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html태엽}}}''' || ||<-6><#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enmairch.png|width=100%]][br] ,,[[태엽(유희왕)#발조의 되감기|{{{#c2c2c2 발조의 되감기}}}]],,}}}||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 '''태엽''' || || '''{{{#!html일어판 명칭}}}''' ||<-5><#fff> '''ゼンマイ''' || || '''{{{#!html영어판 명칭}}}''' ||<-5><#fff> '''Wind-Up'''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 [[유희왕/속성|다양]] ||<-2><^|1><#fff> [[유희왕/속성|다양]] ||<-2><^|1><#fff> 효과[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너레이션 포스]]에서 데뷔한 [[유희왕]]의 카드군으로, 일본명은 [[젠마이]]. 영어명 역시 태엽을 감다, 태엽 장난감 등을 뜻하는 'Wind-Up'. 태엽 장난감 모습을 하고 있는데다가 [[발조공모 태엽마이티|모함에서 발진하고 있는 모습]]이 나오는 등 다들 기계족처럼 생겼지만, 실제로는 그냥 모티브에 맞는 여러 가지 종족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스크랩(유희왕)|스크랩]]과 일맥상통한다. 다만 이 덱의 엑시즈 / 링크 몬스터는 전부 기계족이다. 종족 외에 속성 역시 난잡한지라 종족 / 속성을 맞춰서 덱을 짜긴 어렵고 "태엽"이란 이름을 따지는 서포트를 중심으로 덱을 만들게 된다. == 성능 == 몬스터는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 는 공통적인 효과가 있다. 이 1회성 효과는 '''태엽은 풀리면 다시 감기 전엔 안 움직이고, 자기 혼자선 못 감는 특징'''에서 기인한 것. 이러한 디메리트는 뒷면 수비 표시가 되거나, 필드 위에서 벗어나면 초기화된다. 보통 레벨 조정에 특화된 효과가 많아, [[엑시즈 소환]]에 유용하지만 일부는 [[싱크로 소환]]에도 쓸 수 있다. 또한 듀얼리스트 박스 2012의 카드 중 이 카드군 소속인 '발조장공 태엽오'가 나왔다. 이 덕분에 [[코아키메일]]처럼 애니나 코믹스에 등장하지 않고 부스터로 대부분의 카드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동봉 카드로 나온 카드가 있는 카드군이 됐다. 본래는 그렇게 관심을 못 받았지만, [[발조공모 태엽마이티]]의 등장으로 태엽 헌터와 태엽 래트의 '''충격적인 [[한데스]] 콤보'''가 발견되면서 한 때 흉악한 강덱으로 부상했다. 설상가상으로 TCG에선 태엽 샤크와 태엽 래빗까지 나오면서 [[인잭터]], [[에볼]]카이저에 맞먹는 사기 덱으로 돌변했다. 다만 '''첫 턴에 선공으로''' 상대의 패를 왕창 털어버려서 완전히 승리를 확정짓는다는, 지나치게 기형적인 승부 패턴과 하고 많은 것들 중에서 '''코나미의 미움을 가장 많이 받는 [[핸드 데스]]'''를 승리의 수단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역으로 금지 제한으로부터 가장 위협을 많이 받았다. 여담으로 이 한데스는 암흑계한테 치명적인 효과인데 '버린다.'란 효과가 아니라 '묘지로 보낸다.'란 효과이기에 패에서 효과로 묘지로 버려질 때 발동되는 암흑계의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결국 2012년 9월 금제로 선턴 한데스 콤보의 핵심 축인 발조공모 태엽마이티가 제한을 먹으면서 카드군 전체의 힘이 많이 빠져버렸다. 하지만 굳이 한데스 콤보를 노리지 않은 엑시즈 주축의 비트 만으로도 충분히 강한 모습을 보이며, 이미 몇 군데 입상을 했다. 게다가 [[다이가스타 에메랄]]과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마계발 현세행 버스|마계발 현세행 버스]]를 쓰면 이전에 비해 부족했지만, 여전히 강력한 한데스를 보였다. 이걸 가능하게 했던 TCG 전용 카드인 태엽 래빗과 태엽 샤크가 OCG에서도 [[엑스트라 팩]] 2012에서 넘어오자 이곳저곳에선 '''토끼와 상어는 미국으로 돌아가라'''며 아우성을 쳤다. 결국 태엽마이티가 금지, 태엽 매지션이 제한이 되면서 많은 태엽 유저들이 좌절을 느꼈다. 다행히 태엽 매지션이 무제한으로 풀렸고, 역으로 태엽 샤크가 제한이 됐다. 그런데 2014년 4월부터 '''태엽마이티가 다시 제한.''' 대신 태엽 헌터가 '''금지'''를 먹어서 예전의 그 흉악한 한데스는 재현하기 힘들어졌다. 태엽 샤크는 2014년 7월에 준제한, 2014년 10월에 무제한이 됐고,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새 서포트 카드가 나오더니,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링크 서포트가 나왔다. 신마룰 1에 시점에서는 태엽마이티가 무제한으로 내려와 7소재를 먹은 [[No.86 H-C 론고미언트]]를 최종 결과물로 뽑는 구성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신마룰 2로 넘어가면서 2020년 4월 금제에서 코나미는 태엽의 폭발적인 전개력이 신마룰 2에서 깽판을 칠 것을 우려, 태엽 매지션과 태엽 마이티가 제한 카드가 되면서 덱 파워가 굉장히 떨어졌다. 2021년엔 태엽 매지션이 풀리면서 그나마 숨통이 트였다. 2022년에 마이티도 무제한으로 내려오며 태엽 헌터의 한데스 콤보를 제외한 전성기 시절의 파워를 거의 되찾았다. 하지만 특유의 전개력을 이용한 선공 5~7소재 론고미언트 날빌 덱 정도를 제외하면 태엽 덱을 굴리는 유저를 찾아보기 힘들며, 환경에도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후 2023년 10월에 론고미언트가 결국 '''금지되면서''' 기존의 론고미언트 날빌은 사장됐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이태호(유희왕 듀얼링크스)|타케다 테츠오(이태호)]]가 이 카드군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서 일부 카드는 전용 대사도 존재. 2018년에 [[CLASH OF WINGS]]에서 저글러와 나이트, 배트가 풀렸으며 그 후 [[POWER OF BRAVERY]]에서 관련 카드가 4장 추가, 그리고 2020년에 제알 월드 공개 후 이태호 듀얼 보상과 [[VOLTAGE OF THE METAL]]에서 나머지 카드들이 대규모로 풀리면서 본격적인 덱 구축이 가능해졌다. 다만 아직 풀리지 않은 링크 소환 몬스터인 태엽콘등 몇몇 카드는 아직 다 안 풀린 상태. 그러나 덱 내의 중요 카드들은 다 나온 상태라 충분히 덱으로 기능할 수 있는 수준이기는 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태엽 허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89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허니,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ハニー, 영어판 명칭=Wind-Up Honeybee, 레벨=1,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100, 수비력=3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전투 파괴되었을 때만 특수 소환이 가능해, 타이밍이 상당히 느려서 채용되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2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2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2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배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0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배트,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バット, 영어판 명칭=Wind-Up Bat, 레벨=1,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300, 수비력=35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앞면 수비 표시로 변경하고\,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묘지의 태엽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 효과 쓰고 묘지에 간 태엽 몬스터를 다시 쓸 수 있다. 필드에 매뉴팩쳐가 같이 있다면 패에 2장의 태엽을 보충할 수 있다. 다만 [[오더 오브 카오스]]에 나온 태엽 래트가 강력해서 덱에서 우선 순위가 대폭 떨어졌다. 한때 [[파이어월 드래곤]]과 [[캐논 솔저]]를 이용한 선턴킬 태엽덱의 중요 파츠였었다. 지금은 파이어월 드래곤은 효과가 에라타되고 캐논 솔저는 금지되어서 못 쓰게 되었지만. 옛날에 나온 일반 몬스터 [[배트(유희왕)|배트]]와 스탯이 똑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2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2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태엽 달팽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49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달팽이,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マイ, 영어판 명칭=Wind-Up Snail, 레벨=2,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100, 수비력=20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 필드 위에 세트된 카드 1장을 선택하고 주인의 패로 되돌릴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원래 이름인 "젠마이마이"는 '마이마이'가 일본어로 [[달팽이]]란 걸 이용한 말장난. 번역으로 살리진 못했다. 