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d80c18,#d80c18 '''{{{+1 타마요미}}}'''[br][ruby(球詠, ruby=たまよみ)][br]''TAMAYOMI'' : The Baseball Girl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타마요미_1권 표지(한).jpg|width=100%]]}}} || || '''{{{#fffffe,#fffffe 장르}}}''' ||[[스포츠물|스포츠]], [[야구]], [[청춘]], [[백합(장르)|백합]] || || '''{{{#fffffe,#fffffe 작가}}}''' ||마운틴 푸쿠이치 || || '''{{{#fffffe,#fffffe 번역가}}}''' ||김동주 ,,(1~6권),, → YDJ ,,(7권~),, || || '''{{{#fffffe,#fffffe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호분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미미디어]] || || '''{{{#fffffe,#fffffe 연재처}}}''' ||[[망가타임 키라라 포워드]] || || '''{{{#fffffe,#fffffe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망가타임 KR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S코믹스 || || '''{{{#fffffe,#fffffe 연재 기간}}}''' ||2016년 6월호 ~ 연재 중 || || '''{{{#fffffe,#fffffe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3권 ,,(2023. 04. 1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권 ,,(2022. 04. 28.),,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야구]] 만화. 작가는 마운틴 푸쿠이치(マウンテンプクイチ). 모에한 그림체와 여자 고교생을 내세우고 있는 점, 제목도 주연 두명의 이름 커플링이라 얼핏 흔한 미소녀 일상 백합물로 오해하기 쉽지만, 내용은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을 소재로 한 본격파 청춘 야구 만화에 가깝다. 농밀한 야구 묘사가 특징으로, 등장인물과 팀 역시 실제 야구 선수나 구단을 모티브로 따온 경우가 많다. == 줄거리 == >중학교 시절 1회전 패배 야구부의 투수였던 타케다 요미. >포수를 못 만나 던질 수 없었던 「마구」에의 후회를 품은 채, >야구부가 활동 자숙 중인 신코시가야 고등학교에 진학한다. >거기서 요미가 재회한 것은, 소꿉친구인 야마자키 타마키. >포수로써 노력해온 타마키는 요미의 전력 투구를 받아낼 수 있었다. >어렸을 적 맹세한 약속을 지킨 채 우연히 재회한 배터리는, >한 번 멈춰 섰던 「야구의 길」을 다시 걷기 시작한다……. > >흰 공을 사랑하는 소녀들의 이야기, 개막! == 발매 현황 == ||
'''{{{#d80c18 01권}}}''' || '''{{{#d80c18 02권}}}''' || '''{{{#d80c18 03권}}}''' || || [[파일:타마요미_1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2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3권 표지(한).jpg|width=100%]] ||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1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20일[br][[파일:e북.svg|width=20]] 2019년 11월 25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6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05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5월 13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1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1월 10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5월 13일}}}''' || ||<-3> || || '''{{{#d80c18 04권}}}''' || '''{{{#d80c18 05권}}}''' || '''{{{#d80c18 06권}}}''' || || [[파일:타마요미_4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5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6권 표지(한).jpg|width=100%]] ||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7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2월 07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5월 13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3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3월 16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6월 05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4월 10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6월 05일}}}''' || ||<-3> || || '''{{{#d80c18 07권}}}''' || '''{{{#d80c18 08권}}}''' || '''{{{#d80c18 09권}}}''' || || [[파일:타마요미_7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8권 표지(한).