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태국 국왕)] [include(틀:군주 일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d309 0%, #ffe800 20%, #ffe800 80%, #e6d309);" [[파일:태국 국장.svg|height=45]][br] '''{{{+1 {{{#D50000 태국 국왕}}}}}} [br] {{{#D50000 ราชาแห่ง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br] {{{#D50000 King of Thailan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82px-King_Rama_X_official.png|width=100%]]}}} || || {{{#D50000 '''현직'''}}} || [[라마 10세|마하 와치랄롱꼰]] || || {{{#D50000 '''즉위일'''}}} || [[2016년]] [[12월 1일]] || || {{{#D50000 '''지위'''}}} || [[태국|타이 왕국의]] [[국가원수]] || || {{{#D50000 '''관저'''}}} || [[방콕 왕궁]]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24px-King's_Standard_of_Thailand.svg.png|width=100%]]}}} || || 태국 국왕기 || [[태국]]의 [[국왕]]. '''태국의 [[국가원수]]'''로, 현재 [[짜끄리 왕조]]는 1782년부터 이어져왔다. 1932년 [[시암 혁명]] 이후 [[입헌군주제]]로 전환했다. [[짜끄리 왕조]]의 [[라마 10세]]가 현 국왕이다. 태국의 왕은 '''[[불교]] 신자'''여야하며, 불교 신자가 아니면 절대로 왕위를 계승할 수 없다. 절에 가서 수행하는 것은 필수적인 통과의례이며, 아주 오랜 시간의 수행을 마치면 왕에 즉위한다. 21세기의 태국의 국왕은 [[생불|살아있는 부처]] 정도 위치에 있다고 보면 된다. 선왕 [[라마 9세]] [[푸미폰 아둔야뎃]]이 2016년 10월에 서거한 뒤 공위상태가 되어 추밀원장이 임시섭정을 하였으나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4&oid=001&aid=0008754950|#]] 동년 12월에 선왕의 장남 라마 10세 [[마하 와치랄롱꼰]]이 즉위하였다. 70년 동안 큰 존경을 받았던 [[푸미폰 아둔야뎃]] 전 국왕과 달리 현 국왕 [[마하 와치랄롱꼰]]은 엄청난 논란을 몰고 다니면서 현지의 젊은이들은 왕실과 군부에 대한 반감을 품기 시작했다. 대놓고 비방하면 불경죄로 잡혀가기 때문에, 주로 트위터 같은 익명 사이트를 이용한다. == 최고존엄 == ||
2014년 제정 태국 [[헌법]]||'''제8조''' 국왕은 존경받는 신성한 지위에 있으며, 누구도 이것을 침범할 수 없다.|| ||2017년 제정 [[타이 왕국 헌법|태국 헌법]]||'''제6조''' 국왕은 존엄한 지위에 있으며 어떠한 사람도 모독할 수 없다. 그 어떠한 사람도 어떠한 방법으로도 국왕을 비난하거나 고발할 수 없다. || ||태국 형법||'''제112조''' 국왕, 왕비, 왕세자를 비방하거나 위협한 자는 3년에서 최고 15년까지 형이 선고될 수 있다.|| 태국인은 왕실을 존경하는 것을 넘어 신성시한다. 전국에 국왕의 [[초상화]]가 붙어져 있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국민적 지지를 받는다. 선왕인 [[라마 9세|푸미폰 국왕]]이 오랜 기간 재위하면서 수많은 정치 세력과 쿠데타 주모자가 명멸하는 동안에도 오직 국왕만큼은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었기에, 태국에서 그 권위가 대단하다. 형법 제112조에 따라 국왕 모독죄가 최대 '''징역 15년이며,''' [[속지주의]], [[속인주의]]에 근거하여 '''내-외국인을 가리지 않는다.''' 실제로 술 마시고 [[푸미폰 아둔야뎃|푸미폰 국왕]]이 미소짓는 간판에 낙서했던 외국인 관광객을 체포하여 징역형을 선고하는 바람에 외교적 마찰도 벌어진 바 있다. 다행히 대부분은 국왕의 '''자비로운''' 결정으로 국외추방 정도에 그쳤다. 태국 여행 가이드북이 국왕 칭찬 일색인 이유 역시, 비판적 구석이 있으면 바로 최저 3년의 징역이기 때문이다. 해외에 거주하는 태국 외교관도 공무원 신분으로 태국법의 지배를 받는 만큼 국왕을 비난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주의를 게을리 했다가 고발당하면 신분을 유지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유명한 [[탈북자]] 출신 기자 [[주성하]]가 태국 여행 도중 거리 곳곳에서 국왕 초상화와 초상화에 국민이 절하는 모습을 보고 [[김일성]] 우상화와 [[http://nambukstory.donga.com/Board?bid=123&#!lid=302269&m=view|비교하는 글]]을 올렸는데 '''태국 대사관'''에서 '''우리 폐하는 그렇지 않아!'''