 출발 전 비로 인해 마장에 진창이 생겨 미끄러지는 바람에 출발이 늦은 것으로 반영되었다.] 도주마가 최후방에서 경주를 시작한 상황. 그러나 최종 코너에서 다른 말들이 불량마장을 피해 아웃코스로 돌아나갈 때 파워를 믿고 인코스를 선택한 기수와 그 기대에 부응하는 힘으로 선두에 서는데 성공한다. 최종 직선에서 키타산 블랙이 인에서 아웃으로, [[사토노 크라운]]이 아웃에서 인으로 교차하는 절묘한 매치 레이스의 구도에서 승자는 결국 키타산 블랙. 진창에서 나온 기록은 2분 8초 3으로 천황상(가을)의 거리가 단축된 1984년 후로 역대 가장 늦은 기록이었다[* 두번째 기록은 메지로 맥퀸이 사행으로 강착당하며 프랙크라스니에 1등을 내어준 바로 그 경기의 2분 2초 9보다 5.4초나 늦은 기록.]. 역대 5번째 천황상 춘추 연패였으며,[* [[타마모 크로스]](1988년), [[스페셜 위크]](1999년), [[티엠 오페라 오]](2000년), [[메이쇼 삼손]](2007년). 동년이 아닌 변칙 연패는 [[슈퍼 크릭]](1989년 가을·1990년 봄)가 있다.] 천황상 3승도 티엠 오페라 오 이래 2번째였다. 봄철 초하이페이스와 가을 태풍 뻘밭에서 각각 앞뒤로 레코드를 수립하며 만든 진귀한 기록이었다. 통산 G1 6승. 역대 첫 G1 8승마의 꿈도 눈앞에 다가와 있었다. 제37회 재팬 컵에서는 [[젠틸돈나]] 이후 두 번째 재팬 컵 연패를 노렸지만 편자가 빠지는 악재와 함께 아쉬운 3착으로 경기를 마무리한다. 직전 8일 타케 유타카가 낙마로 오른무릎을 다치면서 발생한 악재가 연이어 찾아든 셈. 부상 직후부터 20여일간 타케는 주전으로 출전하던 말들의 경주 수까지 줄여가며 재활을 앞당겨 키타산의 안장에 복귀했지만 아쉬운 결과를 받아들여야만 했다. 커리어 내내 장거리에서 키타산 블랙에게 분루를 삼키던 [[슈발 그랑]]의 승리. 이로서 JRA 최초의 G1 8승마의 꿈은 사그라들었지만 진영은 키타산이 약해져 패배한 것이 아니라는 확신을 가지고 마지막 아리마 기념의 고별전을 대비한다. [youtube(JhUxSfcbKMk)] 은퇴전이 된 제62회 아리마 기념의 추첨에서 도주에 유리한 2번 게이트를 받아들고 행운이 돌아왔음을 직감한 타케와 키타산 블랙은 [[퀸즈 링]]을 1 1/2마신 차로 따돌리고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담백한 스타트로 선두에 들어서자마자 마군을 짓눌러 13초대의 랩타임을 이끌어낸 키타산 블랙은 마지막 1000미터에서 가속, 후속의 추격을 허용치 않고 다시금 완벽한 슬로우 도주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중앙 경마 G1 7승이 되어, 당시 JRA 타이 기록을 세운다.[* 1984년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 [[심볼리 루돌프]], [[티엠 오페라 오]],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보드카(말)|보드카]], [[젠틸돈나]](국내 6승, 해외 1승)에 이은 6번째.][* 2022년 기준 G1 최다 승리는 [[아몬드 아이]]가 세운 9승(국내 8승, 해외 1승)이다.] 기수 타케 유타카는 이 경주로 아리마 기념 3승째, 그 3승이 전부 자신이 기승한 말의 은퇴전이었다는[* [[오구리 캡]](1990년), 딥 임팩트(2006년), 키타산 블랙(2017년)] 독특한 이력이다. 전 시즌에 이은 2년 연속 연도대표마의 선정은 덤. 은퇴전 우승 당시 키타지마 사부로가 감동의 눈물을 흘리며 스탠드에서 지켜보는 장면이 중계 카메라에 잡히기도 했고, 이 날 나카야마 경마장의 모든 경주가 끝나고 자리에 남은 5만 관중과 함께 [[https://www.youtube.com/watch?v=WTjwcylYFIY|"ありがとう キタサンブラック(고마워 키타산 블랙)"]]이라는 제목의 키타산 블랙을 위한 노래를 발표하며 특별 공연을 가지기도 했다. 은퇴전의 우승으로 키타산 블랙은 [[티엠 오페라 오]]의 최다 수득 상금 기록을 깨며 역대 일본마 수득 상금 1위에 올라섰다.[* 현 3위, 1위는 [[이퀴녹스]], 2위는 [[아몬드 아이]].] 기껏해야 500만엔 언저리로 팔린 값싼 마필이 일본의 그 어떤 경주마보다도 큰 돈을 벌어다 준 것이다.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 경주 스타일 == 현역 시절 거리적성은 봄황상 2연패에서 알 수 있듯 초장거리(Extended)로 분류되는 2701m 이상 경주에 맞춰져 있었으나 중거리에서도 밀리지 않는 스피드로 활약했다. 주요 각질은 좋은 스타트에 이어 후속 주자를 말 그대로 말려죽이는 도주 및 강선행. 요코야마 기수가 첫 아리마 기념의 대타 기승에서 선도한 뒤부터 몇몇 경주에서 선두를 양보하는 움직임을 선보인 걸 제외하면 키타산 블랙의 전략은 강선행으로 일관되었다. 순발력에 특장점은 없었지만 가을 천황상의 승리를 보면 알수 있듯 스태미나와 큰 덩치를 무기로 포지션 킵과 함께 지긋이 밀어나가는 주행이 특기였다. 거기에 무리가 갈 만한 일정을 소화하면서 뛰고도 기량 하락이나 잔부상 하나 없었던 터프함과, 3착 밖으로 밀려난 적이 2번 뿐인[* 15년 일본 더비 14착, 17년 [[타카라즈카 기념]] 9착.] 안정성이 좋게 평가받는다. 