물족 / 물 속성 / 레벨 2라 [[습지초원]]의 서포트를 받을 수도 있다. [[떡 깨구리]]가 나온 이후 개구리 덱에선 [[SR(유희왕)|SR]]를 이용해 태엽마이티를 소환해 이 카드를 덱에서 특수 소환해, 일반 소환권도 없이 떡 깨구리의 소재를 마련하는 방식으로 쓰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1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 || XS12-KR015 || [[노멀]] || 한국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17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デュエリストボックス2012 || DB12-JP011 || [[노멀]] || 일본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1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키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0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키티,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ニャンコ, 영어판 명칭=Wind-Up Kitten, 레벨=2,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800, 수비력=5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상대 몬스터를 바운스하는 효과. 달팽이와는 다르게 몬스터면 무조건 바운스가 가능하단 장점이 있지만 여러모로 공/수가 매우 불안하다. [[스프라이트]] 출시 후, 2레벨이라는 점 덕분에 [[기간틱 스프라이트]]와 [[스프라이트 엘프]]의 효과로 필드에 나와 전개 파츠+바운스 역으로 쓰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26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6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26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태엽 래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89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래트,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ネズミ, 영어판 명칭=Wind-Up Rat,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600, 수비력=6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앞면 수비 표시로 변경하고\, 자신 묘지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매지션, 마이티, 샤크와 함께 태엽의 주력 몬스터. 묘지의 몬스터를 부활시켜도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기에 잘만 쓰면 순식간에 태엽 몬스터를 대량 전개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23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2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2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도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4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도그,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ドッグ, 영어판 명칭=Wind-Up Dog,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200, 수비력=9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레벨을 2개 올리고\, 공격력을 6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9633|(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효과를 쓰면 효과를 쓴 태엽 솔저와 레벨이 같아지고, 공격력은 일반적인 하급 어택커 수준이 된다. 레벨 조정용으로 사용하거나, 리크루트가 된다는 점을 위안 삼자. 그리고 이후에 나온 태엽 샤크와 비교되는 카드. 태엽 워리어와도 달리 자기 자신의 레벨만 올릴 수 있다는게 엑시즈를 위한 레벨 조정에 있어 치명적인 데다, 자체 공격력이 1800까지밖에 안 돼 태엽 솔저처럼 나름대로의 차별화도 불가능.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1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 || XS12-KR014 || [[노멀]] || 한국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1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デュエリストボックス2012 || DB12-JP010 || [[노멀]] || 일본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1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67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태엽 래빗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46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래빗,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ラビット, 영어판 명칭=Wind-Up Rabbit,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400, 수비력=600, 효과1=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다음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제외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북미판 [[빛의 충격파]] 추가 카드. 태엽을 제외하여 효과를 다시 쓸 수 있다. 하지만 더 잘 사용하는 경우는 태엽 팩토리와의 콤보. 엔드 페이즈에 자신을 제외시켜 태엽 팩토리를 발동시킨 뒤 샤크, 래트, 솔저 등을 소환 패털기 콤보나 엑시즈 소환에 사용된다. 그러나 태엽 자체가 금제 크리로 몰락해버린 지금에 와서는 태엽에는 별로 안 쓰이고 [[체인 비트]]에서의 활용이 아주 강력하다. '''자기가 도망가버릴 수 있는 프리체인 몬스터 카드'''라는 점을 십분 활용하는 것. 이쪽 몬스터는 각종 제거계 마함으로 쓸려나가는데 자기 효과를 통해 유유히 남아있는 토깽이를 보면 진짜로 멘탈이 붕괴한다. 공격력이 낮아 때려잡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프리 체인 효과라서 공격 선언에 체인해 도망가면 그만. [[염무-「천기」]]에 대응하는 야수전사족인것 또한 장점이다. 이 카드를 잡을 방법은 소환이나 효과를 카운터하는 카운터 함정이나 체인을 걸 수 없는 [[초융합]], 또는 제외 존으로 날아간 녀석을 붙들어올 [[허공해룡 리바이엘]]이나 제외를 아예 막아버리는 [[왕궁의 철벽]] 등이 있으며, 래빗의 효과 발동에 체인하여 제거 카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도 유용. ==== 태엽 헌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0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태엽 헌터, 일어판명칭=ゼンマイハンター, 영어판명칭=Wind-Up Hunter,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500, 종족=야수전사족,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 "태엽 헌터"이외의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1장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빛의 충격파]]에서 [[슈퍼 레어]]로 등장. 태엽 몬스터를 릴리스해야 하지만 패를 묘지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암흑계]]를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섀도르]] 등 그냥 묘지로 보내지는 것에도 반응하는 카드들이 늘어났으니 주의할 것. 핸드 데스 콤보로 [[발조공모 태엽마이티]]를 금지먹인 친구지만, 정작 오리지널 태엽에선 천덕꾸러기다. 레벨 조절도 안되고 전투력도 애매하고 [[엑시즈 소환]]에 도움되는 효과도 아닌데다 릴리스 대상도 자신 이외의 태엽이기까지. 한참이 지난 후, 이 카드 하나로 인해서 태엽의 핵심 카드인 태엽마이티가 봉인당했다는 사실을 코나미도 인식했는지 태엽마이티를 제한으로 내리고 대신 이 녀석을 금지먹였다. 태엽이 제재먹은 원인은 그 가공할만한 전개력이기도 했지만, 코나미가 가장 싫어하는 핸드 데스 때문에 더욱 강하게 제재했다고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그 때문인지 태엽 유저 중에선 이 카드를 불구대천의 원수 취급하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태엽 중 유일하게 "어둠" 속성. 반대되는 "빛" 속성은 복수 존재하지만 어둠 속성은 이 카드가 유일하다. 자신 이외의 태엽을 릴리스하고 악명높은 어둠의 핸드 데스를 실행하는 천덕꾸러기라는 점에서 관련이 있을지도?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2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2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레벨 4 === ==== 태엽 매지션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4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태엽 매지션, 일어판명칭=ゼンマイ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Wind-Up Magician,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600, 수비력=1800, 종족=마법사족, 효과1="태엽 매지션" 이외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자신의 덱에서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 발동엔 다른 태엽이 필수지만, '''덱에서 동명의 카드를 불러오지 못하거나 카드명으로 지정된 1턴에 1번 효과가 없기에''' 아차하는 순간 덱에서 매지션 3장이 다 튀어나온다. 