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타인을 부를 때 [[성씨|성]]이나 [[이름]], 혹은 [[애칭]]이나 [[별명]] 등이 아닌 오로지 [[풀네임]]만으로 부르는 캐릭터다. == [[한국]] == 어느 문화권이나 다 그렇지만 한국에서도 공식 석상이나 통성명, 자기 소개 정도를 제외하면 상대를 본명, [[풀네임]]으로만 부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스포츠 중계나 언론 기사같이 직접 대화가 아닌 지칭이면 모를까 눈앞에 그 사람이 있는데 생면부지의 남이 풀네임+"님" 또는 "씨" 등의 표현없이 풀네임만 나오는건 거의 99% 싸울 때 나오는 말. 그나마 학창시절에 타인을 풀네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성 말고 이름으로만 부르면 친한 사이인 듯하게 생각되는지라 별로 친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풀네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성 간에는 정말 붙임성이 좋지 않은 이상은 이름만 부르는 경우가 드물다. 다만 평소에 이름만으로 부르던 사람이 갑자기 풀네임으로 부르는 경우엔 순간 분위기도 싸해지고 뭔가 잘못한 건가 하는 기분이 들게 만든다. 예를 들어 갑자기 부모님이 풀네임으로 부를 때 등⋯. 그만큼 우리나라에서도 풀네임으로 부르는 것은 어딘가 딱딱하다는 느낌을 준다. 근데 한국은 대부분의 사람 이름이 3~4음절 내로 끊기지만 그 제한도 없는 서양권에서는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래서 한자문화권에서 쓰는 [[자(이름)|자]], [[아호|호]], 아명, 서양 문화권에서 애칭, 약칭 등이 수없이 나오는 것이다. 여담으로 흔한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들은 엄청 고통받는다. 누군지 구별하기 위해서 성까지 같이 불러야하기 때문⋯. == [[일본]] == [[일본어]]에서는 공적인 관계에서는 [[성씨]]로, 더욱 가까운 관계에서는 이름으로 부른다. 성과 이름을 모아서 부를 때는 자기소개나 통성명 정도이다. 그만큼 어색하고 무뚝뚝한 표현이다. 이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많으며 심지어는 무례해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데도 상대를 언제나 본명(풀네임)으로 부르는 캐릭터를 말한다. 이런 캐릭터들 대부분은 타인과 어떠한 관계도 갖지 않겠다는 거리감을 두고 있는 캐릭터인 경우가 많으며, 현재 세계 사람이 아닌 다른 세계 사람이라는 콘셉트도 갖고 있을 수 있다. 한국이나 서양권처럼 상대에게 화났을때도 풀네임으로 부른다. 자세한 점은 [[일본/문화/호칭|일본문화의 호칭관계문제]] 참조. 다만 특정한 이유로 어떠한 사람의 이름만 풀네임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아래 해당하는 캐릭터에서 괄호를 친 경우가 그렇다. 위에서 설명한 경우가 아니라 특정인에게만 이렇게 부르는 경우에는 이름으로 부를만큼 상대방과 가까워지고 싶은데 괜스레 부끄러워서 그러지는 못하겠다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풀네임으로 부른다. 이는 [[츤데레]]의 한 유형이다. 이 관계에 있을 경우 이름만 부르는 것으로 호칭이 바뀌는 것이 갈등의 해소를 암시하기도 한다. 혹은 그저 남들과는 가깝지만 특정인에게만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좋지 않게 생각한다든가 등) 이를 드러내기 위함인 경우도 있다. == 다른 문화권 == [[중국]]에선 오히려 친근감을 표시하기 위해 [[풀네임]]으로 부른다. 한국에서도 친근함의 표시로 풀네임으로 부른 경우가 존재. 반대로 화자가 청자에게 화가 났다는 뜻이나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을 부를 때 쓰이기도 하는 등 문맥과 억양에 따라 다르다. 서양에선 그런 거 없이 100% 화가 났다는 뜻. 영미권에서 영국과 미국을 막론하고 풀네임을 부른다면 화가 났다는 뜻이다. 미국 매체에서 엄마가 자식을 다그칠 때 풀네임을 부르는 걸 쉽게 볼 수 있다.