키타산 블랙의 강선행 능력은 역대 일본마 중에서 손꼽히는데, 이는 기수 타케 유타카의 정밀한 체내 시계로 페이스를 조절하는 것과 더불어 본마가 충분한 침착함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만 타케 유타카의 회고에 따르면 바로 앞에 경주마가 있을 때 쉬이 흥분하는 기질이 있었고, 2016년 아리마 기념의 패전은 키타산 블랙의 바로 앞에 말티즈 어포지가 자리잡아 있던 것을 이유 중 하나로 꼽았다. 이 때문에 선두에 서거나 아예 자기 앞의 도주마를 멀찍이 보내는 것이 좋았다고.] 커리어 동안 선두에서 흥분하는 기질이 없었으며, 도주마가 존재할 시 유도리 있게 선두를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포지셔닝이 정해진 이후로는 후속마가 추월할 수 없도록 상대의 스퍼트 이전에 페이스를 끌어올렸으며, 직선에서의 스퍼트도 직선이 긴 도쿄를 제외하면 키타산이 먼저 튀어나가 거리를 유지하는 식이었다. 이런 경주 방식의 응용례가 2017년 천황상 가을의 선입 우승으로, 타케 유타카의 실수로 게이트에 부딪혀 출발이 늦은 키타산 블랙이 경기를 1000m 넘게 남겨두고 홀로 서서히 올라가며 직선 전에 선두를 탈환한 뒤, 이후로 계속 뻗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샤다이는 덩치가 큰 것만 제외하면 [[선데이 사일런스]] 계통 중 가장 선데이 사일런스와 체질이 닮은 말이라는 평을 남겼다. 최강마 논쟁에 끼기에는 한끗 부족하지 않냐는 의견도 있지만 스테이어로는 상당히 고평가 받는다. 기수였던 타케 유타카는 2021년에 있었던 인터뷰에서 당대 최고의 명마인 [[아몬드 아이]]를 이기기 위해선 어떤 말을 고르겠냐는 질문에 딥 임팩트와 함께 키타산 블랙을 거론하기도 했다.[[https://g-journal.jp/2021/01/post_203355_2.html|#]][* 해당 인터뷰에서 타케 유타카는 키타산 블랙이 레이스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므로, 소모전으로써 아몬드 아이의 말각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 종마 생활 == [[파일:kitasan-black_stlg.jpg|width=100%]]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연도 || 교배료[br](만 엔) || 교배[br]두수 || 자마[br]두수 || Sire[br]순위[* 중앙경마 기준] || || 계양처 ||<-4>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 || 2018 || 500 || 130 || - ||<|3> - || || 2019 ||<|2> 400 || 110 || 84 || || 2020 || 92 || 82 || || 2021 || 300 || 102 || 55 || 85 || || 2022 || 500 || 177 || 72 || 14 || || 2023 || 1000 || 242 || (예정) || (예정) || || 2024 || 2000 || (만구) || (예정) || (예정) ||}}} === 종마 스타일 및 전망 === 선행~도주 각질이었던 키타산 블랙과 달리 자마들은 선입~추입 각질이 많고[* 2023년 12월 기준 최고 아웃풋 [[이퀴녹스]]가 2023년 두바이 시마 클래식에서 강선행을 보였고, 승리한 G1 6경기를 분석했을 때 앞쪽 위치에 있을수록 퍼포먼스가 좋아 강선행 내지는 선행 각질이 맞을 지 모른다는 전망이 있다. 고마에 접어들고 추입 스퍼트가 먹히지 않아 강선행이나 선행을 섞어 쓴 [[보드카(말)|보드카]] 같은 케이스가 있으므로, 현재 후방 각질의 유력마들도 적성을 좀 더 지켜봐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스테이 골드]]와 비슷하게 전반적으로 수말에 활약마가 편중된 콜트 사이어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첫 해 산구부터 연도대표마 이퀴녹스를 비롯한 중상 우승마를 여럿 배출하였고, 그 외에도 자마들의 평균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가 없는 현재 [[선데이 사일런스]]계의 차세대 유력 종마로 크게 기대받고 있다. 또 암말보다 수말이 낳을 수 있는 자마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자마가 현역에서 은퇴하고 씨수말로 전향했을 때 아버지의 종마 부담을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수말에 활약마가 편중된 것으로도 키타산 블랙의 종마생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기본적으로 현시점 선데이 사일런스의 직계 중에서 가장 고평가 받는 점을 생각해야한다. 선데이 사일런스계는 SS 본마가 죽고 딥 임팩트가 그 입지를 대체적으로 이어받아 최고 수준의 양혈과 아웃풋 자체가 딥 임팩트 쪽으로 쏠린 상황이다. 따라서 SS계 유력 종마풀이 대다수 딥 임팩트계로 이어지는데, 문제는 딥 임팩트 산구 수말들 성적이 아버지와 비교하기에 너무나 형편없는 수준이라 딥 임팩트 사후의 유력 종마의 밸런스가 잠깐이나마 킹맘보계인 [[로드 카날로아]]와 [[두라멘테]][* 다만 이쪽은 제대로 평가받기 직전 요절하여서 그 평가가 바랜 감이 없잖아 있다.]