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2> '''순양간왕(順陽簡王)[br]{{{+2 拓跋郁 | 탁발욱}}}''' || || '''시호''' ||간(簡) || || '''작위''' ||순양공(順陽公) → 순양왕(順陽王) || || '''성''' ||탁발(拓跋) || || '''휘''' ||욱(郁) || || '''자''' ||불명 || || '''생몰''' ||? ~ [[465년]] [[6월]] || || '''출신''' ||대군(代郡) 평성현(平城縣)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위]]의 황족. 환제 [[탁발의타]]의 후손. [[탁발목진]]의 형. == 생애 == 어릴 때부터 충정하고 강직하여, 초기에 우림중랑(羽林中郎), 내시장(內侍長)[* 탁발십익건 시절에 설치된 관직으로, 하는 일은 산기상시나 시중과 비슷했다고 한다. [[환관]]을 뜻하는 [[내시]](內侍)와는 다르다.]을 역임하면서 근면성실함으로 주변 사람들의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문성제 [[탁발준]] 재위기에 전중상서(殿中尚書)로 임명되어, 문성제를 수행해 동쪽 임해(臨海) 지역을 순행하였고, 이때의 노고를 인정받아 순양공(順陽公)에 봉해졌다. 화평 5년(465년) 5월, 문성제가 붕어하고 12세에 불과한 헌문제 [[탁발홍]]이 즉위하자, 거기대장군 을혼(乙渾)은 평량공 임금려(林金閭)와 함께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며 내외를 차단하고, 상서 양보년(楊保年), 평양공 가애인(賈愛仁), 남양공 장천도(張天度) 등 마음에 안 드는 대신들을 제거하였다. 백관들은 을혼이 두려워 함부로 행동하지 못 했으나, 탁발욱만은 을혼을 죽이기 위해 전중부(殿中府)의 위사(衛士) 수백 명을 이끌고 순덕문(順德門)으로 쳐들어갔다. 그 소식에 놀란 을혼이 밖으로 나와 탁발욱에게 말을 걸었다. > "그대는 무엇을 하려고 들어왔는가?" 탁발욱이 답했다. > "여러 신하들이 천자를 뵙지 못 해 근심하고 두려워합니다. 청컨대 주상을 만나 뵙게 해주십시오." 그러자 을혼은 몹시 당황하고 곤란한 기색을 내비치며 탁발욱에게 말했다. > "폐하께서는 장례를 치르느라 미처 백관들의 마음을 헤아라지 못 한 것일 뿐이건만, 그대들은 대체 무엇을 의심하시는 것입니까?" 이에 탁발욱은 하는 수 없이 군사를 물리고 돌아갔다. 이후 을혼은 양보년 등이 살해된 책임을 모두 임금려의 탓으로 돌려, 그를 정주(定州) 자사로 내보내고 탁발욱과 더불어 헌문제를 보정하였다. 을혼이 또 시중 육려(陸麗) 등 대신들을 살해하자, 탁발욱은 다시 을혼 주살을 모의하다가 먼저 공격을 받고 역으로 주살당했다. 훗날 을혼이 축출된 후, 헌문제는 탁발욱의 충정을 기리고자 그를 순양왕(順陽王)으로 추봉하고 시호는 '간(簡)'이라 하였다. [[분류:남북조시대/황족]][[분류:탁발선비]][[분류:다퉁시 출신 인물]][[분류:465년 사망]][[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