[* 영국 기준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론 위즐리]]가 자동차를 몰다가 사고를 쳤을 때 그 [[몰리 위즐리|엄마]]가 "로널드 위즐리"라고 부르며 혼냈으며([[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편]]), 대판 다투고 친구를 버리고 떠났다가 돌아왔을 때도 여친인 [[헤르미온느 그레인저]]가 "로널드 위즐리 개자식"이라고 불렀다([[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7편]]). 미국 기준 톰 소여의 모험을 읽어보면 담임인 도빈스가 톰을 혼내기 이전 '토머스 소여!'라고 풀네임을 부른다.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 보스 베이비를 보면, 주인공 팀이 엄마한테 혼날 때 풀네임인 '티모시 레슬리 템플턴'이라고 불리는 걸 볼 수 있다. 빅뱅 이론의 쉘든이 혼날 때 "셸든 리 쿠퍼!!"라 하는 것도 볼 수 있다. 비슷하게, 우리나라에서도 부모가 자녀의 성과 이름을 같이 부르면 보통 화낼 때다.] 예외적인 경우가 [[피너츠]]의 등장인물 전원이 [[찰리 브라운]]를 풀네임으로 부를 때. 북한에서는 예외적으로, 사람을 부를 때 성씨를 부르면 불경죄에 해당한다. 풀네임을 부를 수 있는 사람은 오직 김씨 3부자 수령동지 뿐으로 그 외의 사람에 대해서는 호칭을 할 때 이름+존칭의 형태로 부르게 되어있다. 가끔 일본 애니에서 어색한 대상한테 성씨만 부르는 경우에 한국식으로 로컬라이징할 때는 풀네임으로 부르는 걸로 설정한다. 아니면 그냥 처음부터 이름으로 말하거나 이름을 말하지 않고 너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물론 사이가 좋아지면 본격적으로 이름을 부르는 건 동일. 2017년경에는 [[오버워치]]의 캐릭터들을 무조건 풀네임으로만 부르는 오버워치 플레이어가 오버워치 북미 서버에 돌아다녔다. ~~"[[바스티온|SST Laboratories Siege Automaton E54, "Bastion"]] is there"~~ == 해당하는 캐릭터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더블]] - [[필립(가면라이더 W)|필립]][* 자신과 [[히다리 쇼타로|주변]][[나루미 아키코|인물]]이나 가족 외엔 죄다 풀네임으로 부른다.] * [[가면라이더 포제]] - [[우타호시 켄고]](더빙판 한정)[* 원판에서는 [[죠지마 유우키]]를 제외한 모두를 성으로 부른다. 또한 더빙판에서는 [[키사라기 겐타로]](독고달호)를 부를 때 성인 '독고'만 부른다.] * [[가면라이더 제로원]] - [[나키(가면라이더 제로원)|나키]]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히바리 쿄야]][* 별명을 부를 때 등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 [[겟 백커스]] - 후유키 시드 * [[경계의 린네]] - [[로쿠도 린네]]([[마미야 사쿠라]]에게) * [[그녀의 플래그가 꺾이면]] - 다이묘자무라이 메이 (하타테 소우타에게)[* 그런데 풀네임으로 부르면서도 존댓말을 쓴다.] *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 [[이누이 사쥬나]]([[키타가와 마린]],[[고죠 와카나]]에게) * [[기동전사 건담 00]] - [[세츠나 F. 세이에이]](2기시점 동료들에겐 해당되지않음) * [[기타 소녀]] - [[한미소]] ↔ [[임모아]]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쿠로기리]] *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 [[에이아이 나노]] * [[네가 죽어]] - [[야부사메 아리스]] * [[니세코이]] - [[츠구미 세이시로]]([[이치죠 라쿠]], [[타치바나 마리카]] 한정) * [[단간론파1]] - [[야마다 히후미]][* 이 특성이 나중에 사건의 [[야스히로 타에코|중요한 열쇠]]가 된다.] * [[단간론파 어나더]] - [[마에다 유우키|우츠로]] * [[데이트 어 라이브]] - [[토비이치 오리가미]][* 시도한테는 처음에 풀네임으로 말했지만 나중에 시도라고만 한다. 