로 넘어갈 정도였다.[* 그러나 죽은 딥 임팩트의 산구가 끝까지 클래식을 휩쓸며 라스트 크롭인 2023년 세대 12두 중에 [[오귀스트 로댕(말)|오귀스트 로댕]]이라는 초 거물까지 남겨 결국 키타산이 SS계를 이을 때까지 압도적 입지를 굳히고 있었다.] 대표적인 딥 임팩트 산구 종마로 [[키즈나(말)|키즈나]]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암말쪽 성적이 좋은데다[* [[아카이 이토]]와 [[송라인(말)|송라인]] 등. 숫말 자마는 최고점이 [[딥 본드]]이다.(...)] 종마 성적에서 중요한 클래식 전선의 성적이 그리 뛰어나지 않다. 그 외 선데이 사일런스 직계로 [[다이와 메이저]]가 있지만 자마의 조숙 경향을 차치하고 이쪽은 나이가 많아서 곧 은퇴할 수순이다. 또 다른 딥 임팩트 산구 종마로 [[콘트레일]]이 있다. 양혈은 물론이고 역대 딥 임팩트 산구 수말 중 최고의 성적을 거둬 초년차, 2년차부터 1200만엔을 책정받았다. 목장에서의 평가가 매우 좋으며 이후 태어난 망아지들은 셀렉트 세일에서 키타산이나 [[에피파네이아]] 산구 못지 않은 거금으로 팔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기껏 전망에 불과하다. 첫 산구들도 데뷔하지 않아 평가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2023년 기준 키타산 블랙은 첫 자마인 이퀴녹스가 클래식 전선이랄 수 있는 경기들에서 2착 2회, 3세 천황상 (가을), 아리마 기념 우승 등 기록적인 성적을 냈고 솔 오리엔스도 사츠키상 우승, 일본 더비 2착 등 좋은 성적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라 평가가 매우 높다. 단순히 고점만 높은 것이 아니다. 터프와 더트 모두 압도적 승률 1위를 차지한 상태[* 2023년 기준으로 다른 유력 종마도 승마율이 높아야 3할대인 상황에서 '''키타산 블랙 혼자 승마율 4할대를 기록하고 있다.''']에, 다른 종마등의 반절 정도 되는 적은 숫자에도 상금권 5위 안으로 랭크인 될 만큼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입이 마르랴 고평가를 받고 있다. 종마로써의 단점은 일단 우선 선데이 사일런스 2세대이기 때문에 같은 2세대 빈마와 교배하면 SS 인브리드 3×3이 나와 근친 문제로 곤란해진다. 딥 임팩트 산구 암말로 가버리면 딥 임팩트(블랙 타이드) '''2×2'''가 나와버려 아예 불가능하다. 한편 그런 점에서 이미 일본 종마계가 딥 임팩트 핏줄의 과포화 현상을 겪었기 때문에 그 자마인 콘트레일과의 입지 경쟁은 다소 불가피해 보인다.[* 소위 "희석제"라 불리우는, 5대조 내에 인브리드가 없는 혈통의 외국산 수말을 데리고 와서 어떻게든 SS 인브리드를 해소하려고 노력하지만, 딥 임팩트계의 경우 현 시점에서 2세대인 수준이라 시간이 걸리고, 직접적으로는 키타산이건 콘트레일이건 딥 임팩트(블랙 타이드)를 확정적으로 25% 물려주므로 그쪽 인브리드는 글러먹었다고 봐도 좋다.] 어찌되었건 콘트레일 자마가 데뷔하는 2025년 시점이나 최소 클래식 전선에 들어가는 2026년까지는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의 최유력 종마로 군림해있을 가능성이 높다. === 2018~2021년 === 6세가 된 직후인 2018년 1월 7일에 교토 경마장에서 은퇴식이 개최되어 다음 날 8일자로 경주마 등록이 말소되었다. 9일에 2017년도 JRA상이 발표되어 2년 연속으로 연도 대표마에 선출. 2019년에는 처음으로 현창마 선정 투표에 이름을 올렸으나 5표가 부족해 선정되지 못했고, 다음해인 2020년 현창마 선정 투표에서 196표 중 158표(득표율 80.6%)를 얻어 34번째 현창마로 선정되었다. 현재는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씨수말로서 육성되고 있으며, 21년 첫 세대 자마들이 데뷔할 예정이다. 6월부터 키타산 블랙과 [[스윕 토쇼]] 사이에서 태어난 자마 피에드라 드 루나가 데뷔를 앞두고 있는데, 암말에 2세 여름도 안된 상황에서 519kg라는 거구를 자랑하고 있어서 아비 피는 못 속인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자마 중 [[https://db.netkeiba.com/horse/2019100295/|운]]이라는 이름을 가진 자마가 지방 신마전에서 1착을 하며 키타산 블랙 산구 첫 승리를 기록했고, 최초로 중앙 데뷔전을 치른 코나 블랙은 신마전 3착 기록 후[* 거리가 1600m에 1착이 [[로드 카날로아]]의 산구였단 점 때문에 아직까지 부정적인 평가는 없는 편이다.] 미승리전에서 승리하며 키타산 블랙 산구 첫 중앙 승리를 따냈다. 이퀴녹스가 본격적으로 활약하기 이전까지는 혈통 면에서는 한창 사토노 다이아몬드가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을 때 대비를 위해 언론에서 '초 엘리트 vs 잡초'라는 식으로 소개하기도 했지만 어디까지나 두라멘테나 사토노 다이아몬드보다 처질 뿐이지 중간은 간다는 평을 받았다. 물론 나쁘지 않은 정도지 좋은 혈통이라 하기는 어려운데다가 일본 마산업계의 2군격인 히다카 출신에, 키타산 블랙 자신부터 일본 경마의 추세인 조숙형이 아닌 만성형이라[* G1 승리가 15년 1회, 16년 2회, 17년 4회로 키타산 블랙의 전성기는 은퇴 당시인 17년으로 평가 받는다. 