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포지/세트)] ||<-2>
<:> {{{#F8F8FF '''{{{+3 Dark Tidings}}}'''[br] [[파일:20px-Dt.png|width=15]] '''어둠의 물결'''}}} || ||<-2><:> [[파일:어둠의_물결_스타터.jpg|width=100%]] || || '''발매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3월 || ||<-2><:> {{{#F8F8FF '''등장 세력'''}}} || ||<-2> 섀도우, 언테임드, 스타 얼라이언스,[br]로고스, 생텀, 사우리안, '''언패더머블''' || ||<-12> [[파일:20px-Dt.png|width=15]] '''{{{#ffffff [[키포지: 어둠의 물결|{{{#ffffff 키포지: 어둠의 물결}}}]]의 등장 세력}}}''' || ||<-4> [[파일:키포지 로고스.png|width=50px]][br] '''[[로고스(키포지)|{{{#d2691e 로고스}}}]]''' ||<-4> [[파일:키포지 생텀.png|width=50px]][br] '''[[생텀(키포지)|{{{#1e90ff 생텀}}}]]''' ||<-4> [[파일:키포지 사우리안.png|width=50px]][br] '''[[사우리안(키포지)|{{{#!html 사우리안 }}}]]''' || ||<-3> [[파일:키포지 섀도우.png|width=50px]][br] '''[[섀도우(키포지)|{{{#ffd700 섀도우}}}]]''' ||<-3> [[파일:키포지 스타 얼라이언스.png|width=50px]][br] '''[[스타 얼라이언스(키포지)|{{{#2d4981 스타 얼라이언스}}}]]''' ||<-3> [[파일:키포지 언패더머블.png|width=50px]][br] '''[[언패더머블|{{{#d581b5 언패더머블}}}]]''' ||<-3> [[파일:키포지 언테임드.png|width=50px]][br] '''[[언테임드|{{{#228b22 언테임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포지]]의 다섯번째 세트. 2021년 3월에 전세계 출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슈로 미국에서는 출시가 2021년 5월로 미루어졌고[* 심지어 전 세트인 [[키포지: 집단 변이]]와 어둠의 물결은 둘 다 '''2020년 출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둘 다 출시일이 미루어졌다. 그나마 집단 변이는 2020년에 출시되었으나 어둠의 물결은 2021년 3월로 미루어졌고, 이마저 북미 출시는 2달 더 미뤄진 것.], 아이러니하게도 결과적으로 3월에 발매된 한글판이 미국판보다 먼저 출시되었다. 통칭 DT. == 특징 == 최초로 덱에 투입되지 않는 '38번째 카드' 시스템을 도입한 세트. 새로운 메커니즘을 도입해서인지 아니면 대부분의 카드 효과에 물결이라는 추가 조건이 붙어서인지, 카드별 파워가 강하다고 평가받던 전 세트 집단 변이에 비하면 카드 파워가 약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국제 대회 등을 통해 실제 상위 랭킹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어둠의 물결 세트가 집단 변이에 비해 승률이 더 높다는 평가가 지배적으로 변해 전체적인 세트의 평가가 상승했다고 보는 추세다. === 물결 === [[파일:키포지 물결.png]] [[파일:키포지 물결 한글.png]] 물결이라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출시되었으며, [[파일:키포지 물결 아이콘.png|width=13px]] 물결 카드가 이름 카드처럼 덱에 투입되지 않는 '38번째 카드'로 등장하였다. 자신이 '높은 물결'이 아닐 때(자신이 '낮은 물결'일 때/'''물결이 초기화 상태일 때'''), 3 체인을 코스트로 지불해 물결을 자신 쪽으로 올려 '높은 물결'로 만들 수 있다.(그 경우 상대는 '낮은 물결'이 된다.) 이번 세트의 카드는 물결과 상호작용하는 카드가 많다. '높은 물결'일 때 효과가 강화되거나, '낮은 물결'일 때 페널티를 받거나, '낮은 물결'일 때 오히려 어드밴티지를 얻는 등. 한때 두 플레이어의 덱에 물결 카드가 없어도 물결 메커니즘을 사용 가능하다는 재정이 존재했었다. 이는 [[Worlds Collide]]에서 변칙 카드로 등장한 [[키포지/카드 일람/어둠의 물결/언패더머블#발루캔스|발루캔스]] 카드가 덱에 포함된 경우로 인한 룰 재정으로, 변칙 카드로 등장한 발루캔스 없이도 물결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었다. 단 발루캔스나 어둠의 물결 출신 카드가 없다면 물결을 사용하는 행위는 단순히 3 체인을 얻는 행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드로우에 제한을 걸어 덱 순환을 늦추는 것''' 외에는 어떠한 쓸모도 없었다. 그러나 고스트 갤럭시 이관 이후 마스터 룰북 16부터 재정이 바뀌어 '''불가능'''해졌는데, 플레이어 중 물결 참조 카드가 '''포함된''' 덱이 1개 이상 게임에 사용되어야만[* "만약 물결 참조 카드가 있는 키포지 덱이 1개 이상 게임에 사용되었다면, 모든 플레이어는 물결과 상호작용하며 그에 영향을 받습니다."(The tide is a game state represented by the Tide reference card, which is included with some KeyForge decks. If one or more KeyForge decks used in a game include a Tide reference card, then all players can interact with, and be affected by, the tide.)] 물결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규칙이 개정되었기 때문. === 사악한 분신 === 카드와 덱 구성 모두에 [[파일:키포지 사악한 분신 아이콘.png|width=13px]] 사악한 분신(Evil Twin)이라는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카드 쪽 시스템은 말 그대로 이름이 같지만 '사악한 분신'이라는 카드명이 추가로 붙으며 원본보다 파괴적 효과를 지닌 카드가 같이 출시되는 방식으로, 후술한 사악한 분신 덱에서만 투입되는 특수한 레어도의 카드이다. 덱 구성 시스템은 원래 덱과 덱 레시피가 거의 비슷하지만 해당 덱에 존재하는 특정 카드들이 그 카드의 '사악한 분신' 카드로 대체되는 'OO의 사악한 분신' 덱이 한 쌍으로 생성된다. 그러나 특성상 두 덱이 같은 소유자에게 들어갈 확률은 물론, 각자 덱의 소유자가 만나서 게임을 하거나 '''서로를 인지하는 것'''부터가 상당히 어렵다.[* 이 시스템이 '''[[유희왕]]'''과 그 주인공 [[무토우 유우기]]와 '''[[어둠의 유우기]]'''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국내 키포지 커뮤니티에 관련 드립이 많았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J4E__a15wow|어느 덱과 그 사악한 분신 덱 소유자가 만나 플레이하는 영상]] 제목을 '''[[어둠의 게임|어둠의 듀얼]]'''이라고 적었을 정도.] === 언패더머블 === Worlds Collide에 이어 [[언패더머블]]이라는 새로운 세력이 추가되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키포지 어드벤처]] === 별도의 덱으로 플레이하는 [[코옵]] 모드, [[키포지 어드벤처]]가 추가되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카드 일람 == [[키포지/카드 일람/어둠의 물결]] 항목 참조. [[분류:키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