태엽 샤크와의 조합은 최고로, 태엽 샤크의 특수 소환 효과를 이용해 효과를 발동하고, 그것으로 꺼낸 두 번째 매지션의 효과를 태엽 샤크의 레벨 조정 효과로 발동하는 등의 조합이 문제가 됐고, 이는 매지션의 제한과 마이티의 금지를 불렀다. 그런데 앞의 금제가 너무 심했음을 인식했는지 바로 다음 금제인 9/1 금제에서 이 카드를 무제한으로 다시 내렸다. 대신 샤크가 제한까지 올라갔었다. 아마 일반적으로 태엽 몬스터들은 자체 특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카드와 다른 태엽 몬스터를 함께 모으는게 어렵지만 일단 한번 시동걸리면 엄청나요~" 란 의도였던 듯하지만 후에 등장한 태엽 샤크는 이 단점을 단번에 메꿔버렸고 태엽의 티어를 크게 올리는 것에 일조했으며, 결국 이는 매지션의 제한이란 결론을 초래했다. 이후에 마이티와 매지션에 대한 금제를 풀고 대신 샤크와 헌터를 보내버렸는데, 사실 냉정하게 <매지션 VS 샤크> 따로따로 놓고 생각해본다면 가장 원흉이 되는 것은 아무래도 매지션 쪽이다. 샤크의 효과라고는 자체 특수 소환과 레벨 조정이 끝인데, 그에 반해 매지션은 대망의 덱 특소 효과에 무려 1턴 제약도, 동명 특소 제약도 없는 굉장히 이례적인 카드란 것. 물론 현재는 태엽 샤크도 무제한이지만, 매지션 제한 이후에 금지제한이 분리된 TCG에선 2016년 8월 29일에 준제한, 2019년 1월 28일에서야 무제한이 됐다. [[유희왕 SEVENS]] 공개와 함께 발표된 신규 마스터 룰이 적용되는 것에 맞춰, OCG에선 2020년 4월에 다시 제한, 2021년 1월에 준제한, 2021년 7월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1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2013년 하반기 대회용 프로모션 카드 || EV13-KR003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1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14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저글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4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저글러,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ジャグラー, 영어판 명칭=Wind-Up Juggler, 레벨=4, 속성=바람, 종족=사이킥족, 공격력=1700, 수비력=10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그 상대 몬스터를 데미지 계산 후에 파괴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는 [[여섯 무사|여섯 무사-잔지]]와 같다. 데미지를 받지만, 수비 표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고 고공격력 몬스터를 박치기로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데미지 스텝에 효과가 발동하기 때문에 아무리 생각해봐도 혼자서 따로 논다는 인상이 강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15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15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1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 BP03-EN086 || [[레어]][br][[패러렐 레어|섀터포일 레어]] || 미국 || || ==== 태엽 샤크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샤크(유희왕))] [[파일:ゼンマイシャー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태엽 샤크, 일어판명칭=ゼンマイシャーク, 영어판명칭=Wind-Up Shark, 속성=물,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300, 종족=어류족,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태엽"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이 카드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올린다., 효과4=●이 카드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내린다.)] 북미에서 만든 태엽계의 이단아. 태엽의 공통점인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텍스트가 없다. 물론 이 카드가 효과를 쓴 뒤 필드에 남아 있을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말이다. 이 카드의 레벨 조정 범위는 3~5. 매지션과 함께 쓰면 레벨 3~5 중 불가능한 엑시즈가 없고 레벨 4의 경우는 3장을 쓰는 엑시즈 몬스터까지 소환 가능하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일반 소환과 [[선봉 대장]], [[길라사우루스]]를 사용한 3레벨 엑시즈 패털기 위주의 플레이가 가능하다. 더 무서운 점은 손에 레벨 3몬스터와 이 카드만 있어도 패 털기 콤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팩토리까지 깔려 있으면 5레벨 엑시즈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 [[No.61 볼카사우루스]]를 사용한 공격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2013년 9월에 매지션과 자리를 바꿔 제한 카드로 올라갔으나, 태엽 덱이 파워 인플레에 밀려나고, 또 근본적인 원인인 태엽 헌터가 금지를 먹으면서 2014/7/1 금제에서 준제한, 10/1 금제에서 무제한으로 내려갔다. 사실 예전의 몇몇 TCG의 덱들을 살펴보면 이 카드는 의외로 범용성 높은 효과임을 알 수 있다. 자신의 레벨을 1~8까지 조정 가능한 [[가가가 매지션]]이나 2~6까지 조정 가능한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카우스트|세이크리드 카우스트]]에 비하면 후달리지만 이 효과는 태엽 샤크의 소환으로 패에 있는 두 번째의 태엽 샤크를 소환할 수 있다는 것과 물 속성 어류족임을 이용한 차별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카드는 딱 공격력 1500의 물 속성이라 [[샐비지(유희왕)|샐비지]]의 효과 범위에 대응한다. 위의 카드와 차별점을 둘수 있는 가장 큰 점은 싱크로 소환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샤크(유희왕)|샤크]] 테마군에도 속하며 어류족이기에 [[빅 죠스|부상하는 빅 죠스]]로 서치고 가능하다. 레벨 3~5을 포괄하는 레벨 조정 효과 덕에 시너지가 있는데 실제로 제알 시절에는 샤크 덱에 이 카드가 종종 들어가곤 했다. 정작 이 카드가 나오던 시절에선 아직 료가가 랭크 3만을 주력으로 쓰던 시기였기에 후에 랭크 4와 5까지 포괄적으로 쓰게 되면서 이 카드는 얼떨결에 미래를 예견한 카드가 되고 말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엑스트라 팩]] 2012 || EXP5-KR03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2 || EP12-JP033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18 Vol.1 || 18TP-JP105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82 || [[슈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Special Edition || CBLZ-ENSE1 || [[슈퍼 레어]] || 미국 || || ==== 태엽 워리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79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워리어,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Wind-Up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8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선택한 몬스터 1장의 레벨을 1개 올리고\, 공격력을 6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9740|(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도그와는 다르게 자기 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태엽의 공격력과 레벨을 올릴 수도 있다. 공격력이 부족한 다른 태엽 친구들을 서포트 하는 것도 가능. 아니면 레벨 3짜리 태엽이 있다면 그 녀석의 레벨을 올려서 랭크 4의 [[엑시즈 소환]]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수비력은 불안하긴 하지만 아주 못 버틸 수준은 아니다. 태엽 쥐의 등장으로 쥐 1장으로 랭크 4의 엑시즈를 성사시켜 줄 수 있어서 더욱 쓰기 좋아졌다.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의 레벨도 올릴 수 있다는게 비스무리한 태엽 친구들 중에서 생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전사족이라 [[증원(유희왕)|증원]]으로 서치도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2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2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70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태엽 나이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0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나이트,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ナイト, 영어판 명칭=Wind-Up Knight,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그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공격을 무효로 할 수 있는 [[No.39 유토피아]]와 비슷한 효과. 