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2길 7(대리리 22)에 있는 버스정류장. 근처에 [[탑리역]]이 있다. 경북의 노포 터미널로 적자 운영임에도 지역 주민들을 위해 터미널을 운영하는 대표의 사연과 여러 예술품으로 꾸민 터미널 내부가 눈이 띈다. [[생방송 아침이 좋다]]에도 나왔다. 평상시에는 무인으로 운용되다가 버스 오기 약 10분 전부터 직원이 와서 매표를 한다. 카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현금 결제만 가능하다. 2023년 10월 29일 기준 수기 승차권으로만 발매하고 있다. == 노선 == '''[[시외버스 대구북부-춘산]]'''이 일 3회 운행하며, 유일한 노선이다. 영남권: 가음, 양지, 사미, 빙계, 금천2리[* 2019년부터 경유하기 시작했다.], 춘산, 우보, 간동,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일부 시간대만 경유하다가, 2023년 3월 10일부터 모든 시간 경유.], [[효령정류소|효령, 구효령]], 칠곡, [[북부정류장|대구북부]][*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쪽으로 갈 경우 열차 시간대가 맞으면 [[탑리역]]에서 [[무궁화호]]를 타는 것이 더 낫다. 무궁화호는 1일 2회 운행하며, [[동해역]] 착발이다. 강릉선 개편 이전에는 [[강릉역]]까지 갔다.] 서울로 가는 버스는 없으므로, 서술되어 있는 방법으로 이용해야 한다.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 이게 제일 낫다. * [[탑리역]]에서 무궁화호 승차 - 1일 2회 운행한다. 요금은 제일 싸다. [[안동역]]에서 환승하는 방법까지 이용하면 조금 더 늘어나며 3시간 25분 정도면 탑리에서 서울까지 갈 수 있다. *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 * [[북부정류장]] 도착 후 [[동대구역]] 또는 [[서대구역]]에서 KTX, SRT, 무궁화호 등 승차[* [[북부정류장]]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을 이용할 경우 [[동대구역]]까지 가기는 다소 불편하다. [[북부정류장]]에서 가장 가까운 전철역은 [[만평역]]인데, 약 8~900m 떨어져 있는 데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하려면 [[명덕역]]까지 가야 하는데, 상당히 멀리 돌아가야 되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이 개통하면서 234번, 309번, 칠곡6번 버스를 타고 서대구역까지 간 다음 서대구역에서 서울로 가는 KTX나 SRT를 탈 수 있게 되었다.] * [[북부정류장]] [[환승센터]]에서 [[대구 버스 730|730번]] 승차 →︎ 대구소방본부 정류장 하차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환승 →︎ [[동대구역]] * [[북부정류장]]에서 [[대구 버스 234|234번]], [[대구 버스 309|309번]], [[대구 버스 칠곡6|칠곡6번]] 승차 →︎ 서대구역(남측) 정류장 하차 →︎ [[서대구역]] ===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2016년 2월 29일까지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2017년 9월 14일까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신도청]], 2018년 1월 15일까지 [[영천버스터미널|영천]],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안동터미널|안동]]까지 갔으며, 2010년대 초까지는 [[동부정류장|동대구]], 1990년대까지는 [[청송버스터미널|청송]](약수탕, [[주왕산]])도 갔다. 지금은 위에 열거한 시외버스정류장으로 가는 버스 노선([[시외버스 대구북부-춘산]])만 남았다. [[분류:의성군의 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