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한의 공장]][[분류:군사기지]] [include(틀:북한의 산업시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fff '''{{{+1 태성기계공장 }}}'''}}}[br]{{{#ffffff '''Thaesong Machine Factory'''}}}}}}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태성기계공장 2016년 현지지도.jpg|width=100%]]}}}|| ||<-2> 대외적으로 기계공장으로 선전중인 모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Kangso-guyok, 너비=100%)]}}} || || '''위치''' ||[[남포시]] [[강서구역]] 잠진리[* [[대한민국]] [[이북 5도]] 행정구역 기준으로는 [[평안남도]] [[강서군]] 잉차면 오리 및 토산리 일대] || || '''다른 이름''' ||잠진리 미사일 공장, 잠진 미사일 공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성기계공장은 [[북한]] [[남포시]]에 위치한 군수 공장이다. 대외적으로는 기계를 생산하는 기계 공장이다. '태성기계공장'은 위장용 대외 명칭이고 실제로는 각종 [[미사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미국 전문가나 한국 언론 등에서는 '잠진 미사일 공장' 등의 표기도 보인다. == 김씨 일가의 현지지도 == === 2011년 현지지도 === 2011년 11월, [[김정일]]이 아들 [[김정은]]과 [[장성택]]을 데리고 현지지도 했다.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609507534746046464/photo/2|#]] 김정일이 사망하기 한 달 전 일이다. === 2016년 === ==== 김정은의 현지지도 공표 ==== 2016년 3월 1일에 김정은이 현지지도 하여 공장 현대화를 지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302019100014|#]] 당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심해지던 시국이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시위성 방문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cgNuVEE04QI|#1]]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682|#2]] 다만 미사일 관련 시설은 이 때 공개하지 않았다. ==== 김정은의 화성-13 시찰 사진 공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mage/055/2016/03/09/200921491_99_20160309112806.jpg|width=100%]]}}} || || 북한이 화성-13에 탑재될 핵탄두라고 주장하는 물체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3 핵탄두.jpg|width=100%]]}}} || || 모자이크 처리된 단면도 || 2016년 3월 9일, 김정은이 ICBM급인 [[화성-13]] 탄두 등을 시찰하는 모습을 조선중앙TV에서 내 보냈다. 또한 이 자리에서 김정은은 '혼합장약구조', '열핵반응' 등 상당히 전문적인 용어까지 사용하며 핵물질과 핵무기, 운반수단 등의 추가적인 생산과 이미 배치된 핵타격수단의 부단한 개선을 강조하는 등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1603090957318922|#]] 제프리 루이스 미국 비확산센터(CNS) 소장은 [[38노스]] 기고문을 통해 보도된 내용이 바로 이 공장이라고 밝혔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4/2016031400320.html|#]] ==== 탄두 재진입 시험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핵탄두를 설명하는 장창하.jpg|width=100%]]}}} || || 핵탄두를 설명해주는 [[장창하]] || 2016년 3월 15일, 북한 매체는 ICBM용 탄두 재진입 시험을 공개했다. 김정은 외에 [[장창하]] 등이 참석했다. [[38노스]]는 위성 사진 등의 분석을 통해 태성기계공장 인근에 위치한 시험장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밝혀 냈다. [[https://www.38north.org/2016/03/chamjin032316/|#]] === 2022년 방문설 === 2023년 1월 1일, 조선중앙TV는 김정은과 김주애가 미사일 공장을 방문한 사진을 보도했다. 당일 김씨 부녀가 방문했을 리는 없기에 2022년의 미상 날짜에 방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장이 곧 이 곳이라는 분석이 NKNews 및 언론인 Colin Zwirko에 의해 제기되었다.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609501896536100865|#]] 추론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북한의 미사일 개발#화성-14 축하연 영상|화성-14 축하연 영상]]에 등장한 미사일 후미 참관 사진의 김정일-김정은 부자 복장과 2011년 태성기계공장 시찰 당시 사진의 복장 조합이 일치한다. → 태성기계공장은 기계공장으로 위장한 미사일 조립 시설이다. (2) 2023년 보도된 김정은-김주애 부녀 사진 뒷배경의 사진을 확대해보면 위 축하연 영상 사진과 실루엣이 일치한다. 북한의 우상화 행태를 고려하면 이 공장에서 찍힌 사진을 걸어두었을 것이다. → 화성-14 축하연 영상 속 사진 촬영지가 곧 2023년 보도된 공장이다. (3) 2023년 보도 시설과 2016년 3월 9일 보도 시설의 기둥과 난간 등의 모습이 일치한다. → 2023년 보도된 공장은 곧 2016년 3월 9일 보도된 공장이다. (4) 게다가 북한은 2016년 3월 2일에 태성기계공장 현지지도를 보도한 뒤, 3월 9일에 미사일 조립 공장을 보도했다. * '''결론''': 태성기계공장 = 화성-14 축하연 영상 속 사진 공장 = 2016년 3월 9일 공장 = 2023년 보도 공장 || {{{#fff '''추론 과정 사진으로 살펴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태성공장 추론(1).jpg|width=100%]]}}} || || 추론 (1) '2011년 = 화성-14 축하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태성공장 추론(2).jpg|width=100%]]}}} || || 추론 (2) '2023년 = 화성-14 축하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태성공장 추론(3).jpg|width=100%]]}}} || || 추론 (3) '2023년 = 2016년' || |||||| }}}}}}}}} || == 외국 군 당국자의 방문 == * 1986년 [[이란]] 군 당국자가 이곳을 방문했다는 주장이 있다. [[https://twitter.com/fab_hinz/status/1359210798279712771|#]] * 2008년 11월 [[미얀마]]의 뚜라 우 쉐 만(Thura U Shwe Mann)[* 이후 미얀마 하원의장 자격으로 [[박근혜]]와 서울에서 접견하기도 한 인물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111497?sid=100|#]]]이 이곳을 방문했다. [[https://www.irrawaddy.com/from-the-archive/foes-friends-military-trip-rekindles-burma-north-korean-relations.html|공식 방문]]사진 외에 [[화성-7]] 사진도 찍었다. [[https://www.nkeconwatch.com/nk-uploads/Myanmar-delegation-originals-2008.pdf|미얀마 사절단이 찍은 사진집 46페이지]]에 등장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미얀마 사절단이 촬영한 태성기계공장.png|width=100%]]}}} || || [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 사절단이 촬영한 태성기계공장 내부 || == 여담 == * 북한의 시설물을 미국이나 대한민국에서 임의로 부를 때는 북한의 행정구역이 아닌 일제 강점기 행정구역이나 [[이북5도]] 기준으로 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잠진리'라는 명칭은 1952년 북한이 만든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List.aspx?mc=AD0101&ac=A0207018&tid=AD010100036819&direct=1&direct=1|행정구역 명칭]]이다. * 해당 시설을 상세 분석한 영문 보고서가 있다. [[http://static1.1.sqspcdn.com/static/f/716134/13620249/1313028417477/KPAJ-2-05.pdf?token=fMUZXHmYDIHiYhA%2FyEFeWAJOoLc%3D|PDF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