공격력은 준수한 편이지만 위의 솔저에 비해 이쪽은 수비적인 효과를 가졌다. 공격을 막았다면 보통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가 달려들었을 것이므로 바로 다른 특수 소환으로 연결해 주자. 전사족이기도 하니 [[증원(유희왕)|증원]]으로 서치가 가능하나, 효과가 너무 수비적인 데다 고작 1회 공격 무효라 진지하게 채용하긴 당연히 꺼려지는 카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2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23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솔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48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태엽 솔저,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ソルジャー, 영어판 명칭=Wind-Up Soldie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리고\, 공격력을 4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9630|(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효과를 쓰면 공격력이 2200이 되기에 어태커로 쓰기 좋다. 딱히 제한이 없기에 [[엑시즈 소환]] 외에 [[싱크로 소환]]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레벨 조정에 있어 이후에 나온 신 카드 태엽 샤크와 비교되긴 하지만, 자체 효과로 공격력을 2200까지 끌어올린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1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 || XS12-KR013 || [[노멀]] || 한국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1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デュエリストボックス2012 || DB12-JP009 || [[노멀]] || 일본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1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66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엑시즈 몬스터 == 태엽의 엑시즈 몬스터는 전부 기계족이며, 순서대로 지 - 수 - 화 - 풍(엑시즈) - 빛(링크)의 속성을 지녔다. 또 앞에 용수철을 의미하는 발조(発条)란 이름이 붙었다. === 랭크 3 === ====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76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발조공모 태엽마이티, 일어판 명칭=発条空母(ぜんまいくうぼ)ゼンマイティ, 영어판 명칭=Wind-Up Carrier Zenmaity, 레벨=3, 속성=물,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소재=레벨 3 몬스터 × 2,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태엽"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필드의 앞면 표시의 "태엽" 몬스터가 전투 이외로 파괴되어 자신의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그 "태엽"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금지 카드)] [[항공모함]]이 모티브이며, 이름의 공모는 우리나라의 항모처럼 일본이 항공모함을 줄여부르는 단어다. 태엽 매지션을 능가하는 전개력을 가졌으며, [[샐비지]] 효과도 쓸만해서 태엽 덱 전개의 핵심이다. 엑시즈 몬스터 최초로 제한 및 금지 카드가 된 몬스터이기도 하다. 자신의 효과로 태엽 래트를 [[리크루트]]하고, 그 태엽 래트로 묘지의 태엽 헌터를 소생시킨 뒤, 효과가 리셋되었던 태엽 헌터의 효과를 발동해 이 카드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의 패를 털어버리는 콤보가 있었다. 이 콤보의 무서운 점은, 남은 태엽 래트와 태엽 헌터를 겹치고 '''두 번째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할 수 있었다는 것. 다시 태엽 헌터를 제거하고 2번째 태엽 래트를 리크루트하면 이 콤보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었으며, 1턴 만에 상대의 패 3장을 털어버릴 수 있었다. 그리고 태엽 샤크의 출현으로 이 콤보는 더더욱 흉악해졌었는데, 상세한 콤보 내용은 하단 참조. 인잭터와 이 카드의 궁합이 얼마나 [[밸런스 붕괴]]를 불러왔는지 보여준다. 이런 대량 [[핸드 데스]]의 축이 되는 카드였던 만큼 2012년 9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이 카드의 제한 이후에도 악랄한 유저들은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를 발굴해 이 카드를 카피해 2장째 이 카드로 핸드 데스를 다시 가능하게 했고, 코트 오브 암즈에겐 '''태엽신 코트 오브 암즈'''란 별명이 붙어버렸다. 이로 인해 2013년 3월에 금지 카드가 됐다. [[다크 다이브 봄버]]에겐 못 미쳐도 1년 4개월 만의 금지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보다도 빠른 기록이다. 2014년 4월에 이 카드의 실질적 금지 이유인 태엽 헌터를 금지한 것으로 이 카드를 제한으로 풀었고, 2015년 4월에 준제한, 2015년 10월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이후 [[유희왕 SEVENS]] 공개와 함께 발표된 신규 마스터 룰이 적용되는 것에 맞춰 2020년 4월에 다시 제한 카드가 됐다. 워낙 흉악했던 핸드 데스의 주축이라 핸드 데스 이야기밖에 안 나왔지만 자체적인 성능도 쓸만은 하다. 샐비지 효과는 능력치와 저건 때문에 보통 쓰기 전에 제거될 가능성이 높지만 리크루트는 태엽에선 꽤 쓸만하다. 아무 태엽이든 특수 소환해주기에 뒤이어 나오는 폭발력의 촉매가 될 수 있다. 태엽 덱에서만 쓸 수 있을 것 같지만 의외로 어느 정도 범용성이 있는 몬스터이기도 한다. 소재 제약이 없어 온갖 방법으로, 특히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로 쉽게 소환 가능한 데다 태엽 몬스터들 중에는 꼭 모아서 안 써도 단독으로도 어느 정도 기능하는 몬스터들이 꽤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예전엔 태엽 이외의 덱에서 튀어나와 태엽 키티 같은 용병 제거 요원을 출격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무엇보다 특히 저 문제의 핸드 데스를 실행하는 태엽 헌터와의 조합이 가장 문제로, 그냥 이 카드로 불러다가 이 카드를 릴리스하기만 해도 패 1장을 털 수 있다. 태엽 헌터가 금지된 후 이 카드를 어떻게 쓸지 약간 애매해졌는데, [[샐비지(유희왕)|샐비지]]로 되돌릴 순 있지만 같이 되돌릴 수 있는 건 태엽에선 태엽 샤크뿐이라 그 2장을 노리고 샐비지를 채용하기엔 덱 공간을 굉장히 낭비하는 짓이다. 하지만 이 카드가 신규 카드와 조합해 태엽의 전개력을 대폭 끌어올려 줄 수 있게 됐는데, 패 3장으로 이 카드와 강력한 엑시즈 몬스터 3장을 띄울 수 있다. 상세한 콤보는 하단 참조. 듀얼링크스에서는 몬스터칸이 3칸이기에 태엽 테마군이 대폭 약화되어 무제한으로 살아남았다 설정상으론 "흔들리는 발조천칭"의 일러스트는 이 카드의 내부인 듯하며,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와 [[발조기뢰 태엽마인]]과 합체해 [[발조장공 태엽오]]가 된다. {{{#!folding [ 초기 카드 콤보 ] 1. 태엽 매지션을 일반 소환한다. 자신 패-1 2. 패에서 태엽 샤크를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다. 자신 패-1 3. 바로 태엽 매지션의 효과를 발동해 태엽 헌터를 덱에서 리크루트한다. 4. 태엽 헌터의 효과 발동, 태엽 매지션을 릴리스해 상대의 패를 턴다. 상대 패-1 5. 태엽 샤크의 효과를 발동, 레벨을 1 내린다. 6. 태엽 헌터와 태엽 샤크로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 7. 엑시즈 소재로서 태엽 헌터를 제거하는 것으로 태엽 래트를 덱에서 리크루트. 8. 태엽 래트의 효과로 묘지의 태엽 헌터를 특수 소환. 9. 태엽 헌터로 이 카드를 릴리스해 상대의 패를 턴다. 상대 패-1 10. 남은 태엽 헌터와 태엽 래트로 2번째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 11. 엑시즈 소재로서 태엽 헌터를 제거하는 것으로 태엽 래트를 덱에서 리크루트. 12. 태엽 래트의 효과로 묘지의 태엽 헌터를 특수 소환. 13. 태엽 헌터로 이 카드를 릴리스해 상대의 패를 턴다. 상대 패-1 14. 남은 태엽 헌터와 태엽 래트로 3번째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 15. 엑시즈 소재로서 태엽 헌터를 제거하는 것으로 태엽 래트를 덱에서 리크루트. 16. 태엽 래트의 효과로 묘지의 태엽 헌터를 특수 소환. 17. 태엽 헌터로 이 카드를 릴리스해 상대의 패를 턴다. 상대 패-1 최종 결과: 상대 패 4장 묘지로 감, 자신 패 2장 소비, 필드에 태엽 래트, 태엽 헌터(레벨 3 엑시즈 소환 가능) 존재. 어드밴티지: 2장을 써서 필드 어드밴티지 +2(1), 상대적인 패 어드밴티지+2 묘지: 태엽 매지션, 태엽 샤크, 태엽 래트 ×2,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3 만약 탐욕의 항아리를 이용해 태엽 래트와 이 카드를 되돌린다면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해 2장을 더 털어버릴 수 있다. 