그리고 11권까지 친하지 않은 주변인물을 전부 풀네임으로 부른다.] * [[도라에몽]] - [[퉁퉁이]], [[비실이]](더빙판에서 [[노진구]]를 부를 때 한정) * [[도쿄 구울]] - [[아리마 키쇼]]([[카네키 켄]] 한정) * [[듀얼 마스터즈]] - 아카기야마 바사라(키리후다 캇타한테) * [[디지몬 세이버즈]] - [[고우키]]([[최건우|다이몬 마사루]]한테) * [[마녀의 심판은 꽃이 된다]] - [[수선화(레드스트링)|수선화]]([[김네로]]한테)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시리즈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아케미 호무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포터블]]에서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냉정해진 호무라도 어느정도 친해진 상대에 한해서는 성(姓)에 '상(さん)'을 붙여서 부른다. 사쿠라 상, 미키 상 같이. ~~그런데 이 경우는 사무적인 관계에서 주로 쓰는 호칭이란 게 함정~~ 마도카는 예외.] * [[마법소녀 오리코☆마기카]] - [[미쿠니 오리코]][* [[쿠레 키리카]], [[아사코 코마키]] 제외.] * [[마요치키!]] - [[우사미 마사무네]] ([[스즈츠키 카나데]]에게) * [[모네 양의 너무 진지한 교제법]] - 타소가레 노바라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LOVE!|미남고교 지구방위부 LOVE!LOVE!]]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LOVE!#s-5.2.1|벳푸 아키히코]]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LOVE!#s-5.2.1|벳푸 하루히코]] ( [[하코네 유모토]] 한정) * [[방울이tv]] - [[조이서(방울이tv)|조이서]][* [[박피티]]에게만 풀네임으로 부른다.], [[매석두]], [[김또라]][* [[매석두]]에게만 풀네임으로 부른다.], [[박피티]][* [[김낚시]] 제외], [[물미역(방울이tv)|물미역]] * [[버디파이트]] - 닥터 가라 *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 [[요코데라 요우토]] ([[아즈키 아즈사]]에게) * [[블루 아카이브]] - [[우자와 레이사]] ([[쿄야마 카즈사]] 한정) * [[사실 나는]] - [[아이자와 나기사]] * [[삼자삼엽]] - 츠지 남매(오다기리 후타바 한정)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프로토스]] 전원[* 테란식 성명까지 전부 풀네임으로 말한다.] *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 - [[미나미야 나츠키]], [[키라사카 사야카]]([[아카츠키 코죠]]에게)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 [[사와무라 스펜서 에리리]] * [[식극의 소마]] - [[아라토 히사코]]([[유키히라 소마]] 한정) *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 [[모플]]([[카니에 세야]] 한정) * [[아이돌 마스터]] - [[시죠 타카네]][* SP때 961 소속이었던 히비키, 미키는 이름으로 부른다. 아즈사나 아미마미도 이름으로 부르는 걸 보면 보통 성으로 부르는 경우에 풀네임으로 부르는 듯.] * [[아이실드21]] - [[신 세이쥬로]] * [[아이★츄]] - [[오리하라 히카루]], [[야카쿠 쿠로]][* 둘 다 같은 그룹 멤버는 제외.], [[야마노베 미오]]([[POP’N STAR]] 멤버 한정) * [[악마와 러브송]] - 카와이 마리아 (초반부 한정) * [[악마의 파트너]] - 미츠카 모토나리[* 애인에게는 예외다.] * [[앙상블 스타즈!!]] - [[HiMERU]][* [[카제하야 타츠미]] 한정. 나머지 캐릭터들은 대부분 성으로만 부른다.] * [[여중생A]] * [[장미래]][* [[이양선]], [[나유진]], [[박하늘(여중생A)|박하늘]]과 성이 공개되지 않는 등장인물은 제외.] * [[김유리(여중생A)|김유리]], [[장노란]] ↔ [[장미래]] * [[역전재판 시리즈]] - [[카루마 메이]][* 단, [[미츠루기 레이지]]는 아마 어렸을 때부터 썼을 호칭인 '레이지'라고 부를 때도 있고 다소 적대적으로 대할 때에는 풀네임으로 부르기도 한다.] * [[오빠지만 사랑만 있으면 상관없잖아]] - 니카이도 아라시 * [[오타쿠에게 사랑은 어려워]] - 카바쿠라 타로[* 고교시절 코야나기를 상대로 그렇게 불렀다.]