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ingsSynchro-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킹스 싱크로'''|| || 일어판 명칭 ||'''[ruby(王者の調和, ruby=キングス・シンクロ)]'''|| || 영어판 명칭 ||'''King's Synchro'''|| ||<-2> 일반 함정 || ||<-2>①: 자신 필드의 싱크로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 그 싱크로 몬스터 1장과 자신 묘지의 튜너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대상 몬스터만을 소재로 하여 싱크로 소환한다. 그때의 싱크로 소재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고 제외된다.|| 왕자의 조화라 쓰고 킹스 싱크로라 읽는다. [[유희왕 ARC-V]] 96화에서 [[잭 아틀라스(유희왕 ARC-V)|잭 아틀라스]]가 사용, [[사카키 유우야]]의 [[마술사(유희왕)|각검의 마술사]]가 공격력이 내려간 [[레드 와이반]]을 공격할 때 발동했다. 레벨 6 레드 와이반과 묘지의 레벨 2 [[레드 레조네이터]]를 제외하고 레벨 8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를 싱크로 소환했다. == OCG == [[파일:王者の調和.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킹스 싱크로, 일어판 명칭=王者の調和(キングス・シンクロ), 영어판 명칭=King's Synchro, 효과1=①: 상대 몬스터가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에 공격 선언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그 후\, 이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2=●그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와 자신 묘지의 튜너 1장을 제외하고\, 제외한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와 같은 레벨을 가지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카드다. [[리미트 오버 드라이브]]처럼 레벨만 맞으면 어떤 싱크로 몬스터라도 소환할 수 있는데, 제외가 꽤 뼈아프지만 이 특수 소환을 정규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해준다. 다만 공격 반응형 함정 카드인 게 문제.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나 싱크로 몬스터 둘 중 하나가 날아갈 확률이 매우 높아 쓰기 어렵다. 하지만 소재 조건이 빡빡한 싱크로 몬스터도 레벨만 맞으면 정규 싱크로 소환으로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히든 카드로 쓸 수도 있다. 일러스트의 인물이 [[카이바 세토]]나 [[잭 아틀라스]]를 섞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킹스''' 싱크로라는 이름을 보면 잭 아틀라스로 추정된다. 비슷한 효과와 이름을 가진 카드로 [[왕혼조화]]가 있다. 그런데 한자 표기는 비슷하면서 읽는 법은 다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인베이전 오브 베놈]] || INOV-KR06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JP06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Vengeance]] || INOV-EN067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Duelist Pack: Dimensional Guardians || DPDG-EN034 ||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