성적 외에 특히 눈에 띄는 기록을 세웠던 것도 이 시기였다.] 현대 경마에서의 평가점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며, [[용불용설|훈련으로 얻은 후천적 능력은 씨수말로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전례]][* 대표적으로 [[미호노 부르봉]] ]도 있어서 기대치는 애매한 편이었다. 그래도 키타산 자마들이 나오기 시작한 2021년에 신마전이나 미승리전을 바로 통과하는 말들이 있는 것을 보면 시작은 괜찮은 편이라고 할수 있겠다. 이 때문에 교배료가 300만 엔까지 깎였다가 2022년 교배료는 전년도 대비 200만 엔이 오른 500만 엔으로 책정되었는데, 신마전을 통과하는 말들이 많이 나오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사토노 다이아몬드]]는 전년도와 동일한 금액인 300만 엔을 유지했다. 샤다이 측에 따르면 종마로서의 키타산 블랙은 선데이 사일런스와 딥 임팩트처럼 기본적으로 자신의 특성을 물려주면서 암말 쪽 혈통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적성의 자마가 나오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노던 팜에서는 어쩌면 선데이 사일런스의 혈통은 키타산 블랙의 자마들이 이을지도 모를 정도라고 한다. 이후 [[이퀴녹스]]가 활약하면서 이 예상은 현실이 되었다. [[2021년]] [[11월 20일]],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에서 이퀴녹스가 승리하며 첫 중상마를 배출했다. === 2022년 === 2022년 킷카상에서 키타산 산구 중 유력 주자로 취급받던 [[가이아 포스]]가 출전했다. 1번 인기를 받았지만, 참패해버려 키타산 산구 중 유력 주자는 이퀴녹스 하나만 남았다. 이퀴녹스가 22년도의 중앙 평지 G1 1번인기의 저주[* 엄밀히는 21년 호프풀 스테이크스부터 22년 킷카상까지 16연속으로 1번 인기마가 패배하고 있었다. 추황상 이후에도 2세마들을 제외하곤 이퀴녹스만 1번 인기의 저주를 피했다.]를 뚫어내고 2022년 천황상 가을을 우승하며 첫 G1마를 배출하게 되었다. 아울러 천황상 가을이 2000m로 바뀐 이후의 첫 부자제패의 영광도 얻게 되었다. 이퀴녹스의 천황상 가을 우승직후 교배 문의가 폭증했다. 이후 [[아리마 기념]]까지 제패, 그 해 연도대표마를 수상하면서 첫 세대 산구부터 중장거리 G1 우승마를 내게 되었다. 이로서 종마로서의 가치는 한층 더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초년도 산구들의 인상적인 활약으로 2023년 교배료가 1000만 엔으로 2배 인상되었다. 이는 샤다이 소속의 종마들 중에선 5번째 고액에 해당하는데[* 1위는 1800만엔의 [[에피파네이아]], 공동 2위가 1200만엔의 [[콘트레일]], [[로드 카날로아]], [[키즈나(말)|키즈나]]고 그 다음이 바로 키타산 블랙이다. 그 선데이 사일런스-딥 임팩트 라인의 직계라 초년도부터 1200만엔을 찍어버린 콘트레일을 제외하면 모두 키타산 블랙보다 나이도 많고 이미 확실한 자마 실적을 보인 말들이다. 여담이지만 키타산 블랙 다음이 800만엔의 사르투날리아와 모리스, 700만엔의 드레퐁([[지오글리프]]의 부마)과 킹 카메하메하의 직계인 [[레이 데 오로]] 순이다.] 이마저도 교배권을 전부 채우면서 높아진 가치를 드러냈다. [[스윕 토쇼]]와의 교배로 태어난 자마인 피에드라 드 루나는 잦은 부상으로 데뷔가 미루어지다가 겨우 2022년 7월 31일에 데뷔했는데 첫 경주에서 13착을 하면서 마주측인 실크 레이싱 측은 더 이상 현역 속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바로 은퇴시켰고 스윕 토쇼의 목장에서 번식을 돌리지 않고 한동안 휴식을 취하게 한 후 2022년 10월 25일 노던 팜에서 진행하는 믹스 세일 경매에 출품되었고 결국 심볼리 목장에 600만엔에 판매되었다. === 2023년 === 2023년 샤다이 스탤리언 종마 시연회에선 하이라이트인 마지막 순서로 소개되기도 하였고, 3월에는 무려 일본 최강 암말이라는 평가를 받는 [[아몬드 아이]]와 교배를 하였다. 샤다이측에서 종마로서의 키타산 블랙에게 거는 기대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있다. 세간에서도 키타산 블랙의 G1 7승과 아몬드 아이의 G1 9승을 합친 '16관 베이비'의 탄생이라며 기대를 모으고 있는중. 참고로 아몬드 아이와 교배시 태어나는 자마는 SS 3x3의 인브리드가 발생한다.[* 개중에는 이퀴녹스의 능력을 눈여겨보아, 추후의 실적에 따라 이퀴녹스와 교배할 것도 고려한 예행이라는 평이 있다. 혈통적으로도 이퀴녹스와 교배할 시 SS 4x3에 헤일로 5x5x4의 인브리드로 매우 준수한 결과가 나온다.] 2023년 4월 기준으로도 이퀴녹스가 압도적인 퍼포먼스로 두바이 시마 클래식을 승리해 G1 3승을 달성하고, 23년 클래식 세대에서는 [[코나 코스트]]가 오카상에서 [[리버티 아일랜드]]와 4분의 3마신차로 2착을 거두며 선전, [[솔 오리엔스]]가 다른 말들보다 0.9초 더 빠르게 라스트 3F을 주파하는 추입을 해내면서 사츠키상을 따내면서 키타산 블랙이 유력 종마로 자리잡는 데 쐐기를 박았다. 