라고 [[https://nambukstory.donga.com/Board?bid=123&m=list×eed=250&#!lid=302290&bid=123&p=841&m=view|공문을 보내왔다]]. 이런 법을 국왕 모독죄 혹은 [[불경죄]](lese-majesty)라고 부르는데, 서유럽의 입헌군주국에도 남아 있고 최근 판결 사례도 있다. 그러나 태국은 그 형량이 유럽에 비해 매우 가혹하고, 국왕에 대한 비판에도 매우 예민하여 표현의 자유를 탄압하는 수준이다. 국가가 해외에 거주하는 자국민의 SNS를 감시하고, 국왕을 비판했다간 거의 살인범 수준인 징역 20년의 가혹한 형을 선고하며, 단순히 사진만 태워도 최소 징역 3년에서 최대 징역 15년이라는 가혹한 형까지 선고되는 등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query=%ED%83%9C%EA%B5%AD%20%EC%99%95%EC%8B%A4%20%EB%B9%84%ED%8C%90%20%EC%B2%B4%ED%8F%AC&ie=utf8&sm=tab_srt&sort=1&photo=0&field=0&reporter_article=&pd=0&ds=&de=&docid=&nso=so%3Add%2Cp%3Aall%2Ca%3Aall&mynews=0&mson=0&refresh_start=0&related=0|현재진행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 헌법재판소는 국왕모독죄 형법 112조가 국민의 자유권을 규정한 헌법에 위반되는 것은 아니냐는 국왕모독죄로 수감 중인 솜욧 변호인단의 헌법소원에 대해 형법 112조는 국왕의 안위를 규정한 헌법 8조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조항으로 태국 국민은 이 헌법 조항이 규정하는 범위 안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사실 법적인 문제나 정치적인 것을 떠나 사적인 자리에서도 왕은 욕하지 않는게 좋다. 태국인은 왕실에 대한 애정과 존경심이 깊기 때문에, 여느 국가의 [[정치인]] 욕하는 수준과 차원이 다르다. 선왕 [[라마 9세|푸미폰]]은 능력도 뛰어나고 인품도 훌륭하다는 평판이 있어 태국인 누구나 존경하는 큰 어르신이었다. 법에서 욕하지 말라고 해서 못하는 게 아니라, 태국인 대부분이 진심으로 존경하는 인물인 것이다.[* 물론 그도 완벽한 인물이 아니며 부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태국 일반인 사이에서 그에 대한 이미지나 애정은 한국의 [[세종대왕]]급이다.] 현왕인 [[라마 10세|마하 와치랄롱꼰]]은 선왕에 비해 명망이 낮지만, 왕실에 대한 [[태국인]]의 애정이 깊기 때문에 외국인이 욕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국왕의 사진은 [[지폐]], [[달력]], 도로 광고판, 택시, 버스 등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다. 함부로 "저 [[듣보잡]]은 누구?"라고 묻는 실수를 하면 골치 아파진다. 그리고 길거리에 떨어진 지폐를 줍겠다고 발로 밟았다가 국왕 모독죄로 잡혀갈 수 있다. 입헌군주제 국가임에도 국왕에게 주어진 정치적 권위는 막강하고, 여론을 좌지우지할만큼 강력하다.[[https://m.fmkorea.com/best/4873021994|#]] 군부의 [[쿠데타]]가 성공하더라도 국왕은 쿠데타의 대상이 아니며, 오히려 국왕의 승인을 얻지 못한 쿠데타는 실패한다. 덕분에 군부에서 쿠데타 일으켰다가 국왕이 하지 말라고 해서 무산된 적도 있다. 왕궁에 함부로 총질했다가는 온 국민이 들고 일어날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왕 앞에서는 거의 바닥에 납작 엎드려서 인사를 하며, 이는 총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규칙이다. 심지어 현지에 진출한 '''한국 회사도''' 왕과 왕족이 방문했을 때 무릎을 꿇어 성의를 보였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lack_May_Thailan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b4Tjs-Qs9o, height=280)]}}}|| || {{{-1 알현 영상}}}[* 영상 처음에 나오는 인물은 현재 태국 국왕인 [[라마 10세]]이다. 잘 보면 왼쪽에 [[태극기]]가 보인다. 당시 왕세자 신분으로 대한민국을 국빈 방문 중이었기 때문.] || 위 사진은 1992년 5월 20일 밤에 촬영된 것으로, 당시 태국은 군부 쿠데타로 집권한 수찐다 크라쁘라윤 정권과 [[청백리]]로 유명한 [[잠롱 스리무앙]] 전 [[방콕]] 시장이 이끄는 민주화 시위대간의 대립이 격화되어 유혈사태가 발생하는 등 사태가 점점 악화되었는데 푸미폰 국왕이 이를 중재하기 위해 둘 다 입궁시켜 꿇어앉혀놓은 모습. '''왕이 손짓으로 다가오라고 하자 두 사람 다 무릎으로 기어갔다.'''