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9권 표지(한).jpg|width=100%]] ||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4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8월 06일[br][[파일:e북.svg|width=20]] 2020년 10월 08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6월 1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5월 22일[br][[파일:e북.svg|width=20]] 2021년 07월 16일}}}'''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3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4월 28일[br][[파일:e북.svg|width=20]] 2022년 07월 15일}}}''' || ||<-3> || || '''{{{#d80c18 10권}}}''' || '''{{{#d80c18 11권}}}''' || '''{{{#d80c18 12권}}}''' || || [[파일:타마요미_10권 표지(일).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11권 표지(일).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_12권 표지(일).jpg|width=100%]] ||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9월 09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10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0윌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3> || || '''{{{#d80c18 13권}}}''' || '''{{{#d80c18 14권}}}''' || '''{{{#d80c18 15권}}}''' || || [[파일:타마요미_13권 표지(일).jpg|width=100%]] || [[파일:타마요미 14권 표지.jpg|width=100%]] || ||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04월 1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10월 1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fffff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발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2016년 6월부터 [[망가타임 키라라 포워드]]에서 월간 연재되다가 단행본이 망가타임 KR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애니메이션 방영을 7개월 앞둔 시점에서 [[소미미디어]]가 정식 한국어 판 1권을 발매했다. ([[https://blog.naver.com/s_novel/221643646959|#]]) 하지만 9권 발매 이후 10권부터는 1년 넘게 정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소미미디어가 사실상 버린 작품으로 굳어지고 있다. ||
'''{{{#a8d4bb 단행본}}}''' || '''{{{#a8d4bb 표지}}}''' || '''{{{#a8d4bb 속지}}}''' || '''{{{#a8d4bb 선수 명단}}}''' || ||<|2> 1권 ||<|2> [[타케다 요미]] || [[타케다 요미]] || [[타케다 요미]] || || [[야마자키 타마키]] || [[야마자키 타마키]] || ||<|2> 2권 ||<|2> [[야마자키 타마키]] || [[나카무라 노조미]] || [[나카무라 노조미]] || || [[오오무라 시라기쿠]] || [[후지타 스미레]] || ||<|2> 3권 ||<|2> [[나카무라 노조미]] || [[카와사키 료우]] || [[후지와라 리사]] || || [[후지타 스미레]] || [[카와사키 료우]] || ||<|2> 4권 ||<|2> [[카와구치 이부키]] || [[오카다 레이]] || [[카와구치 이부키]] || || [[후지와라 리사]] || [[오카다 레이]] || ||<|2> 5권 ||<|2> [[오오무라 시라기쿠]] || [[나카타 나오]] || [[오오무라 시라기쿠]] || || [[요우 슈게츠]] || [[카와구치 요시노]] || ||<|2> 6권 ||<|2> [[오카다 레이]] || [[타마요미/등장인물#s-4.5|타카시로 메구미]] || [[나카타 나오]] || || [[타마요미/등장인물#s-4.3|시라이 리코]] || [[요우 슈게츠]] || ||<|2> 7권 ||<|2> [[후지와라 리사]] || [[쿠보타 요리코]] || [[아사쿠라 치카게]] || || [[아사쿠라 치카게]] || [[쿠보타 요리코]] || ||<|2> 8권 ||<|2> [[카와사키 료우]] || [[타마요미/등장인물#s-2.7|오오시마 루루]] || [[오오노 아유미]] || || [[오오노 아유미]] || [[타마요미/등장인물#s-2.7|오오시마 