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タスクモン''' ''TUSKMON'' [[파일:Tuskmon.png]] [[디지몬 시리즈]]의 등장 디지몬. == 종족 특성 == * 세대 : [[성숙기]] * 타입: [[디지몬/타입#공룡형|공룡형]] * 속성 : 바이러스 * 이름의 유래 : Tusk(엄니) * 소속 필드 : NSp, UK * 용량 : 40G * 필살기 * 판처 너클 : [[어퍼컷]]으로 적을 날려버린다. * 혼 드라이버[* KBS 더빙판에서는 뿔들이받기로 번역했다.] : 어깨의 뿔로 들이받는 기술. * 베이오넷 랜서 : 뿔에서 에너지파를 발사. 어깨에서 거대한 뿔을 기른 초중량급 공룡형 디지몬. 저돌맹진형의 성격으로, 눈앞에 어떤 장애물이 있더라도 모든 것을 파괴하는 돌진하는 면에서 "팬저 디지몬"이라는 별명을 갖는다. 돌진계의 전력투구 기술을 잘하고, 이 공격 앞에 격침된 디지몬은 셀 수가 없다. 두 팔의 별의 마크는 지금까지 쓰러뜨린 디지몬의 수(별 1개에 100마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깨의 뿔은 부러지는 경우가 있어도 상어의 이빨같이 부러진 뿔이 빠지고 안에서 새로운 뿔이 앞으로 나오기 때문에 태스크몬의 뿔을 파괴하는 것은 쓸데없는 짓이다. 필살기는 초대형 펀치『 팬저 너클 』. == 작중 묘사 == === [[디지몽]] === 버전 5에서 데뷔했으나 버전 5 출신 디지몬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이후 시리즈에서도 별 비중은 없으며 [[사이크로몬]]과 함께 바닥을 기는 인기를 자랑한다. 그나마 사이크로몬에 비하면 영상화는 자주 된 편. 종족이 공룡형이기 때문에 초기 디지몽 환경 당시 대한민국의 초딩들 사이에서는 태스크몬의 모델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왕설래가 있었는데 그 모델은 다름아닌 [[스페이스 고지라]]로 스페이스 고지라를 빼다박은 스프라이트와 양 어깨의 뿔=스페이스 고지라의 수정결정이 그 사실을 증명한다. 모델이 이러니 괴수물을 거의 모르던 당시 한국의 초딩들은 이걸 보고도 무슨 공룡을 모델로 했는지 알 수 없었으니 그저 어리둥절 했을 뿐. 굳이 실제 있었던 [[공룡]]과 비교하자면 [[카르노타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과 비슷하다. 진화하면 [[데이터몬]]이 된다. 또한 이름인 '태스크몬'은 <디지몬 캐릭터 대도감 1>이 정발되었을 때부터 정착된 대표적인 오역으로, 상아를 뜻하는 tusk에서 따온 이름인고로 원래는 '터스크몬'이 되어야한다. === [[디지몬 어드벤처]] === [[묘티스몬]]의 부하로 36화에서 첫 등장. [[팬텀몬]]이 8번째 선택받은 아이를 찾기 위해 [[스나이몬]]과 함께 등장하여 필살기 판처 너클로 [[가루몬]]을 날려버리는 등 나름 활약을 했다. 그러나 아이들의 디지몬이 완전체로 진화하니까 바로 밀려버리게 되고 이후 [[베놈묘티스몬]]의 부활을 위한 제물로 스나이몬과 함께 사라졌다. === [[파워 디지몬]] === [[서정우(디지몬 시리즈)|디지몬 카이저]]의 부하로 나온다. 그리고 별개의 세뇌당하지 않는 태스크몬들이 어째선지 디지몬 카이저의 기지 근처에 무더기로 있었으며 세뇌당한 [[다크티라노몬]]과 [[쿠가몬]][* 쿠가몬이 이빌 스파이럴에 채워있었다.]에게 공격당하고 있었다. 33화에선 다른 디지몬들과 함께 황무지에서 [[블랙워그레이몬]]에게 공격당해 쓰러져 잠시 등장 크리스마스 에피소드에서 나오는데 중국에서 난동부리는 디지몬들중 하나로 나온다. === [[디지몬 어드벤처:]] === 6화에서 ~~화수에 맞춰~~ 6마리가 등장. 