특히 솔 오리엔스가 사츠키상을 우승하면서 키타산 블랙 산구 JRA 중앙 통산 100승 고지도 달성했고, 산구 2년차에 G1마 2마리(G1 4승)를 배출했다. 여기에 스킬빙이 더비 트라이얼인 아오바상에서 우승을 하면서 사츠키상마인 솔 오리엔스와 더비에서 맞붙을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https://twitter.com/katies_gem/status/1638132606138212352|교배 후 완전히 지쳐서 뻗어버린 사진]]이 공개된 후 걱정하는 의견도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실제로 2023년 6월 15일 기준 키타산 블랙의 올해 교배수가 200두를 넘겼다는 소식까지 나왔다. 문제는 딥 임팩트도 교배수가 최대 261두였고 로드 카날로아도 294인데 한해의 반도 안 지난 상태라 팬들은 걱정을 보내는 중이다.[* 물론 말의 임신기간과 경마에 출전한 말들이 3~5월생들이 유리한 점으로 인해 집중되는 기간이긴 하다.] 2023년 5월 2일, 나고야 11R Jpn3 [[카키츠바타 기념]]에서 또다른 키타산 블랙 자마인 윌슨 테소로가 승리[* 레코드]하면서 지방이나마 더트 중상 승리자마도 배출하게 되었다. 2023년 5월 21일 [[우준 빈마]]에서 코나 코스트가 3번 인기로 출전했으나 출발 직후 사행에 휩쓸리는 억까를 당하며 7착으로 패배, 2015년 클래식 구도를 그대로 재현했다. 2023년 5월 28일 [[도쿄 우준]]에서 [[솔 오리엔스]]가 1번 인기, [[스킬빙]]이 2번 인기로 출전. 솔 오리엔스는 2착으로 선전했으나, 스킬빙은 레이스 직후 심부전으로 그대로 세상을 떠났다. 2023년 6월 25일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이퀴녹스]]가 배당 1.3배의 압도적인 인기로 출주해 승리하여 [[천황상 (가을)]], [[아리마 기념]], [[두바이 시마 클래식]]에 이은 G1 4연승을 달성하였다. 여담으로 키타산 블랙이 일본 더비와 유이하게 착외로 들어온 2017년 타카라즈카 기념도 2023년과 같은 6월 25일 열렸다. 올해 데뷔하는 24년 클래식 세대의 키타산 자마들은 8월 6일까지 단 1승도 거두지 못했다. 다만 하필 2020년이 키타산 블랙의 그곳 부상으로 인해 종마 활동이 조기종료된 때라 자마 두수가 눈에 띄게 적은 탓도 있다. 이후 8월 20일 삿포로경마장에서 울 듀 보누르가 24년 클래식 세대 최초로 승리를 거뒀다. 2023년 11월 11일, 교토 점프 스테이크스에서 에코로 듀얼이 서툰 비월을 커버하는 추입으로 승리하면서 키타산 산구 중 최초의 장애물 중상마가 되었다. 이로서 키타산 블랙은 잔디-더트-장애물 모든 부문에서 중상마 자마를 배출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퀴녹스가 천황상 (가을)을 레코드로 연패한 후 재팬 컵[* 2번 인기 [[리버티 아일랜드]], 4번 인기 [[타이틀홀더]], 5번 인기 [[스타즈 온 어스]]로 강력한 두라멘테 자마들이 포진한 상황에서 승리를 쟁취해 아버지의 어깨를 추켜세웠다. 이후 타임폼 레이팅 136, 론진 레이팅 133을 부여받으며 레이팅 측면에서도 고평가받는 압승이었다.]도 압승하는 등 종마로서 여전한 고공행진[* 지표 중 특히 승마율이 괴상할 정도로 좋은데, 다른 유력 종마들도 높아야 3할대인 가운데 키타산 블랙만 4할대를 기록하고 있다.]을 기록하고 있는 덕택에, 2024년 키타산 블랙의 종부료는 1000만에서 2000만 엔으로 2배 상승했다. [[콘트레일]], [[에피파네이아]] 등보다도 더 높은, 현역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종마 중 최고액이다. 이퀴녹스가 2024년에 빠르게 스터드인하며 부담이 덜어질 것처럼 보였지만, [[https://news.yahoo.co.jp/articles/a21214b0f33adb2e39d1763790cd824b3b239821|두 말 모두에 기대를 거는 목장장의 반응을 미루어 보아]] 별 도움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2023년 12월 3일, [[챔피언스 컵]]에서 윌슨 테소로가 굉장한 말각으로 레몬 팝에 이은 2착을 기록하며 잔디에 이어 더트에서도 G1 2착마 자마를 배출했다. === 주요 산구 === 2019년생 * '''[[이퀴녹스]] - [[천황상 (가을)]](2022, 2023), [[아리마 기념]](2022),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월드컵 미팅|두바이 시마 클래식]](2023)''', '''[[타카라즈카 기념]](2023)''', '''[[재팬 컵]](2023)''',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21) * [[가이아 포스]] - [[세인트 라이트 기념]](2022) * 윌슨 테소로 - [[카키츠바타 기념]](2023), [[머큐리 컵]](2023), [[하쿠산대상전]](2023) * 에코로 듀얼 - 교토 점프 스테이크스(2023) 2020년생 * [[라벨(말)|라벨]][* 2022년 [[튤립상]] 우승마 나뮈르의 반형제. 