루루]] || ||<|2> 9권 ||<|2> [[후지타 스미레]] || [[카와하라 히카리]] || [[카와하라 히카리]] || || [[타마요미/등장인물#s-11|히다카 나기]] || [[타마요미/등장인물#s-11|히다카 나기]] || ||<|2> 10권 ||<|2> [[카와하라 히카리]] || 카네코 코하루 || 카네코 코하루 || || 요시다 미즈키 || 요시다 미즈키 || ||<|2> 11권 ||<|2> [[카와구치 요시노]] || 쿠도 나츠키 || 쿠도 나츠키 || || 마츠오카 리오 || 마츠오카 리오 || ||<|2> 12권 ||<|2> [[타케다 요미]] || 마츠이 하루나 || 마츠이 하루나 || || 오오토모 코토하 || 오오토모 코토하 || ||<|2> 13권 ||<|2> [[야마자키 타마키]] || 소노카와 모에 || 소노카와 모에 || || 후쿠자와 아야나 || 후쿠자와 아야나 || ||<|2> 14권 ||<|2> [[나카무라 노조미]] || 모로즈미 코노미 || 모로즈미 코노미 || || 이가라시 유코 || 이가라시 유코 || == 특징 == 작가인 마운틴 푸쿠이치는 전작으로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에서 4컷 만화 아마유루.(あまゆる.)[*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2012년 12월호 ~ 2015년 1월호 연재.]를 연재한 적 있으며, 동인 쪽에서의 활동도 꾸준히 이어 와 기존에 냈던 동인지[* 서클명 ぽんぽんお.]와 [[코믹 유리히메]]에 투고한 작품을 묶어 단편집으로 출간하기도 했다.[* 나나유리(ななゆり), 푸쿠유리(ぷくゆり).] 이러한 작풍 탓인지 본작에선 주요 등장인물부터 관중까지 전부 여자만 나오는 것도 특징이다.[* 아예 비중이 없는 엑스트라까지 포함시켜도 1권 초입에서 요시노가 읽고 있는 야구잡지의 표지모델인 오오니시와, 2권 리사의 회상에서 오기시마 걸즈를 응원하는 남자 관중 정도 밖에 없다.] 또, 여자프로야구[* 실제로 일본에 존재하는 리그다.]가 [[사키 -Saki-|세계적인 메이저 스포츠로 인정받고 있다는 설정]]인듯. 아기자기하면서도 모에한 그림체와 등장인물이 전원 여자라는 점에서 자칫 [[케이온!]]과 비슷하게 야구물을 위장한 일상물로 착각할 수 있으나, 실상은 작가가 야구에 대해 가진 시선과, [[세이버메트릭스]]와 올드스쿨을 넘나드는 상상초월의 스팩트럼과 깊이를 가진 야구 지식이 합쳐져서 만들어낸 '''야구에, 야구에 의한, 야구만을 위한 만화 그 자체'''다. 작가의 전작은 백합이 대부분이고, 따라서 이 작품 역시 여자가 전부이므로 백합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작중에서 연애감정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아 그런 경향은 거의 없다.[* [[타케다 요미]]&[[야마자키 타마키]]와 [[나카무라 노조미]]&[[카와구치 요시노]] 같은 경우가 유독 친밀함을 과시하지만 백합 수준은 아니고 다른 스포츠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정 요소의 미소녀 버전 정도로 보면 된다.]--당연하지 야구할 시간도 부족한데-- 다른 특징으로는 치열한 야구 한 경기를 치른 뒤 그 화 안에서나 혹은 다음화에서 바로 다음 경기나 훈련을 강행하는 스토리가 압권이다. 일상물이 아닌 스포츠물이라도 한 에피소드가 끝나면 해당 경기의 여운에 잠기며 내용을 회상한다던가, 잠시 등장인물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식으로 2~3화는 쉬어가는 것이 보통인데 여긴 그런거 없다. 말 그대로 작중에서 '''진짜 야구 외에 다른 장면은 몇 컷이 안된다'''.--[[김성근|???:한마디로 쉴 틈은 없다 그러지 않나 시퍼요]]-- 다른 만화같으면 1~2화 분량을 쓸 주인공 요미의 중학교 시절 과거사를[* 중학교 때 아구팀이 교내 클럽활동 수준이어서 애써 익힌 변화구도 못 던지고 설렁설렁하는 야구밖에 못 했다는 설정. --단 두줄로 요약 가능한 주인공의 과거사--] 단 몇 컷만에 끝낼 정도로 캐릭터의 개인사나 복잡한 인간관계 또는 드라마에 분량을 할애하지 않고 최대한 야구 묘사에만 집중한다. 또한 주인공 캐릭터의 부모나 형제자매, 친구 등이라도 야구와 관련이 없다면 아예 등장하지 않으며[* 다만 예외적으로 [[오오무라 시라기쿠]]의 어머니가 딸을 응원하러 관중으로 등장한 적은 있긴한데 그마저도 대사는 한마디도 없으며 이름도 나오지 않는다.] 이름이 붙는 캐릭터도 주인공 팀&상대 팀의 선수와 감독으로만 한정되어 있는 등 철저하게 야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야구를 하지 않으면 이름을 가질 자격이 없는 만화-- 게다가 대놓고 [[FIP]]이라던가 [[WHIP]]같은 왠만한 열성 야구팬들조차 의미조차 모를 전문 용어를 작중 보여지는 선수 기록지에 대놓고 걸어놓고, 그에 기반한 전문적인 야구 이론들을 한가득 넣은 대사들을 여고생들이 말하고 있는 것을 보고 있으면 위화감에 웃음이 나올 지경. 이렇다 보니 작중에서 실질적으로 플레이를 할 때와 훈련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분량과 전개는 세이버건 올드스쿨이건 가릴것 없이 동원할거 다 동원해서 상대를 뼛속까지 발라 분석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상대 팀 투수들의 상황별 교체와 소화 이닝을 분석한다던가, 이미 홈런을 친 4번을 상대로 거는 시프트와 그에 따른 구종선택을 언급한다거나.] 그뿐 아니라 경기 중에도 데이터를 고려한 수많은 작전들과 그에 따른 갈등 또한 유발되므로 그것을 보며 생각하는 것 역시 이 만화의 하나의 묘미. 주 배경은 [[사이타마현]] [[코시가야시]]다. 