[* 태국 왕실법에 따르면 국왕과 대면할 때 일정거리 이상 물러선 채 엎드려야 하며, 불러서 곁에 다가갈 때 이처럼 기어서 가야 한다. 이 전근대적 법은 현직 총리는 물론 외국인에게도 적용되는데, 후자의 강요는 큰 틀에서 타국에 대한 주권 침탈이다. 한국 온라인에서도 국내 연예인이 태국 공주를 고급 레스토랑에서 조우했다가 그 연예인의 팬이라는 공주에게 이렇듯 기어서 팬미팅하던 장면이 사진 찍혀 퍼져서 논쟁거리가 된 바 있다.] 허락이 있기 전까지 '''고개조차도 감히 들지도 못했고…''' 맨 왼쪽의 인물이 잠롱 전 시장이고 우측의 인물이 수찐다 총리인데, 잠롱 전 시장은 5월 18일에 시 현장에서 군부정권의 무장군인에게 연행되었으나 국왕의 호출로 이틀 만에 풀려났는데, 군인들이 정중하게 대해주었다. 이 날 푸미폰 국왕은 "국민을 위한 민주 정치를 해야 한다."는 말로 수찐다 총리를 꾸짖었고, '''그날로 수찐다 정권은 실각하였다'''. 국왕이 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사건이다. > 국가는 모든 사람에게 속하며, 하나 또는 두 명의 특정 사람들에게는 속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서로 이야기하고 함께 해결하지 않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고한 시민이 피를 흘렸습니다. 사람들은 폭력에 의지하면 마음을 잃을 수 있습니다. 결국 그들은 왜 그들이 서로 싸우며 그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알지 못합니다. > 그들은 단지 그들이 서로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들은 유일한 승자가 되기 위해 이 길을 선택한 것입니다. 이 길은 승리로 이어지지만 위험합니다. 승자는 없고 패자만 있을 것입니다. 서로 폭력적으로 대하는 사람들은 모두 패자가 될 것입니다. 결국 우리는 그 패자의 국가가 될 것입니다. ... 유적과 파편에 서있을 때 그대가 승자라는 것을 당신은 스스로에게 어떻게 말하고 있습니까? > 불기 2535([[1992년|1992]])년 9월 20일 태국은 1932년까지 '[[전제군주국]]'이었다. 국왕은 말 그대로 [[현인신|신이나 다름없었으나]], 짜끄리 왕조가 일시적인 무능과 혹정을 보여주던 가운데 1932년 6월 24일 무혈 쿠데타가 성공하면서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았다. 주모자는 중급 관리 쁘리디 파놈용과 [[쁠랙 피분송크람]] 장군. 이들의 혁명으로 150년간 굳건하던 짜끄리 왕조는 일시적으로 힘을 잃고 라마 7세는 영국으로 망명해 거기서 죽었다. 젊어서 의문의 죽음을 당한 라마 8세[* 이 암살사건에 '작전의 신' [[츠지 마사노부]]가 관련되어 있다, 라마 9세가 배후에서 조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를 이어 즉위한 그 동생인 푸미폰 국왕 역시 초기에는 군부 세력 및 그 후계자의 조종을 받았으나, 차츰 권력을 장악해 승리자가 되었다. 그러나 국왕의 위세가 몹시 강하기 때문에 왕가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지 못한다거나 민주주의를 저해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또한 [[탁신 친나왓|탁신]] 전 총리의 축출에 푸미폰 국왕의 암묵적 동의가 있었다는 말이 나오는 것을[* 일단 태국 군부는 왕실을 지지하니 왕의 허가가 없었다면 쿠데타를 일으키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보면 지금도 왕실의 권력은 막강한 셈. 태국의 왕가인 [[짜끄리 왕조]]에 대한 국민의 존경심은 어찌 보면 당연할지도 모르겠는데, 과거 서방 유럽 열강의 [[제국주의]]적 팽창으로 주변국의 [[식민지]]화가 진행될 때 태국은 [[라마 5세|국왕]]을 중심으로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대나무 외교를 하여 결국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식민지가 되지 않고 독립을 유지했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냉전]] 시기 서방으로부터 독립한 주변국에서 서방에 대한 반감으로 [[사회주의]] [[공산주의]] 열풍이 불어닥쳤으나, 태국은 '''주변국이 공산화되는 와중에도 [[라마 9세|왕]]을 중심으로 꿋꿋이 군주제를 유지했다.''' 이렇듯 주변 정세가 어지럽고 혼란한 상황에서도 짜끄리 왕가는 나라의 자주성과 정체성을 지키는 수호자의 역할을 해왔다. 당연히 왕실에 대한 태국인의 지지와 사랑이 엄청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동시기 왕위를 역임한 [[라마 5세]]와 [[라마 9세]]는 '''대왕'''이라는 칭호로서 특히 존경을 받는다. 선왕은 엄청난 존경을 받았지만 뒤를 이은 [[라마 10세|마하 와치랄롱꼰]][* [[태국군]]의 장교로 복무한 경력이 있고, 슬하에 5남 2녀를 뒀다.]