외증조모가 [[쿄에이 마치]]다.] - [[아르테미스 스테이크스]](2022) * [[솔 오리엔스]] - '''[[사츠키상]](2023)''', [[케이세이배]](2023) * [[스킬빙]] - [[아오바상]](2023) == 기타 == * 엔카 가수였던 마주 키타지마 사부로는 2013년을 끝으로 연말 홍백가합전 출전을 그만두고 2015년 1월에 자신의 정기 공연을 마치는 등 일선에서 물러나게 됐다. 그런데 직후인 1월 31일 데뷔한 키타산 블랙이 맹활약을 하고 있었다. 데뷔 당일에는 처음에는 교토 자택에서 관전을 예정해뒀지만, 아침에 불현듯 나서 키타산 블랙의 데뷔 우승을 현지에서 지켜보고 있었다. 다음 해 2016년에는 경추 척수증 수술, 눈 수술 등 신체적인 고난이 잇따랐지만 그때마다 키타산 블랙의 활약을 지켜보며 기운을 낼 수 있었다고 한다. * 키타지마 사부로의 키타산 블랙을 통한 클래식 참전은 95년 오카상과 더비에 도전한 키타산 일런스, 97년 사츠키상의 키타산 후도, 2001년 일본 더비의 키타산 채널, 2009년 키타산 치프에 이은 다섯번째 도전이었다. G1에서는 오랜 기간 2001년 한신 쥬버나일 필리스의 키타산 버튼 4착이 최고 기록으로 남아있었지만 키타산 블랙의 우승으로 첫 G1을 획득하게 된다. * G1 4승을 거두는 2017년 당초에는 다음 시즌의 현역 속행도 생각하고 있었다고 한다. G1 승리를 맛보는 쾌감을 놓아주는 것은 아쉬운 일이니까. 하지만 인기 종마로 자리잡을만한 제안이 곳곳에서 들어오기 시작하고 있어서 말의 장래를 생각해 은퇴를 결정하게 된다. * 국화상의 본인 곡 마츠리 열창은 마주에 의한 시상대에서의 첫 공연 사례로 이후로도 승리를 쌓아갈 때마다 종종 키타지마는 마츠리, 그리고 고마워요 키타산 블랙이란 노래를 작곡해 공연하곤 했다. 고마워요 키타산 블랙은 이전 안녕 하이세이코, 쇼우 딥 임팩트 등 경주마의 헌정가를 작곡했던 야마다 타카오가 흔쾌히 참가해 작업했다. 엔카로서는 드물게 적지 않은 음원 수익이 나오고 있으며 키타지마는 이 곡으로 발생하는 수익을 재단법인 재팬 스터드북에 기부해 은퇴마 후원에 사용하도록 허가하고 있다. * 키타산 블랙은 주전 기수 타케 유타카 입장에서도 각별한 말이었다. 2010년 낙마 부상 이후 슬럼프에 빠지면서 기수 커리어가 끝날 위기를 맞고 있던 상황에서 [[스마트 팔콘]]을 통해 지방 레이스에서 여포처럼 활약하며 모티베이션을 유지하고 부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 키타산 블랙을 통해 중앙 레이스에 화려하게 복귀하며 50대가 지난 지금도 중소 목장 및 개인 마주들에게서 기승 의뢰를 받아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 [[미호노 부르봉]]을 연상시키는 언덕길 하드 트레이닝으로 다부진 마체를 자랑했는데, 이 하드 트레이닝은 미호노 부르봉에서 시작해 그를 벤치마킹했던 [[비와 하야히데]]의 트레이닝으로도 이어진다. 키타산을 담당한 시미즈 조교사가 비와 하야히데를 조교한 하마다 조교사의 제자였다. 다만 이 하드 트레이닝의 부작용으로 더비에서 참패한 뒤로는 반성하여 다른 말들과 비슷한 강도로 조교하였다.[[https://news.netkeiba.com/?pid=column_view&cid=37553|#]] [[https://number.bunshun.jp/articles/-/828071?page=3|#]] * 다른 경주마보다 머리 하나 더 큰, 웅장하고 밸런스 잡힌 마체의 소유자이기도 해서 현실판 [[흑왕호]]로 불리기도 했다. 실제로도 킷카상 최중량 우승마(530kg)이자 JRA G1 우승마 중 최고중량 2위(542kg, 1위는 560kg의 [[히시 아케보노]])이다. 덕분에 각 말을 구분하기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키타산 블랙의 레이스 영상에선 쉽게 키타산 블랙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다. * 일반적으로는 잔디에서 달리는 말보다 체력소모가 심한 더트에서 달리는 말이 조금 더 무게가 나가고, 장거리를 달리는 말보다 연비를 아낄 필요 없이 전력질주하는 단거리마가 무게가 더 나가는 것이 상식인데 키타산 블랙은 잔디 경주마이면서 장거리 전문마임에도 이정도 무게를 보여주어서 경마 팬들의 흥미를 사고 있다. 덕분에 "덩치와 속도는 외가쪽, 거리적성과 파워는 친가쪽에서 이어받은, 장점들 위주로 배합된 이상적인 조합"이란 평가를 듣기도 한다. * 대중적인 인기와는 달리 경마 매니아들에게는 '내곽 게이트가 아니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18두가 출전한 2015년 일본 더비에서는 17번 게이트를 받고 14착 참패를 당했고, 11두가 출전한 2017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도 10번 게이트를 배정받고 9착을 기록한 바 있어 이런 비판을 받는다. 3착 밖으로 밀려난 두 경기가 전부 외곽 게이트인 것. 물론 신마전(16두 중 14번 게이트)나 G2 세인트 라이트 기념(15두 중 13번)처럼 외곽을 받고도 이긴 경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주목받는 G1경기들인 더비와 그랑프리에서 패배한 게 인상이 강했던 듯 하다. 