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라이바루 죠]]([[센푸지 마이토]]에게) * [[우리는 공부를 못해]] - [[세키죠 사와코]] * [[유루유리]] - [[스기우라 아야노]]([[토시노 쿄코]] 한정. 그리고 부를 때 항상 독특한 억양으로 부른다.) * [[이나즈마 일레븐 GO 갤럭시]] - [[미즈카와 미노리]][* 진짜 미노리가 아니라, 포토무리와 융합된 상태.], [[포토무리]] * [[일상(만화)|일상]] - [[사사하라 코지로]]([[타치바나 미사토]]에게. 타인에게는 불명[* 교사에게는 성만으로 부르는 경향이 있어 지적받기도 했다.]) * [[전국 바사라]] - [[다테 마사무네(전국 바사라)|다테 마사무네]]([[사나다 유키무라(전국 바사라)|사나다 유키무라]] 한정) * [[지휘봉의 행방]] - [[도도 다카토라]] * [[캄피오네!]] - [[릴리아나 크란차르]][* 소꿉친구이자 라이벌인 [[에리카 브랑델리]]는 예외.] * [[캐릭캐릭 체인지/애니메이션|캐릭캐릭 체인지]][* 더빙판은 무국적화 로컬라이징이라 해당 없음.] - [[호토리 타다세]]([[츠키요미 이쿠토]]에게),[* 최종대전 이후에는 오해를 풀고 예전처럼 서로 화해하며 이 설정이 없어진다.] [[루루 드 몰세르]]([[히나모리 아무]]에게) * [[켄간 아슈라]] - [[토키타 오우마]][* 1부 및 야마시타 카즈오 한정.] * [[크레용 신짱]] - [[스오토메 아이]]([[사토 마사오]]에게) * [[투 러브 트러블]] - [[금빛 어둠]]([[유우키 리토]]에게) * [[투하트2]] - [[토나미 유마]]([[코우노 타카아키]]에게) * [[페르소나 3]] - [[엘리자베스(페르소나 시리즈)|엘리자베스]][* 남동생인 테오도어는 예외.] * [[펜트하우스 시리즈]] - 대부분의 등장인물들([[민설아]]에게)[* [[심수련]], [[로건 리]], [[오윤희]]는 예외.]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텐마 츠카사]]([[모모이 아이리]]에게) * [[프리큐어 시리즈]] * [[하트캐치 프리큐어!]] - [[하나사키 츠보미]][* 더빙판 한정.] * [[피터 그릴과 현자의 시간]] - 리사 알파카스 * [[하이스쿨 DxD]] - [[발리 루시퍼]]([[효우도 잇세이]]에게) * [[해리 포터 시리즈]] - [[도비]],[* 해리 포터 한정.] [[드레이코 말포이]] * [[혁명기 발브레이브]] - [[엘엘프]] * [[홀리랜드]] - 이자와 마사키[* [[카미시로 유우]]에게 한정.] * [[AIR(게임)|AIR]] - [[미치루(AIR)|미치루]]([[쿠니사키 유키토]]에게) * [[BanG Dream!]] - [[츄츄(BanG Dream!)|타마데 치유]][* [[RAISE A SUILEN]] 멤버들과 [[미나토 유키나]]를 제외한 모든 등장인물들을 서양식으로 이름 - 성 순으로 부른다. 유키나는 성 - 이름 순, RAS 멤버들은 예명으로 부른다.] * [[Caligula -칼리굴라-]] - [[섀도나이프]]([[토모에 코타로]]에게), [[쿠치나시(Caligula -칼리굴라-)|쿠치나시]]([[비와사카 에이지]]에게) * [[Cytus II]] - [[Ivy(Cytus II)|Ivy]] * [[Steins;Gate]] - [[아마네 스즈하]][* 본편 한정. 다른 세계선, 즉 외전에서는 아닌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Steins;Gate 0]]에서는 그냥 정상적으로 성씨와 함께 호칭을 붙인다. 예를 들어 주인공인 [[오카베 린타로]]를 오카베 아저씨라고 부른다.] * [[디즈니 트위스티드 원더랜드]] - [[오르토 슈라우드]][* 입력된 정보를 통해 말을 하는 캐릭터라 풀네임을 부른다.]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레이야(컴파스)|레이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풀네임, version=27)] [[분류:유형별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