의 경우 한량스러운 인물[* 부인이 3명이나 되는데 여기에 [[정부(관계)|정부]]도 뒀다.]인데다가, 폭력적이고 감정기복이 심한 충동적인 성격이라 평판이 안 좋아[* 게다가 [[에이즈]]나 [[C형 간염]], 혈액암 등 혈액 관련 질환을 앓는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또한 본국이 아닌 유럽에서 지내며 민심을 잃은 데다가 2009년에는 셋째 부인인 스리라스미 왕자비가 알몸에 팬티만 걸치고 왕자의 애완견의 생일을 축하하는 외설스러운 비디오 동영상이 공개돼 파문이 일었다.] 미 외교 대사에 따르면 [[http://news.heraldm.com/view.php?ud=20110704000386&md=20110704112017|태국 정세가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2020년 태국 민주화 운동|예언은 들어맞았다]]-- == 여담 == 태국 국왕은 [[삼종신기]]가 아니라 오종신기, 즉 5개의 [[레갈리아]]를 물려받는다. [[일본]]의 삼종신기와 달리 모두 실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왕관]]·[[검]]·[[왕홀]]·[[부채]]와 [[파리채]][* 파리채가 레갈리아의 일부라니 생뚱맞게 여겨질 수도 있으나, 습하고 벌레가 많은 [[동남아]]·[[폴리네시아]] 지역에서는 [[날벌레]]를 쫓는 것도 나름 일인만큼 웃자고 챙겨놓은 물건은 아니다.]·신발이다. 이외에도 [[짜끄리 왕조|태국 왕실]]은 보물을 하나 가지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다이아몬드]]인 골든 주빌리이다. 이 다이아몬드는 비교적 최근인 1985년 [[남아공]]에서 발견되었는데, 1996연에 [[푸미폰 아둔야뎃]]의 즉위 50주년 기념으로 국왕에게 바치기 위해 태국의 보석상 헨리 호의 주도로 태국의 [[재벌]]과 [[기업가]]가 돈을 모아 [[드비어스]]로부터 이 다이아몬드를 구입하여 국왕에게 헌상했다고 한다. 이 다이아몬드는 현재 태국 왕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국왕을 상징하는 색깔은 [[노란색]]이다. [[왕비]]는 [[파란색]], 왕족 중 가장 지지기반이 확고한 둘째 [[공주]]는 [[보라색]]이다. 태국 왕실의 재산은 비공개이지만, 330억 ~ 700억 달러로 추산된다. == 역대 태국 국왕 목록 == === [[수코타이 왕국]] === || 대수 || 왕호 || 재위 기간 || 생몰 || || 1 || 시인터라티[br]พ่อขุนศรีอินทราทิตย์ || 1249년 ~ 1279년 || || 2 || 반무안[br]พ่อขุนบานเมือง || 1279년 ~ 1280년 || || 3 || [[람캄행]] 대왕[br]พ่อขุนรามคำแหงมหาราช || 1280년 ~ 1298년 || || 4 || 루타이[br]พระยาเลอไท || 1298년 ~ 1323년 || || 5 || 구아남툼[br]พระยางั่วนำถุม || 1323년 ~ 1347년 || || 6 || 마하탓마라차 1세[br]리타이[br]พระยาลิไท || 1347년 ~ 1368년 || || 7 || 마하탓마라차 2세[br]루타이[br]พระยาลือไท || 1368년 ~ 1399년 || || 8 || 마하탓마라차 3세[br]사이루타이[br]พระไสลือไท || 1399년 ~ 1419년 || || 9 || 마하탓마라차 4세[br]보로마빵[br]พระยาบรมปาล || 1419년 ~ 1438년 || === [[아유타야 왕국]] === ||
대수 || 왕호 || 재위 기간 || 생몰 || || 1 || 라마티보디 1세[br]우통[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ทอง || 1314년 ~ 1369년 || || 2 || 라메스완[br]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เมศวร || 1369년 ~ 1370년 || || 3 || 보로마라차티랏 1세[br]빠구와[br]ขุนหลวงพะงั่ว || 1370년 ~ 1388년 || || 4 || 톤란[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ทองลัน || 1388년 || || (2) || 라메스완[br]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เมศวร || 1388년 ~ 1395년(복위) || || 5 || 라마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มราชาธิราช || 1395년 ~ 1409년 || || 6 || 인터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นครินทราธิราช || 1409년 ~ 1424년 || || 7 || 보로마라차티랏 2세[br]샘프라야[br]สมเด็จเจ้าสามพระยา || 1424년 ~ 1448년 || || 8 || 