귀여운 그림체와는 별개로 캐릭터들의 대퇴근이 매우 디테일하게 묘사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그림체로 인해 생기는 선입견 때문에 선이 굵은 정통 야구만화 스타일에 익숙한 야구만화 팬들을 독자층으로 끌어들이기가 쉽지가 않으며 어쩌다 보게 되더라도 키라라풍 그림체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경우도 많다. == [[타마요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마요미/등장인물)] == [[타마요미/경기 진행|경기 진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마요미/경기 진행)] 목차를 보는 것만으로도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 == 미디어 믹스 == === [[타마요미/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마요미/애니메이션)] == 기타 == * [[만화 갤러리]] 등지에서도 인지도가 있긴 하지만 특히 [[해외야구 갤러리]]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만화에서 설명된 야구 이론이나 묘사된 경기 내용 등이 타 만화들과 비교해 현실의 야구에 들어맞는 점이 많아 호평을 산 듯하다.~~프로틴을 마신다던가, 세이콘 드립을 친다거나, [[BABIP]]을 언급한다거나~~[* 특히 "[[공을 굴리면 무언가가 일어난다]]"는 대사 때문에 경기 중 내야 수비에서 실책이 발생하는 경우 "타--팩--마요미 연전연승"이라는 글이 도배되는 게 일상.] '타마 요미 마이너 갤러리'도 따로 만들어졌는데, 여기도 여타 만화 갤러리보다 해외야구 갤러리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음해문화, n행시 등이 판친다. * 연재 4년차에 접어드는 장기 연재작이지만 3년 동안 한번도 [[망가타임 키라라 포워드|연재지 표지]]를 장식한 적이 없었다. 표지를 그릴 기회가 적은 월간지임을 고려해도 잡지 차원에서 밀어주는 작품은 아니었다는 것이 중론. 료유칸전 연재 도중 [[애니화|반응]]을 [[그러나 이 사진이 표지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얻지 못했다면...]] 그래도 2019년에 들어선 1월호, 5월호, 8월호 표지를 연달아 장식하며 애니화까지 확정된 마당이니 더 이상 연재중단 걱정은 안 해도 될 듯. 일각에선 [[야구/올림픽·아시안 게임 퇴출 문제|올림픽 야구 문제]]도 해결되고 [[2020 도쿄 올림픽]] 개최 시기와 맞물려 득을 본 케이스라고도 본다. * 작가가 실제로 일본의 야구 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팬이다. 그런데 트위터 계정으로 선수 욕하던 것이 걸려서 계정을 지웠다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baseball_ab/4235469?page=2|#]] --리얼 야구팬 그 자체-- * 덕아웃 매거진에서 진행한 삼성 라이온즈 [[김상헌(응원단장)|김상헌 응원단장]] 인터뷰에서도 언급됐다.[[https://gall.dcinside.com/baseball_ab/4526281]] ~~야구 종사자들도 인정한 대세만화의 증거~~ * 정발판 한정으로 오역 문제가 매권 발생하고 있다. 앞 파트에서는 [[카와구치 이부키]](川口)라고 제대로 번역해놓고 뒤에서는 야마구치(山口)라고 틀리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아사이 카요코를 하나코로 번역하는 등[* 한자가 어려운 이름도 아니고 원문을 보면 한자 옆에 후리가나로 친절하게 카요코라고 써주었는데도 틀렸으며, 이부키는 카게모리 전에 이어 마미야 전 내내 야마구치라고 오역당했다.] 주로 이름 번역에서 실수가 많은 편이며 그 밖에도 2권에서 [[쿠보타 요리코]]에 대해 현내 최고 구속 투수라고 소개하는 부분을 앞뒤 다 자르고 그냥 '''최강 투수'''라고 번역하여 마치 쿠보타가 ~~팩질러가 아니라~~세계관 최강자인 것처럼 되어버린 사례도 있는 등[* 이는 오독보다는 번역자의 야구에 대한 몰이해에 기인한 결과로 추정된다. 한마디로 '''"구속이 제일 빠르다=최강"'''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해서 최강 투수라고 의역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몰입과 올바른 내용 이해를 방해하는 자잘한 오역들이 굉장히 많다. 그 밖에도 야구 용어 번역에 대해 국내 표준 표기를 준용하지 않고 일본식 표기를 따라가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볼넷을 볼포로 번역하거나 라인드라이브 타구 또는 직선타를 라이너로 번역하고 있다.] 7권부터는 번역자가 바뀌었지만 그 나물에 그 밥인지, 8권에서도 조크(ジョーク)를 쇼크(ショック)라고 오독해서 번역하거나[* '''이건 그냥 장난인데요''' 정도의 의미를 '''이거 완전 쇼크인데요'''라고 엉뚱한 번역을 했다.] 가을대회의 줄임말인 秋大를 그냥 '''아키대'''라고 학교 이름처럼 오역하는 등 고질적인 오역 문제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나마 9권은 오역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9권 이후로는 단행본 정발이 뚝 끊기고 말았다. * 2021년 6월, 무대화가 결정되어 상연이 이루어졌다. 내용은 야나대 카와고에와의 연습 시합 파트까지. [[분류:타마요미]][[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