종종 [[시드몬]]들의 왕국에 쳐들어와 과일을 훔쳐먹는 짓을 할 뿐, 그 외에는 평화롭게 살고 있었으나 [[사운드버드몬]]에게 세뇌당해 타이치 일행을 공격한다. 두 마리는 미리 설치된 함정에 걸려들어 리타이어하고 나머지는 좁은 협곡에서 [[그레이몬]]과 [[버드라몬]]의 협공에 쓰러진다.[* 그래도 태스크몬 두 마리의 협공에 그레이몬을 하늘로 날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만, 그레이몬이 날아가다 협곡에 손톱을 박아 몸을 고정시키고 그대로 아래에 메가 플레임을 쾅~!] 여담으로 생긴 것과 달리 잡식성이거나 초식성인지 시드몬들이 키운 과일을 훔쳐먹기도 하고 사운드버드몬에게 세뇌당하기 전에는 지면에 자란 풀을 먹고 있었다. 46화에서 [[세피로트몬]]이 복사한 데이터로 등장. 55화에서 [[할매몬]] 학교의 학생으로 등장. 자신들과 대립하던 [[시드몬]]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있다. === [[디지몬 리얼라이즈]] === 육성개체의 경우 청룡몬의 성숙기로 채택 되었으며 성장기와 완전체는 각각 [[에렉몬(보라)]]와 [[트리케라몬]]이다. === [[디지몬 서바이브]] === [include(틀:디지몬 서바이브/진화도)] 주인공의 파트너 디지몬인 아구몬의 바이러스 진화루트의 성숙기으로 채택되면서 '''24년만에 주인공 디지몬이 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다른 진화형인 그레이몬, 티라노몬을 볼때 육식 수각류를 모티브로한 바이러스종 공룡형 디지몬이기에 진화루트로 채택된 모양. 야생의 아구몬의 경우는 사이크로몬이 대신 차지하고 있다. ~~나름 주인공 전용~~ 문제는 태스크몬으로 진화하는 격정 루트는 주인공인 타쿠마가 급발진 혹은 재수없어보이는 언동을 선택하게 되기에 일부러 고르지않는한 이쪽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낮고,[* 유튜브에서 그레이몬, 티라노몬에 비해 태스크몬으로 진화하는 영상은 드문 편이다.] 태스크몬은 '''원거리 스킬이 없어'''[* 위의 도감에 베이오넷 랜서가 게임에 나오지않는다.] 그레이몬, 티라노몬에 비해 쓰기 힘드나, 한방 공격력은 매우 높으므로 아구몬으로 움직였다가 타겟이 인접할때 태스크몬으로 진화하는 플레이가 권장된다. 이는 완전체로 진화하면 [[메가드라몬]]이 되기에 어느정도 해소되는 편. 궁극체는 [[파워드라몬]]이다. == 기타 ==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모티브는 [[스페이스 고지라]]로, [[https://vignette4.wikia.nocookie.net/digimon-unlimited/images/6/62/SC20141016-163400.png/revision/latest?cb=20141108025445|버전 5 데뷔 당시 스프라이트]]를 보면 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사실 디지몽 버전 5에서 등장한 디지몬들은 모두 고지라 시리즈의 등장 괴수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놈들이다. 왜 그런지는 [[디지몽#s-2.5]] 항목 참조. 한 해외 팬이 [[http://arrancarfighter.deviantart.com/art/Tuskmon-297497508|실사 공룡처럼 디자인을 리파인한 버전]]을 그리기도 하였다. [각주] [[분류:디지몬/성숙기]][[분류:디지몬/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