보로마트라이로우카나토[br]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ไตรโลกนาถ || 1448년 ~ 1488년 || || 9 || 보로마라차티랏 3세[br]보로마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ราชา || 1488년 ~ 1491년 || || 10 || 라마티보디 2세[br]체타[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ชษฐา || 1491년 ~ 1529년 || || 11 || 보로마라차티랏 4세[br]노풋탄쿤[br]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หน่อพุทธางกูร || 1529년 ~ 1533년 || || 12 || 랏사다[br]สมเด็จพระรัษฎาธิราช || 1533년 ~ 1534년 || || 13 || 차이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ไชยราชาธิราช || 1534년 ~ 1546년 || || 14 || 요토파[br]สมเด็จพระยอดฟ้า || 1546년 ~ 1548년 || || — || 워라원사[br]ขุนวรวงศาธิราช || 1548년(찬탈) || || 15 || 차크라팟[br]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าจักรพรรดิ || 1548년 ~ 1568년 || || 16 || 마힝타라티랏[br]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นทราธิราช || 1568년 ~ 1569년 || || 17 || 산펫 1세[br]마하탓마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าธรรมราชาธิราช || 1569년 ~ 1590년 || || 18 || [[산펫 2세]][br][[나레쑤언]] 대왕[br]สมเด็จพระนเรศวรมหาราช || 1590년 ~ 1605년 || || 19 || 산펫 3세[br]에이커토사롯[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อกาทศรถ || 1605년 ~ 1610년 || || 20 || 산펫 4세[br]시사오와팍[br]สมเด็จพระศรีเสาวภาคย์ || 1610년 ~ 1611년 || || 21 || 보로마라차 1세[br]손탐[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ทรงธรรม || 1611년 ~ 1628년 || || 22 || 보로마라차 2세[br]체타[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ชษฐาธิราช || 1628년 ~ 1629년 || || 23 || 아티타야원[br]สมเด็จพระอาทิตยวงศ์ || 1629년 ~ 1629년 || || 24 || 산펫 5세[br]프라섯톤[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ปราสาททอง || 1629년 ~ 1656년 || || 25 || 산펫 6세[br]차이[br]สมเด็จเจ้าฟ้าไชย || 1656년 ~ 1656년 || || 26 || 산펫 7세[br]시스탐마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ศรีสุธรรมราชา || 1656년 ~ 1656년 || || 27 || 라마티보디 3세[br]나라이 대왕[br]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รายณ์มหาราช || 1656년 ~ 1688년 || || 28 || 펫라차[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พทราชา || 1688년 ~ 1705년 || || 29 || 산펫 8세[br]스리엔타라티보디[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สุริเยนทราธิบดี || 1705년 ~ 1708년 || || 30 || 산펫 9세[br]타이사[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ท้ายสระ || 1708년 ~ 1732년 || || 31 || 보로마라차티랏 5세[br]보로마콧[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บรมโกศ || 1732년 ~ 1758년 || || 32 || 보로마라차티랏 6세[br]우툼뽄[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อุทุมพร || 1758년 ~ 1758년 || || 33 || 보로마라차 3세[br]에카탓[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เอกทัศ || 1758년 ~ 1767년 || === 톤부리 왕조 === ||