태엽 헌터의 효과가 "버린다"가 아니라 "묘지로 보낸다"이므로, 이 전술은 [[암흑계]]도 못 막는다. 단 중간에 [[이펙트 뵐러]]나 '''[[증식의 G]]'''가 날아온다면 포기해야 한다. 특히 증식의 G는 이를 무시하고 진행하면 절대 안 된다. '''패 터는 속도보다 상대가 드로우하는 속도가 몇 배는 더 빠르다.''' 위의 17단계 동안 자신은 총 몬스터를 12번 특수 소환하므로, 첫 특수 소환에 체인이 걸리면 이 과정에서 상대의 패 어드밴티지는 -4에서 '''+8'''로 변한다.}}} {{{#!folding [ 태엽 헌터 금지 이후 ] 1.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를 일반 소환, 효과로 덱에서 에지임프 시저를 특수 소환한다. 2.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와 에지임프 시저로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한다. 3. 이 카드의 효과로 에지임프 시저를 묘지로 보낸 후 덱에서 태엽 매지션을 특수 소환한다. 4. 이때 패의 태엽 샤크를 특수 소환하고 태엽 매지션의 효과로 덱에서 태엽 매지션을 특수 소환한다. 5. 태엽 샤크의 레벨을 올리거나 내리고 2번째 태엽 매지션의 효과를 발동시켜 덱에서 태엽 워리어를 특수 소환한다. 6. 태엽 매지션 2장, 태엽 워리어로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를 엑시즈 소환한다. 이때 코트 오브 암즈의 특수 소환으로 인해 필드의 모든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7. 코트 오브 암즈의 효과로 이 카드의 효과를 복사한다. 8. 복사한 이 카드의 효과로 태엽 워리어를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태엽 래트를 특수 소환한다. 9. 태엽 래트의 효과로 태엽 워리어를 특수 소환한다. 필드에 태엽 워리어, 태엽 래트, 태엽 샤크가 존재한다. 10. 태엽 워리어와 태엽 샤크로 랭크 4, 5 엑시즈 소환한다. 11. 패를 1장 덱 맨 위로 되돌리고 묘지의 에지임프 시저를 특수 소환한다. 12. 태엽 래트와 에지임프 시저로 랭크 3 엑시즈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한다. 이 과정을 먼저 진행해 [[M.X-세이버 인보커]]를 특수 소환해 덱에서 태엽 워리어를 소환하면, 10에서 4×3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최종 결과: 패 3장 소비, 필드에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 랭크 3 엑시즈 몬스터, 랭크 4 ×2 / 4 ×3/ 5 엑시즈 몬스터 존재 묘지: 이후 소환한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써서 묘지 자원 3장을 채울 수 있다. [[샤크 포트리스]] +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을 엑시즈 소환하면 총 데미지 1500+2600+6000+2400=12500이란 정신나간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으며, 몬스터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소환해도 1500+2600+(합계 3900 이상)만으로도 원턴킬이 가능해진다. 태엽 팩토리라도 깔려 있다면 이후부터 태엽 래트를 서치하고 효과로 묘지의 태엽 워리어를 특수 소환해 매 턴 패 1장으로 랭크 4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4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2nd WAVE]] || 20AP-KR086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4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 20AP-JP086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44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발조기뢰 태엽마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4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발조기뢰 태엽마인, 일어판 명칭=発条機雷(ぜんまいきらい)ゼンマイン, 영어판 명칭=Wind-Up Zenmaines, 레벨=3, 속성=화염,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수비력=2100, 소재=레벨 3 몬스터 × 2, 효과1=필드 위의 이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적용한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1번\,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파괴한다.)] ||<-5>'''"좋아! 그럼 레벨 3 몬스터 2장으로 엑시즈 소환! 등장하라! 발조기뢰 태엽마인!"'''-[[이태호(유희왕 듀얼링크스)]]|| ||<-5>'''"그러니까, 이렇게? 나타나줘! 발조기뢰 태엽마인!"'''-[[한소희(유희왕 듀얼링크스)]]|| 단순히 효과로 따지면 사실상 [[까칠까칠 간테츠]]의 상위 호환. 동일한 파괴 무효 효과를 갖고 있는 데다가 이 효과 쓰면 엔드 페이즈시 카드 1장도 파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추가됐다. 이 효과 때문에 가뜩이나 부수기 힘든데 소재를 다 쓰게 만들기도 힘들다. 다른 점이라면 공격력 상승 옵션이 없다는 점과 랭크 3이라는 점. 텍스트만 보면 조금 애매하지만, 파괴 내성은 지속 효과, 파괴 효과는 '''필드에서 1번 발동하는 유발 효과'''이므로 * 1턴에 소재가 2개 제거되어도 '''1장만 파괴한다.''' * 파괴 효과를 발동한 후 이 카드의 파괴 내성 효과를 사용해도 '''효과가 다시 발동하지 않는다.''' 상대가 필드를 [[블랙홀(유희왕)|블랙홀]]이나 [[블랙 로즈 드래곤]]으로 파괴해서 엔드 페이즈에 상대 필드에 카드가 없어 자기 카드를 터트려야 하는 경우에 이런 상황이 나온다. * 엔드 페이즈에 필드에 남아있지 않으면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한 턴만에 소재가 전부 제거당하고 파괴되면 파괴 효과를 발동하지 못한다. 영미권 TCG판에서는 시크릿 레어로 발매되어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던 카드였으나, 일본판이 [[골드 시리즈]] 2012에서 노멀을 포함한 레어도로 발매되어 구하기 쉬운 카드가 되었다. 최초로 골드 레어로 나오는 엑시즈 몬스터, 최초로 노멀로 나오는 엑시즈 몬스터이기도 하다. 발매 당시에는 파괴 이외의 제거 수단이 적어 이 카드를 쉽게 제거하기가 어려웠던 점, 파괴 효과를 가진 흔치 않던 낮은 랭크 엑시즈 몬스터인 점 등이 더해져 상당히 우수한 몬스터였다. 랭크 3 엑시즈가 가능할 경우 높은 우선순위로 고려되는 몬스터였으나, 파괴 내성 돌파가 쉬워진 점과 능동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없다는 점 때문에 현재는 도태된 카드다. [[팬텀 나이츠 브레이크스워드]] 등 더 우수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랭크 3 엑시즈 몬스터들이 많아 굳이 사용할 여지가 없다. 태엽 덱에서도 같은 랭크에 강력한 효과를 지닌 [[발조공모 태엽마이티]]를 우선하며, 이 카드의 효과가 태엽 몬스터와 연계가 가능한 것도 아니라 사용할 일이 없다. 설정상으로는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발조공모 태엽마이티]]와 합체해서 [[발조장공 태엽오]]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카드는 태엽오의 상반신에 위치한다. 공수 특성상 [[마나둠 프라임하트]]의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골드 시리즈]] 2012 || GS04-KR010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 2012 || EXP5-KR028 || [[레어]] || 한국 ||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2 || GS04-JP010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70 || [[골드 레어]] || 일본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2 || EP12-JP028 || [[레어]] || 일본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87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Collectible Tin 2012 Wave 1 || CT09-EN008 || [[슈퍼 레어]] || 미국 || || === 랭크 4 === ====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51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일어판명칭=発条機甲(ぜんまいきこう)ゼンマイスター, 영어판명칭=Wind-Up Zenmaister, 속성=땅, 레벨=4, 공격력=1900, 수비력=1500, 종족=기계족,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1=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의 수 × 300 포인트 올린다.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선택한 몬스터를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제너레이션 포스]]에서 등장한 [[태엽(유희왕)|태엽]] 최초의 엑시즈 몬스터. 발매 당시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위한 효과를 지닌 카드들이 많았던데 반해 이 카드는 랭크 4라 랭크가 맞아떨어지지 않는 듯한 느낌도 들지만, 소환이 불가능한 것은 절대 아니며 다른 태엽 몬스터들과 확실히 연계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엄연한 태엽의 대형 몬스터 중 하나다. 