그리고 키타산 블랙의 각질인 강선행 자체가, 인코스를 빨리 잡고 치고나갈 수 있는 내곽이 압도적으로 유리할 수밖에 없긴 하다.]거나 '유명인 마주가 나댄다'는 등[* 키타산 블랙이 경주에서 우승하면 마주 키타지마씨가 직접 노래 공연을 했다.--진짜 위닝 라이브-- 다만, 원래 마주는 거의 다 [[높으신 분들|어마어마한 자산가]]들이라 그렇게 보인 듯 하다.] 이런저런 트집을 잡혀 저평가당하곤 했다. 물론 이는 현역 시절 하나하나 쌓아간 실적과 종마로서의 성적으로 인해 현재에는 거의 일소된 상태. * 라이벌로 자주 언급되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도 친구 겸 라이벌로 묘사되었고, 실제로도 사토노 다이아몬드가 신흥 강자로 떠오를 때 혈통상의 대비점, 현역 최강을 꺾은 신세대 그랑프리마라는 구도로 인해 라이벌처럼 묘사된 바 있다.] [[사토노 다이아몬드]]와는 2번의 승부가 있었으며 각각 1승(17년 천황상(봄)) 1패(16년 아리마 기념)의 전적을 기록했다. 다만 실질적으로 라이벌로서 맞붙은 전적은 클래식 동기들인 [[사토노 크라운]](6전 3승 1패), [[슈발 그랑]](8전 4승 1패) 등에 비하면 두드러지지 않는 편이다. 키타산 블랙의 커리어에서 가장 인상적인 천적은 클래식 시즌의 주인공이었던 [[두라멘테]]. 키타산 블랙에게 통산전적 3전 2승으로 설욕할 기회도 없이 부상으로 빠르게 은퇴한 말이다. 마지막까지 코 차이로 앞서며 선착조차 허용하지 않은, 키타산이 꺾지 못한 벽이라고 볼 수 있는 입장. 다만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3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애니메이션 3기]]에서는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두라멘테와의 전적이 제대로 강조되었다. * 현역 당시엔 마방에서 다른 말들을 이끄는 리더 역할을 맡았는데, 일단 덩치부터 다른 말들에 비해 크고 평소 다른 말들을 상냥하게 잘 이끌어주는 성격인데다 훈련시엔 자기가 선두로 나서서 열심히 모범을 보여서 자연스레 마방의 말들의 리더가 되었다고 한다. * 은퇴 당시 역대 1위의 우승 상금을 탄 말이었고, 구입 비용 대비 수익[* 추정 구입비용 350~500만 엔, 상금 약 18억 엔으로 적게는 거의 380배, 많게는 거의 535배에 가까운 수치. 180배의 수익을 올린 [[티엠 오페라 오]]나 [[메이쇼 도토]], 100배의 수익을 올린 [[모리스(말)|모리스]] 등을 압도적으로 상회한다.]으로 따지면 정말 역대급인 말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타지마 사부로가 워낙 오랫동안 마주로 활동해 왔으며 주로 지방 중소목장의 말들을 구입해 데뷔시켜 왔기에 아직도 마주로서의 수익금은 마이너스라고 한다. * 현재 가장 기대받는 종마이지만 23년 데뷔하는 21년산 산구는 불과 55두에 그쳤는데, 이는 교배 중 [[고자라니|영 좋지 못한 사고]]로 부상을 당해 20시즌 교배를 조기 종료했기 때문[* 키타산이 덩치가 커서 암말들이 겁에 질려 몸부림치는 일이 있다고 한다.]. 그래도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 회복했다고 한다. * 마주가 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 3기 방영 직전에 방영된 파카라이브에서 직접 축전을 보냈다. 축전에서 "내 애마가 나온다니 기대가 된다"라고 밝혔다. * 반형제+전형제 통틀어서 9남 2녀 중 셋째이자 삼남인데, 반형제 중 2021년생 남동생인 슈가 쿤(아비 [[두라멘테]])의 [[https://news.yahoo.co.jp/articles/9673034f25495c95490c8eed8c46ad7579b4ceb2|몸놀림이나 승마감이 아주 좋으며 2023년 연말 기준 데뷔를 기대한다는 반응이 뜨겁다]]는 뉴스도 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85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65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5> 2015년 {{{-1 (3세)}}} || || 1.31 || [[도쿄 경마장|도쿄]] ||<-2> 3세 신마 || 잔디 1800m || 7.9 || 3 || '''{{{#RED 1착}}}''' || [[고토 히로키(기수)|고토 히로키]] || (미키 조이) || || 2.22 || [[도쿄 경마장|도쿄]] ||<-2> 3세 500만 이하 || 잔디 2000m || 48.4 || 9 || '''{{{#RED 1착}}}''' ||<|2> 키타무라 히로시 || (사토노 라젠) || || 3.22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스프링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800m || 12.3 || 5 || '''{{{#RED 1착}}}''' || ([[리얼 스틸(말)|리얼 스틸]]) || || 4.19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9.7 || 4 || {{{#Green 3착}}} || [[하마나카 스구루]] || [[두라멘테]] || || 5.31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우준]][br]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20.7 || 6 || {{{#black 14착}}} ||<|3> 키타무라 히로시 || [[두라멘테]] || || 9.