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BaconSaver-JP-Anime-ZX.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타스켈톤'''|| || 일어판 명칭 ||<-4>'''タスケルトン'''|| || 영어판 명칭 ||<-4>'''Bacon Sav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언데드족]] || 700 || 600 || ||<-5>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이 전투를 실행할 경우, 자신의 묘지의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그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그 전투에 의해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유희왕 ZEXAL]]에서 [[츠쿠모 유마]]가 사용. 작중에서는 [[트론(유희왕)|트론]]과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풀 엘프]]와 함께 [[No.34 전산기야수 테라바이트]]의 엑시즈 소재가 된 후 자신의 효과로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로부터의 전투 파괴 및 데미지를 막아냈다. ZEXAL II에서는 [[No.96 블랙 미스트]]와의 듀얼에서도 사용되었으며, [[가가가 가드너]]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후 [[CNo.96 블랙 스톰]]의 공격을 막아냈다. 이름은 '구하다, 도와주다'라는 뜻의 타스케루(助ける)와 해골을 뜻하는 스켈레톤(skeleton), 돼지를 뜻하는 돈(とん)을 합친 말장난. 말장난에 맞게 일러스트도 해골이 몸에서 빠져나와 뛰쳐나가는 미묘한 모습인데 이는 애니메이션의 효과 발동시의 연출을 묘사한 것이다.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로부터 [[CNo.39 유토피아 레이]]를 지키기 위해 효과를 발동했을 당시의 연출[* 코트 오브 암즈 변형 형태의 팔에 쥐여잡혔으나 자기 몸을 계속 부풀리더니 끝내 껍데기는 날아가버리고 해골만 남아서 파괴된다.]을 카드로 그려놓은 것. 그러니까 해골이 빠져나오는 게 아니고 '''껍데기가 벗겨지는 거다.''' 묘지에서 발동한다는 점과 언데드족임을 생각하면 묘하게 잘 맞아떨어진다. 한편 영어판 이름은 돼지라서 그런지 ''''[[베이컨|Bacon]]''' Saver'로 바뀌었다. 이는 목숨 등 가장 중요한 것을 지키거나 위험한 고비를 넘긴다는 뜻의 영어 표현인 'save one's bacon'라는 표현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123_1.jpg]] || 한글판 명칭 ||<-4>'''타스켈톤'''|| || 일어판 명칭 ||<-4>'''タスケルトン'''|| || 영어판 명칭 ||<-4>'''Bacon Sav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언데드족]] || 700 || 600 || ||<-5>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배틀 스텝시, 묘지의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타스켈톤"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 밖에 발동할 수 없다.|| 자신을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공격을 무효로 하는 [[유발즉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네크로 가드너]]의 상호 호환.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대신 [[No.39 유토피아|자신 몬스터가 공격할 때도]] [[더블 업 찬스|효과를 쓸 수 있다.]] 배틀 스탭에만 발동 가능이라는 조건이 달려있으나 사실상 공격 선언 시의 상황에 대응하는 카드들은 일부 데미지 스탭에도 발동 가능한 공수 증감 효과를 지닌 카드들을 제외하면 전부 배틀 스탭에 발동하는 카드들이므로 네크로 가드너와 사용 방면에서 다를 바가 없다. 한때는 '배틀 스탭에만 발동 가능하기에 직접 공격에는 대응하지 않는다'라는 소리도 있었으나, 이렇게 되면 직접 공격 시에는 배틀 스탭을 거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되므로 배틀 스탭 시 발동 가능한 [[차원 유폐]]나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등 또한 직접 공격에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직접 공격시에도 대응 가능한 카드이니 안심하고 활용해주자. 얼핏 네크로 가드너와 다를 바 없는 효과에 듀얼 중 1번만 발동 가능이라는 제한만이 붙어있어 네크로 가드너의 하위 호환이라고 생각될 수 있으나, 유토피아와 같이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 또한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렬 장갑]]이나 [[차원 유폐]] 등 '공격을 실행중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삼는' 카드에 체인으로 타스켈톤을 발동하면 해당 카드가 불발되어 더 이상 공격을 실행중인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므로 몬스터를 보존할 수 있다. 물론 거울의 힘처럼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 카드를 상대로는 무용지물이지만, [[더블 업 찬스]]를 사용시 써먹을 수 있다. 레벨 2이기 때문에 [[정크 싱크론]]으로 소생시킬 수 있다는 점과 묘지에서의 소생이 용이한 언데드족이라는 점 또한 네크로 가드너와는 차별시되는 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우주의 섬광]] || CBLZ-KR00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JP00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EN00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19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네크로 가드너]]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네크로 가드너, version=62)] [[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