기본 공격력은 하급 어태커 수준의 1900이지만, 효과 덕분에 실질 공격력은 2500으로 시작한다. 2500이면 일반적인 상급 몬스터와 맞설 수 있는 수준으로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로서는 합격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원한다면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 등으로 엑시즈 소재의 수가 더 많아지면 공격력을 더 올려줄 수도 있다. 효과는 공격력을 300씩 내리는 것으로 자신 필드 한정 [[달의 서]] + [[태양의 서]] 효과를 낼 수 있다. 필드 위에서 효과를 딱 한번만 발동할 수 있다는 태엽 몬스터들의 디메리트를 지워줄 수 있는 효과로, 카드를 뒷면 수비 표시로 꺾었다가 다시 앞면 공격 표시로 돌려주는 것은 그야말로 '''태엽을 다시 감아주는 모습''' 그 자체이다. 단 효과를 연속으로 바로 발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다시 앞면 공격 표시가 되는 건 엔드 페이즈시이므로 주의. 잘 보호해주지 않으면 기껏 이걸로 태엽을 다시 감아도 효과를 써보기 전에 맞아죽을 수도 있다. 일단 상대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태엽 나이트, 태엽 저글러 등과는 잘 맞는다. 소재 제한은 없기 때문에 굳이 태엽 덱이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엑시즈 몬스터이다. 기본적으로 2500의 평균적인 어태커로 활용이 가능하며, 효과를 써서 꼭 태엽이 아니더라도 리버스 몬스터의 효과를 재활용하거나 뭔가 디메리트를 받은 몬스터의 디메리트를 지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카드 혼자서는 2500의 공격력으로 때리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몬스터라는 점이 단점. 어울리는 몬스터가 딱히 없다면 굳이 넣을 이유는 없다. 또 기계족 덱 전반에서도 채용 후보가 되는데, 랭크 4 기계족 몬스터 중에서 실질 공격력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물론 효과의 유용성을 생각하면 [[기아기간토 X]] 등을 우선시하는 것이 낫긴 하지만, 소재 제약이 없다는 점은 일부 비 기계족 몬스터를 채용했을 때 도움이 되며 또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와의 콤보가 꽤 쓸만하여 공격력 5000으로 한대 치고 자기 자신에게 효과를 걸어 파괴를 회피할 수 있다. 거의 전용 덱 구축이 필요하지만 [[태엽(유희왕)#오버 렌치|오버 렌치]] → 리미터 해제의 콤보가 성공하면 공격력 '''10000'''을 달성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다른 카드와의 콤보용 카드지만, [[섀도르]]를 막기 위한 어태커로 랭크 4 위주의 덱에서 채용되기도 한다. 소환시 2500의 공격력으로 엘섀도르 미도라시를 때려잡을 수 있고, 그렇게 때려잡은 후 자기 자신에게 효과를 걸어 뒷면 표시가 되었다가 앞면 공격 표시가 되면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었다는 정보가 소실되어 다음 턴 샤도르 퓨전의 덱 융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효과를 한번 쓰고 난 후의 공격력도 2200으로 2번째 미도라시에게 일방적으로 밟히지 않는 공격력이다. 이름의 '발조'는 [[용수철]]을 의미하며, '기갑'이라는 것은 일본어로 '기구'와 발음이 같다. 태엽 몬스터의 효과를 다시 쓸 수 있게 하는 것은 용수철 장치로 태엽을 되감을 수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또 태엽마이스터는 원래 일본어로 '''젠마이스터'''라고 읽는데, 이는 일본어로 태엽을 뜻하는 젠'''마이''' + '''마이'''스터. 아쉽게도 한글판에서는 태엽 달팽이와 마찬가지로 그냥 묻혔다. 일러스트를 보면 이 카드는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발조기뢰 태엽마인]]과 합체하여 [[발조장공 태엽오]]가 되는 듯 하다. 이 카드는 몸통 쪽을 맡는 듯. OCG 오리지널 몬스터지만, [[유희왕 ZEXAL]] 21화에서 [[오보미]]가 소환하는 것으로 첫 등장. 엑시즈 소환 직후 [[츠쿠모 유마]]한테 다이렉트 어택을 먹여 끝장을 내는 역할로 나왔다. 왠지 오버레이 유닛이 2개 있음에도 공격력이 1900으로 나왔다. 근데 유마의 라이프는 당시 2000이었으나 1900 짜리 젠마이스터의 공격을 맞고 끝났던 걸로 봐서 아무래도 도중에 이 카드의 효과를 말하며 공격력이 올라가는 연출의 오류인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4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42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42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Wind-Up Zenmaister[br]Collectible Tin || CT08-EN002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028 || [[레어(유희왕)|레어]][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랭크 5 === ==== 발조장공 태엽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07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발조기갑 태엽오, 일어판명칭=発条装攻(ぜんまいそうこう)ゼンマイオー, 영어판명칭=Wind-Up Arsenal Zenmaioh,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2600, 수비력=1900, 종족=기계족, 소재=레벨 5 몬스터 × 2,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에 세트된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일본에서 듀얼리스트 박스 2012의 동봉 카드로 등장한 카드. 한국에서는 저 상품이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이라는 것으로 바뀌어 나온 관계로 다른 경로로 발매되었다. 2011년 12월 ZEXAL [[스타터 덱 2011]] 스페셜 에디션 동봉 카드로 [[M.X-세이버 인보커]]와 함께 출시. 태엽 몬스터지만 소재 제한도 걸려있지 않고, 효과 자체도 딱히 태엽과의 시너지는 별로 없는 범용 엑시즈 몬스터다. 세트 카드를 '''2장'''이나 파괴하는 것은 나름대로 파격적이라면 파격적인 효과로, 랭크 5 최강자인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와 [[No.61 볼카사우루스]]와 분명히 차별화는 되는 효과다. 시조의 수호자는 어찌 됐든 공격이 막히면 카드를 부술 수 없고, 볼카사우루스는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만을 파괴할 수 있고 효과를 쓴 턴에는 직접 공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이 둘 말고도, 랭크 5 엑시즈 몬스터중 마법 / 함정을 파괴할 수 있는 카드는 이 카드와 [[중기왕 드보크 자크]],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 뿐이다. 드보크 자크가 소재 3개를 요구하는 데다 효과가 랜덤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아드레우스는 앞면 표시 카드밖에 파괴할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결국 랭크5 중 상대의 세트 마법 / 함정을 견제할 수 있는 카드는 티라스와 이 카드 둘뿐이라는 것. 그것도 티라스는 [[차원 유폐]] 등에 당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하면... 하지만 사실 이 카드 최대의 단점은 2장'''까지''' 파괴하는 것이 아닌, 반드시 2장을 파괴'''해야''' 한다는 것. 오히려 이점이 나머지 두 엑시즈 몬스터와 경쟁하는 데에 발목을 잡는다. 차라리 아드레우스처럼 1장을 파괴하는 효과였으면 언제든지 내킬 때 튀어나와서 세트 마법 / 함정이든 몬스터는 푹 부수고 공격을 하면 됐겠지만, 2장을 파괴해야 하기에 상대가 2장 이상 세트를 하지 않은 경우 자신의 카드를 일부러 세트하고 같이 파괴해야 한다. 게다가 상대가 세트를 2장 이상 했는데 그중 소환반응형 함정이 없을 확률이 얼마나 되겠는가? 다만 상대가 정말로 세트를 여러 장 했고, 그 세트 카드 중 이 카드를 견제할 수 있는 카드가 없을 경우 굉장한 어드밴티지를 가져갈 수 있기는 하다. 게다가 어디까지나 '세트된 카드'이므로 몬스터도 파괴 가능하다. ~~가자 개기일식의 서~~ 랭크 5 엑시즈 몬스터를 폼으로 한두 장 넣어두는 덱이 아니라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주축으로 하는 덱이라면 1장쯤 넣어둘 만하다. 일단 이 카드가 소속되어있는 카드군 [[태엽(유희왕)|태엽]]에서도 몬스터들의 레벨을 5로 조정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잘 튀어나올 수 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를 잘 보면, '''등짝에는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다리는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상반신은 발조기뢰 태엽마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라이징오|이름도 그렇고...노렸구나 코나미!]]-- 또 왼쪽 다리를 보면 전설의 태엽이 꽂혀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함정카드 '나선식 발조'에 나오는것이 합체 과정인 듯. 게다가 능력치나 랭크가 태엽 중에선 최강이라는 점이나 디자인 등등 여러모로 남자의 로망을 자극하는 카드다. ~~성능이 조금만 더 남자의 로망을 자극했다면 좋았을 것을~~ "태엽'''오'''"라는 이름이 좀 어색해 보이기도 하는데, 사실 이 카드의 이름은 원래 "발조장공 젠마이오"라고 읽는다. "젠마이오"라는 이름은 이전의 태엽 엑시즈 몬스터들처럼 글자가 겹치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라기보다는 일본어로 뜻을 풀이했을 때 '태엽왕' 정도가 될 수 있는 단어다. 