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000,#ddd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 ||<-3> {{{#ff0 '''{{{+1 [ruby(塔城, ruby=Tǎchéng)][ruby(地区, ruby=Dìqū)] | تارباغاتاي ۋىلايىتى}}}'''[br]타청지구 | Tacheng Prefectu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塔城地区,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행정공서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청지구[br]타청시 신화루169호[br]新疆维吾尔自治区塔城地区[br]塔城市新华路169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94,698.1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현급시 7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138,638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2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65.73% | [[카자흐족]] 19.76%[br][[회족]] 6.99% | [[위구르족]] 3.16% || ||<-2> '''{{{#ffff00 서기}}}''' || 쉐빈(薛斌) || ||<-2> '''{{{#ffff00 전원}}}''' || 아이딘 투르한^^([[카자흐족]])^^[br](阿依丁·托留汗)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00억 9,800만 ^^(2019)^^ || || '''{{{#ffff00 1인당}}}''' || $7,842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구화}}}''' || 정향꽃 || || '''{{{#ffff00 구목}}}''' || [[상수리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新G'''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塔'''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5'''4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01''' || ||<-2> '''{{{#ffff00 우편번호}}}''' || '''8343'''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J-42''' ||}}}}}}}}} || ||<-3> [[http://xjtc.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인근 [[알타이지구]]와 함께 지급행정구의 신분을 가지지만 상위에 성급행정구가 아닌 지급행정구인 [[일리 카자흐 자치주]]에 소속되어있다. == 역사 == 고대 [[흉노]]가 거주하였던 지역이었으며 [[한나라]]가 서역도호부(西域都护府)를 설치하고 통치한 적이 있다. 한나라가 물러난 이후 [[돌궐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가 [[당나라]]가 차지한 이후 곤릉도호부(昆陵都护府)와 북정도호부(北庭都护府)가 이 지역에 걸쳐서 설치되었으며 당나라가 물러난 이후 [[위구르 제국]], [[고창회골]] 등의 위구르인의 나라가 세워졌으며 이들은 [[거란족]]의 [[서요]]에 멸망당하고 서요의 통치를 받는다. 서요가 [[몽골제국]]에게 붕괴하면서 [[차가타이 칸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차가타이는 [[모굴리스탄 칸국]]을 거쳐서 [[준가르]]에게 점령당한다. 준가르가 [[청나라]]에게 붕괴하고 청나라는 이 지역을 [[몽골어]] 명칭 그대로 타르바가타이[* [[마못]]이 많이 사는 땅이라는 뜻]라고 불렀으며, 러시아 제국에서는 추구착[* 몽골어 명칭 타르바가타이가 [[몬데그린]] 현상으로 잘못 알려졌다.]이라고 불렀다. 청나라는 만주 방면에 거주하던 몽골계 민족인 다우르족 일부를 이 지역을 중심으로 사민시켰다. [[중화민국]]이 이 지역에 타청현(塔城县)을 설치하면서 타청지구의 명칭이 처음 등장한다. [[유라시아주의]] 역사가 레프 구밀료프가 'Хунну: Срединная Азия в древние времена'(흉노, 고대 중아시아사) 논문을 저술할 때 타르바가타이 지역의 [[유목민]]들에 대한 연구 조사 분석을 근거 사례로 제시하기도 했다. 여기서 구밀료프는 알타이 산맥 근처 타청지구를 유목민 사회를 정적인 유목민 사회의 대표 사례로 들었다. > 1937년에는 당시 소련과학아카데미 민족지학 연구소 동남아시아 민족지학부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1956년 중앙아시아에서 레닌그라드로 돌아온 그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도서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소련 과학아카데미의 동양학 연구소에 취직해서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높이려고 했으나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동양학 연구소에서는 그에게 논문을 의뢰해서 'Хунну: Срединная Азия в древние времена'(흉노, 고대 중아시아사)를 발표하게 된다. > > 여기에 그의 독특한 민족 형성학 이론의 배경이 된 'Passionarity' 가 포함되며, 후에 국가박사학위논문에서 구체화 되었다. 그가 학문적으로 크게 인정받는 3가지 이론은 지리 결정론, 민족형성론, 유라시아주의이다. 그가 처음 세운 이론 중에 하나는 지리결정론(Географический детерминизм, Geographical determinism)이다. 그는 자연풍경과 기후가 사람들의 경제 및 사회 정치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보여주는지를 밝혔다. > > 천산의 서부 지역, Tarbagatai, 알타이 지역의 경사면은 여름은 건조하고 더워서 초목이 타서 여름에는 유목민이 가축을 산악 목초지로 몰아 넣어서 가축을 자연방목했고, 겨울에는 건초를 준비해서 직접 먹이를 주는 것을 목격했다. 양(그 외의 동물)이 직접 먹이를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각 집단은 여름과 겨울나기를 위한 고유한 장소가 있었기 때문에 거의 접촉하지 않았으며 국가를 만들 필요가 없었다. > > 이러한 풍경은 중앙집권화가 일어나지 않는 지역에서 자주 목격되었고, 이와 반대의 현상이 목격되는 곳은 유연, 오이라트와 같은 곳에서 발견된다고 추론했다. 그의 이론이 영어, 프랑스어, 헝가리어, 독일어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지리결정론 때문이었다. 그의 민족형성이론(теории этногенеза, the theory of ethnogenesis)은 국가박사학위논문에서 공식화 된 것이었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30996&cid=69894&categoryId=69894|출처]] 그의 이론은 20세기 중반 이래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페르낭 브로델|아날 학파]]의 이론 그리고 [[이븐 할둔]]의 아사비야[* 집단의 연대의식] 이론과도 매칭되는 것이라서 서구 사회에서도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1950년]], 타정전원공서(塔城专员公署)가 설치되었으며 이 때부터 타청지구로 불리우기 시작한다. 그리고 [[1976년]], [[신장생산건설병단]] 소속 [[스허쯔시]](石河子市)가 타청지구에서 독립한다. == 교통 == 관내에 타청 첸취안 공항(塔城千泉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의 경우 타청역이 존재하며 커타철도(克塔铁路)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