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세인트 라이트 기념]] || GII || 잔디 2200m || 12.5 || 6 || '''{{{#RED 1착}}}''' || (뮈제 에일리언) || || 10.25 || [[교토 경마장|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13.4 || 5 || '''{{{#RED 1착}}}''' || ([[리얼 스틸]]) || || 12.27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8.4 || 4 || {{{#Green 3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골드 액터]] || ||<-15> 2016년 {{{-1 (4세)}}} || || 4.3 || [[한신 경마장|한신]] ||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 || GII || 잔디 2000m || 6.2 || 5 || {{{#Blue 2착}}} ||<|6> [[타케 유타카]] || 앰비셔스 || || 5.1 || [[교토 경마장|교토]] || '''[[천황상 (봄)]]''' || '''GI''' || 잔디 3200m || 4.5 || 2 || '''{{{#RED 1착}}}''' || ([[카렌 미로틱]]) || || 6.26 || [[한신 경마장|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5 || 2 || {{{#Green 3착}}} || [[마리알라이트]] || || 10.1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대상전]] || GII || 잔디 2400m || 1.8 || 1 || '''{{{#RED 1착}}}''' || (어드마이어 데우스) || || 11.27 ||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3.8 || 1 || '''{{{#RED 1착}}}''' || ([[사운즈 오브 어스]]) || || 12.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2.7 || 2 || {{{#Blue 2착}}} || [[사토노 다이아몬드]] || ||<-15> 2017년 {{{-1 (5세)}}} || || 4.2 || [[한신 경마장|한신]] || '''[[오사카배]]''' || '''GI'''[* 2017년부터 GI으로 승격되었다.] || 잔디 2000m || 2.4 || 1 || '''{{{#RED 1착}}}''' ||<|6> [[타케 유타카]] || (스테파노스) || || 4.30 || [[교토 경마장|교토]] || '''[[천황상|천황상 (봄)]]''' || '''GI''' || 잔디 3200m || 2.2 || 1 || '''{{{#RED 1착}}}[*레코드 WR3:12.5]''' || ([[슈발 그랑]]) || || 6.25 || [[한신 경마장|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1.4 || 1 || {{{#black 9착}}} || [[사토노 크라운]] || || 10.29 || [[도쿄 경마장|도쿄]] || '''[[천황상 (가을)]]''' || '''GI''' || 잔디 2000m || 3.1 || 1 || '''{{{#RED 1착}}}''' || ([[사토노 크라운]]) || || 11.26 ||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2.1 || 1 || {{{#Green 3착}}} || [[슈발 그랑]] || || 12.2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9 || 1 || '''{{{#RED 1착}}}''' || ([[퀸즈 링]]) ||}}} [include(틀:킷카상,grade=GI)] [include(틀:천황상 봄,grade=GI)] [include(틀:재팬 컵,grade=GI)] [include(틀:오사카배,grade=GI)]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include(틀:아리마 기념,grade=GI)] ---- [include(틀:스프링 스테이크스,grade=GII)] [include(틀:세인트 라이트 기념,grade=GII)] [include(틀:교토대상전,grade=G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123)]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2012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선데이 사일런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