즉 그냥 젠마이 뒤에다가 오를 갖다붙인 것뿐이며, 이는 [[라이징오]] 등에서 볼 수 있듯 거대로봇의 이름으로 흔히 쓰이는 이름 짓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게 한글판으로 넘어올 때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되는 "젠마이" 부분은 당연히 "태엽"으로 번역되었으나 끝의 "오" 부분은 바꾸지 않고 그대로 놔뒀기 때문에 이런 어색해 보이는 이름이 되고 만 것이다. 사실 여기서 젠마이 뒤에 붙는 "오"가 정확히 王인지 다른 한자인지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아주 틀렸다고는 할 수 없는 번역이지만 별로 평판이 좋지 못했던 건 사실. 한편 영어판은 다른 태엽 엑시즈 몬스터들처럼 카드군의 이름으로 지정되는 "Wind-Up" 부분을 앞쪽으로 옮기는 식으로 젠마이오라는 이름을 그대로 썼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타터 덱 2011|스타터 덱 ZEXAL]][br]스페셜 에디션 동봉 || YSD6-KRSE1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박스 2012 || DB12-JPS02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9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발조보수 태엽콘 ==== [[파일:発条補修ゼンマイコ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발조보수 태엽콘, 일어판 명칭=発条補修(ぜんまいほしゅう)ゼンマイコン, 영어판 명칭=Wind-Up Zenmaintenance, 레벨=2,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800, link1=, link3=, 소재="태엽"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태엽"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태엽" 몬스터 1장을 뒷면 표시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것과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태엽"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발조의 감아올리기 이후 상당히 오랜만의 신규 지원 카드. 이제 순수 태엽만으로도 몬스터를 손쉽게 전개할 수 있을 정도의 버프를 받았다. ①의 효과는 '태엽'이란 이름만 붙는다면 어떤 카드든지 서치 할 수 있는 효과. 기존의 전개력에 박차를 가해주는 카드로, 보통은 태엽 팩토리나 태엽 샤크 등을 주로 가져오는 데 쓰일 것이다. ②의 효과는 태엽 몬스터 1장을 잡아먹고 덱에서 동명의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인데, 1회성 효과가 많은 태엽의 특성상 상황에 맞게 카드의 효과를 2번까지 발동할 수 있다. 이렇게 잡아먹고 새로 꺼내는 몬스터의 표시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게 장점인데, 기존의 태엽 매지션의 효과로 소환된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가 표시 형식 변경 효과를 발동하지 못했던 점을 보충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에 발동하지 못했던 태엽 래트의 효과를 태엽콘의 효과로 새로 앞면 공격표시로 리크루트, 그 효과를 발동할 수 있게 됐다. 여러모로 뛰어난 능력. ③의 효과는 실용성 보다는 태엽 카드군의 테마에 맞춘 것 같은 느낌을 주는데, 이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로는 발조기갑 태엽 마이스터를 꼽을 수 있다. 공격력 2800을 찍는 타점 증가 하나는 쏠쏠하기 때문. 덕분에 수비력 2500 미만인 카드도 이론상 잡을 수 있게 됐다. 오버 렌치를 발동할 경우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은 간단히 뛰어넘는 공격력 5600의 괴물이 된다. 대부분의 링크 카드가 링크 소환 이후 추가 카드의 전개를 통한 어드밴티지를 보는 형태인데, 이번 태엽 링크 몬스터가 추가됨에 따라 태엽 덱의 전개 요원인 태엽 매지션과 태엽 샤크의 중요성이 대폭 상승했다. 태엽 매지션과 태엽 샤크 2장만으로 이제 기존보다 더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전개 방식의 예시로는 1. 태엽 매지션 소환 2. 태엽 샤크를 패에서 특수소환 3. 매지션 효과로 2번째 매지션 리쿠르트 4. 샤크 효과로 레벨 조정 5. 2번째 매지션 효과로 3번째 매지션 리쿠르트 6. 첫 번째와 두 번째 매지션으로 발조보수 태엽콘 소환 7. 태엽콘 효과로 태엽 팩토리 서치 8. 태엽콘 효과에 연계되어 3번째 매지션이 태엽 래트 앞면 수비 표시로 리쿠르트 9. 서치한 태엽 팩토리 발동 10. 태엽콘 2번째 효과로 래트 제외, 덱에서 태엽 래트를 공격 표시로 리쿠르트 11. 태엽 팩토리 효과로 태엽 샤크 서치 12. 래트 효과로 앞면 수비 표시 변경, 묘지서 태엽 매지션 소환 13. 패에서 효과로 태엽 샤크 특수 소환 14. 묘지서 돌아온 태엽 매지션의 효과로 태엽 몬스터 리쿠르트 마지막에 태엽 샤크를 소환할 즈음 자신의 필드엔 '''발조보수 태엽콘, 2체의 태엽 매지션, 태엽 래트, 2체의 태엽 샤크, 태엽 팩토리'''가 존재하며, 그 전에 링크 소환할 경우 마지막 태엽 매지션의 리크루트 효과를 발동, 패 2장만으로 꽉 찬 필드를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샤크 2장으로 태엽 마이티를 소환하면 금상첨화. 이런 간단한 콤보에도 필드가 꽉 차는데, 더 연구하면 무서운 콤보가 나올 것이다. 발조의 감아올리기가 기대에 비해 형편없는 지원으로 나와서 실망을 준 반면에 훌륭한 지원 카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4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4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4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전설의 태엽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52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전설의 태엽, 일어판 명칭=伝説(でんせつ)のゼンマイ, 영어판 명칭=Legendary Wind-Up Key,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태엽 한정 [[개기일식의 서]]. 태엽의 효과를 다시 쓰게 해주는 게 가능하지만 효율이 나빠서 안 쓰인다. 발조장공 태엽오에 이 전설의 태엽이 꽂혀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5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5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5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태엽 팩토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5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태엽 팩토리, 일어판 명칭=ゼンマイマニュファクチャ, 영어판 명칭=Wind-Up Factory, 효과1="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자신의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태엽 전용 서치 카드. 복수의 카드가 있어도 체인돼서 발동되므로 여러 장 깔아두면 패가 쑥쑥 늘어난다. 다만 지속 마법답게 데미지 스텝엔 효과가 발동 안 되니 주의. 덕분에 저글러나 허니는 효과를 써도 패 추가가 안 된다. 또한 레벨 4 이하로 제한이 잡혀있지만 [[디포머|어차피 태엽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없으니 사실상 제한 조건은 없다고 봐도 된다]]. [[검은 선풍]]과 비슷한 카드이나, 차이점이라면 어차피 1턴에 1번인데 그냥 바로 아무거나 일소하면 되는 검은 선풍과 달리, 이 카드는 약간 더 까다로워서 바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가 있고, 또 BF는 패에서 특소하거나 버려서 쓸 수 있는 카드가 수두룩한데 비해, 태엽엔 그런 게 태엽 샤크 정도뿐이었단 것. 이것이 비슷한 카드임에도 검은 선풍과 이 카드와의 인지도를 갈라놓았다. 효과의 뜻은 태엽을 돌려서 다른 태엽을 만드는 걸로 보인다. 원래 일어판 명칭은 "태엽 매뉴팩쳐(Manufacture)"로 이것도 태엽 제조란 뜻. 한국에선 영어판의 이름을 그대로 따라가서 태엽 팩토리가 됐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5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5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5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Turbo Pack: Booster Eight || TU08-EN016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마법 카드 === ==== 너무 감긴 발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너무 감긴 발조, 일어판 명칭=()きすぎた発条(ぜんまい), 영어판 명칭=Zenmailfunction, 효과1=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릴리스할 수 없으며\, 싱크로 소재로 할 수도 없다.)] 태엽 전용 소생 카드. 릴리스도 못하고 싱크로 소재로도 못 쓰지만 엑시즈는 되기에 특별히 문제가 될 건 없는 디메리트다. 또한 무효화되긴 하지만 효과의 발동만은 가능하기에, 매지션이나 팩토리의 효과를 쓸 수 있다. 