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원위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3 0%, #DC143C 20%, #DC143C 80%, #9C0013); color: #ece5b6" '''북위 제4대 황제[br]{{{+1 은왕 | 隱王}}}'''}}} || ||<|2> '''출생''' ||연대 미상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2> '''즉위''' ||[[452년]] [[3월 12일]]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 황궁[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2> '''사망''' ||[[452년]] [[10월 29일]]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 황궁[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 ||'''{{{#ece5b6 제4대 황제}}}''' || ||[[452년]] [[3월 12일]] ~ [[452년]] [[10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탁발부|탁발(拓跋)]] || || '''휘''' ||여(余) || || '''부모''' ||부황 [[태무제|세조]][br]모후 좌소의 서씨 || || '''형제자매''' ||11남 2녀 중 6남 || || '''종교''' ||[[불교]] || || '''자''' ||가박진(可博眞) || || '''작호''' ||오왕(吳王) → 남안왕(南安王) || || '''시호''' ||'''은왕(隱王)''' || || '''연호''' ||승평(承平, [[452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북조 [[북위]]의 제4대 혹은 비정통 황제이다. 제3대 세조 [[태무제]]의 6남이다. 즉위 이전에는 남안왕에 봉해졌기에 남안왕(南安王)으로 불렸으며, 452년 태무제가 피살당하자 황제로 추대되어 제위에 올랐다. == 치세 == 실권은 환관이었던 빙익왕 종애가 잡고 있었다. 꼭두각시에 불과한 탁발여는 제위에 오르자 놀기만 했고, 국고를 탕진하여 백성들의 원성이 매우 컸다. 그러다가 실권을 잡고 있었던 종애의 권세가 높아지자 황권을 회복하기 위해 그를 제거하려고 했으나 오히려 실패하고 종애에게 살해당했다. 하지만 종애는 유니(劉尼) 외의 4명이 정변을 일으켜 그들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탁발여는 즉위 이전 작위인 남안왕(南安王)에 시호인 '은'(隱)을 합쳐서 남안은왕(南安隱王)으로 불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분류:남북조시대/황제]][[분류:비정통 황제]][[분류:탁발선비]][[분류:452년 사망]][[분류:다퉁시 출신 인물]][[분류: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