대수 || 왕호 || 재위 기간 || || 1 || ^^(1743~1782)^^[[보로마라차 4세]][br]딱신 대왕[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ตากสินมหาราช || 1767년 ~ 1782년 || === [[짜끄리 왕조]] === [[짜끄리 왕조]]의 국왕들에게 붙은 '라마'는 [[힌두교]]의 [[비슈누]]의 화신 [[라마]]를 의미하며, 왕의 이름이 아니다. 과거 태국의 국왕들은 신성화 차원에서 간혹 자신을 라마와 동일시하도록 했는데, 서구화를 이루게 되면서 서양의 왕국들이 'XX n세'로 왕호를 칭하던 것을 본받고자 했으나 이는 [[피휘|군주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던]] 태국의 관습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국왕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고 1대 국왕 하는 식으로 대수를 붙여 말했는데, 여기에 태국 국왕을 상징하는 라마를 덧붙인 것이 '라마 X세' 식으로 정착한 것이다. 이러한 관습을 시작한 것은 라마 6세이다. ||
<|2> 대수 ||<|2> 왕호 ||<-2> 재위기간 || || 시작 || 종료 || || 1대 || [[라마 1세]][br]{{{-1 풋타엿파쭐라록 대왕}}}[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ยอดฟ้าจุฬาโลกมหาราช[br],,(1736 ~ 1809),, || 1782년 4월 6일 || 1809년 9월 7일 || || 2대 || [[라마 2세]][br]{{{-1 붓다 르뜰라 납할라이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เลิศหล้านภาลัย[br],,(1766 ~ 1824),, || 1809년 9월 7일 || 1824년 7월 21일 || || 3대 || [[라마 3세]] [br]{{{-1 제싸다보드인드라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มินทรมหาเจษฏาบดินทร์ฯ พระนั่ง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br],,(1787 ~ 1851),, || 1824년 7월 21일 || 1851년 4월 2일 || || 4대 || [[라마 4세]] [br]{{{-1 몽꿋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br],,(1804 ~ 1868),, || 1851년 4월 3일 || 1868년 10월 1일 || || 5대 || [[라마 5세]] [br]{{{-1 쭐랄롱꼰 대왕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ล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พระปิยมหาราช[br],,(1853 ~ 1910),, || 1868년 10월 2일 || 1910년 10월 23일 || || 6대 || [[라마 6세]] [br]{{{-1 와치라웃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มงกุฎ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br],,(1881 ~ 1925),, || 1910년 10월 23일 || 1925년 11월 26일 || || 7대 || [[라마 7세]] [br]{{{-1 쁘라자디뽁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ก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br],,(1893 ~ 1941),, || 1925년 11월 26일 || 1935년 3월 2일 || || 8대 || [[라마 8세]] [br]{{{-1 아난다 마히돌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เมนทรมหาอานันทมหิดล พระอัฐมรามาธิบดินทร[br],,(1925~ 1946),, || 1935년 3월 2일 || 1946년 6월 9일 || || 9대 || [[라마 9세]] [br]{{{-1 푸미폰 아둔야뎃 대왕 }}}[br]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มินทรมห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br],,(1927~ 2016),, || 1946년 6월 9일 || 2016년 10월 13일 || || 10대 || [[라마 10세]] [br]{{{-1 마하 와치랄롱꼰 }}}[br]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มหาวชิราลงกรณ[br],,(1952~ 현재),, || 2016년 10월 13일 || 현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국/정치, version=152, paragraph=2)] [[분류:태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