영어판의 이름은 오작동이란 뜻의 Malfunction에 태엽을 뜻하는 일본어 발음 Zenmai를 합쳐 놓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5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5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5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흔들리는 발조천칭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93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흔들리는 발조천칭, 일어판 명칭=()れる発条秤(ぜんまいばかり), 영어판 명칭=Weights & Zenmaisures,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레벨이 다른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2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그 중에 1장을 상대가 고르고\, 나머지 1장의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상대가 고른 몬스터와 같아진다. 상대가 레벨이 낮은 몬스터를 고른 경우\, 그 후 자신은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9929|(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레벨 변환 카드. [[엑시즈 소환]]에 최적화된 효과이다. 2장이 나와 있어야 하지만 태엽은 전개력이 좋은 편이라 크게 문제가 안 된다. 상대를 정신적으로 압박시킬 수 있다. 태엽 덱 특성상 효과를 써야 전개가 되기에 효과를 다 쓰고 나서 레벨이 다른 두 태엽 친구를 남겨놓고 쓰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5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5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55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오버 렌치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53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오버 렌치 발조천칭, 일어판 명칭=オーバー・レンチ, 영어판 명칭=Overwind,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배가 되어\,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패로 되돌아간다. "오버 렌치"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태엽 전용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배가 되는 건 원래 공격력이 아닌 그냥 공격력이기에 효과를 쓴 태엽 솔저로 쓰면 공격력이 4400이 돼 어지간한 몬스터는 그냥 때려잡을 수 있게 되며, 효과를 안 쓴 태엽마이스터에 쓰면 공격력이 5000이 된다. 그 외에도 엔드 페이즈에 패로 되돌아오기에 효과를 쓴 태엽에게 사용해 패로 회수해서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버 렌치" 자체는 1턴에 1장만 발동할 수 있기에 중복 사용으로 공격력을 4배, 8배로 못 올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6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6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6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발조의 되감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발조의 되감기, 일어판 명칭=発条(ぜんまい)()(もど)し, 영어판 명칭=Zenmairch,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레벨 4 이하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패로 되돌리고\, 되돌린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태엽 전용 [[캐틀 뮤틸레이션]]. 효과를 사용한 태엽을 패로 올려 다시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재활용을 꾀할 수 있다. 단 레벨을 올리는 효과를 사용한 태엽들은 레벨이 5가 되기에 그 턴 연속 공격 형태로 쓸 순 없다. 어차피 아직 레벨 5 태엽도 없지만.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7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7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7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나선식 발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9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나선식 발조, 일어판 명칭=螺旋式(らせんしき)発条(ぜんまい), 영어판 명칭=Zenmailstrom, 효과1=자신 필드 위의 공격력 1500 이상의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패에서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와 같은 공격력을 가진 "태엽"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패에 태엽 친구가 있다면 릴리스 이스케이프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아무래도 같은 공격력을 가진 카드들을 요구하다 보니 자연스레 덱의 자유도가 제약이 된다. 채용하려면 신중하게 쓸 필요가 있다. 일단 성공해서 패의 매지션이나 래트를 특수 소환해서 서로 다른 종류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뒤에 자신의 메인 페이즈까지 지켜낸다면 필드를 꽉 채울 수도 있는 전개력을 보여줄 수 있다. 이 효과로 소환하기 가장 쉬운 몬스터는 태엽 솔저인데, 공격력이 1800이라 자기 자신과 태엽 나이트 이외에도 효과를 사용한 태엽 도그와 태엽 워리어로도 소환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솔저 자신에게도 효과가 있어 태엽오의 소환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발조기뢰 태엽마인이 나와있는데, 발조장공 태엽오의 합체 장면으로 보인다. 덤으로 이 카드의 카드명에 들어간 '나선'과, 드릴이 잔뜩 있는 합체 장면이라는 점에서, 아무래도 [[천원돌파 그렌라간|이쪽]]인 것 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7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7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7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발조의 감아올리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4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발조의 감아올리기, 일어판 명칭=発条(ぜんまい)()き(), 영어판 명칭=Zenmaiday, 효과외1=이 카드의 ①②의 효과는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의 "태엽"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대상의 몬스터 아래에 겹쳐서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태엽"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높은 "태엽" 엑시즈 몬스터 1장을\, 그 위에 겹치고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오랜만의 태엽의 신 카드. 자신의 기계족의 엑시즈 소재를 보충하는 소소한 효과와,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태엽 엑시즈를 랭크 1 높은 태엽 엑시즈로 랭크 업 시키는 소소한 효과를 지녔다. 성능은 간만에 서포트가 등장한다는 태엽 유저들을 한순간에 좌절시킬 정도로 형편없다. 태엽 덱의 의의가 샤크와 매지션으로부터 랭크 3~5의 엑시즈 몬스터를 폭발적으로 뽑아냈다는 점임을 생각해보면 효과가 따로 논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2개의 효과 모두 어떤 어드밴티지도 없다. 소재 보충도 결국 자기 패나 필드의 몬스터를 써서 하는 것이고, 랭크 업도 결국 자기 몬스터로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태엽이 다른 카드의 도움으로 랭크 올리지 않으면 자기 카드군 내의 엑시즈 몬스터를 뽑기 어려워하는 카드군도 아니고, 애당초 태엽오나 태엽마이스터는 성능 자체도 잉여스러워서 거의 안 쓰이는 카드다. 효과는 둘째치더라도 [[여휘사 벨즈뷰트]] 이후 유저들이 그토록 바라던 "동일 체인에서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에 조금 근접한 텍스트가 등장했다는 것과, [[RUM-퀵 카오스]] 이후 사라진 줄만 알았던 "엑시즈 소환 취급으로 특수 소환한다" 텍스트가 부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카드. 아마 퀵 카오스의 텍스트는 코나미의 실수가 아니었을까. 영문판의 이름은 발조(Zenmai)와 [[메이데이]](Mayday)의 합성어.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 SECE-KR07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THE SECRET OF EVOLUTION]] || SECE-JP07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rets of Eternity]] || SECE-EN07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엽 래빗,version=21, title2=태엽 헌터,version2=31, title3=발조공모 태엽마이티,version3=130, title4=발조기뢰 태엽마인,version4=50, title5=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version5=21, title6=발조장공 태엽오, version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