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HeavyStorm-DM4-JP-VG.png]] ||<#A0F818> {{{#000 한글판 명칭}}} ||'''태풍''' (비공식 번역명)|| ||<#A0F818> {{{#000 일어판 명칭}}} ||'''[ruby(大嵐, ruby=おおあらし)]'''|| ||<#A0F818> {{{#000 영어판 명칭}}} ||'''Heavy Storm'''|| ||<-2><#A0F818> {{{#000 마법}}} || ||<-2>적과 아군이 소환한 모든 몬스터와 함정을 파괴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2>필드에 있는 카드를 전부 날려버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마법으로, [[블랙홀(유희왕)|블랙홀]]보다도 더욱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그럼에도 덱 코스트는 블랙홀보다도 낮다. 인게임에서 이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건 제거 카드가 빈약한 유우기 덱뿐이며, 이 카드 발동 후 몬스터를 필드에 꺼내고 [[죽은 자의 소생]]을 발동해 총공격하는 전술이 유우기 덱의 필승 패턴 중 하나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도 코스트는 낮지만 여기서는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코스트가 상승한 것은 물론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大嵐(DR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태풍, 일어판명칭=大嵐(おおあらし), 영어판명칭=Heavy Storm, 효과1=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필드의 마법 / 함정을 전체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블랙홀(유희왕)|블랙홀]]의 마법 / 함정 버전으로, OCG의 수많은 마법 / 함정 파괴 카드 중에서도 [[번개(유희왕)|번개]], [[해피의 깃털]], [[블랙홀(유희왕)|블랙홀]]과 함께 최상위권에 들어갈 수 있는 강력한 카드로서, 한때 어느 덱에나 다 들어갔던 필수 카드였다. 유희왕에서의 마법 / 함정의 비율은 몬스터의 비율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얼마만큼 마법 / 함정을 파괴하느냐도 관건이라 할 수 있는데, 묘지로 가도 재활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은 몬스터 카드와는 달리 마법, 함정 카드는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한번 묘지로 가면 거의 활용이 불가능한 관계로 어떻게 보면 몬스터 제거 카드보다도 강력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카드의 존재로 인해 한때 함정 카드의 채용률이 급감하기도 했다.[* 함정 위주로 돌아가는 [[신염황제 우리아]]덱 등에서는 무조건 일단 세트가 우선인 함정의 특성상 카드를 세트하고 시작하는데, 이때 태풍을 쓰면 주요 키 카드들이 다 날아가게 된다.] 이 때문에 마법 / 함정을 '''전부''' 파괴하는 이 카드는 덱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필수'''카드. 다만 필드의 모든 마법 / 함정을 파괴하므로 자신이 세트한 마법 / 함정들도 파괴되기 때문에 어느 타이밍에 써야 하는지 잘 생각하고 써야 하는 카드 중 하나다. 상위 호환으로 '''[[해피의 깃털]]'''이 있는데 이건 상대의 마법 / 함정만 박살 내는지라 태풍보다도 악랄하다.[* 해깃이 강화판이라기보다는 이쪽이 '''약화판'''이었다. 해피의 깃털은 유희왕 극초기부터 있었던 거의 최초의 마법 / 함정 파괴 카드이기 때문. 최초이자 최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죽은 자의 소생]], [[마음의 변화]]처럼. 그리고 태풍이 더 나중에 나왔다.] 나름 자신 필드의 마함을 파괴시켜 이득을 보는 용도로 쓸 수 있다는 차별성은 있지만 그건 극히 예외 사례이며 태풍을 하위 호환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할 수 있다. [[방어막(유희왕)|방어막]]처럼 공격 선언에 반응하는 약화판 함정으로는 [[사신의 대재해]]가 있다. ==== 영향력 ====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00년 11월|2000년 11월]]에 준제한되고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02년 5월|2002년 5월]]에 제한으로 격상된 후로 굉장히 오랫동안 제한 카드의 위치에 올라있었으나 2010/9/1일자 금지 제한 리스트에서는 그 기나긴 제한 인생에서 자신의 형제와도 같은 [[블랙홀(유희왕)|블랙홀]]과 자리를 바꾸고 '''금지 카드가 되었다.''' 대신 [[싸이크론]]이 준제한으로 내려왔지만 태풍의 빈자리를 채우기에는 역부족. 이 카드가 금지가 된 후 듀얼 환경에는 그야말로 태풍이 몰아친 것 같은 변화가 찾아왔다. 그 전까지만 해도 항상 태풍을 경계하고 마법 & 함정 존에 카드를 조심스럽게 세트했지만 이제 태풍이 없으니 마법 & 함정 존을 마음 편히 사용하게 된 것. 아예 패의 마법 / 함정을 전부 마법 & 함정 존에 떡칠하는 경우까지 생겼다. 이에 따라 효과는 강력하지만 태풍 한 방에 써보지도 못하고 다 날아갈 수도 있다는 단점을 안고 있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함정 카드'''를 다수 사용하는 것이 대세]]가 되고 마법은 못 막지만 함정은 전문적으로 막는 [[도적의 7가지 도구]]의 몸값이 상승하는 현상까지 벌어졌다. 또 이 카드가 금지가 되면서 [[사신의 대재해]] 같은 다른 마법 / 함정 파괴 카드가 재발굴되기도 하고 필드에 꽉 찬 마법 / 함정을 처리하기 위해 아예 필드 클린을 하는 극단적인 장면도 늘었다. 카드 1장의 유무가 이렇게까지 환경을 변화시키는 경우도 드물다. 태풍이 금지가 되고는 유사 효과의 허리케인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이전에도 마함 견제가 중요한 덱에서는 2장 째의 태풍으로써 가끔 쓰기도 했다. 하지만 [[스타더스트 드래곤]]등 파괴 내성 효과 카드들이 늘어나면서 지금은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이 더 사기가 되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환경이 변할 대로 변한 2011/9/1일자 금제에서는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과 자리를 맞바꾸고 다시 제한으로 내려왔고 이후 추가된 [[엑시즈 소환]]은 아무래도 필드에 몬스터를 마구마구 꺼내서 전개하는 컨셉인지라 상대의 소환을 막고 자기는 쎈 놈 한두 마리로 때리는 메타 덱을 상대하기 매우 버겁다. 그 쎈 놈 하나를 뚫으려면 엑시즈 소환을 해야 하는데 그걸 막아버리니. 싱크로 시절에는 묘지 활용이 간단해서 약간의 준비만 해둬도 [[정크 싱크론]], [[데브리 드래곤]], [[그로우업 벌브]] 등의 범용 튜너들을 활용하면 패 1장으로 강력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기도 했지만 엑시즈 소환 환경은 또 그렇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태풍을 제한으로 완화했다 볼 수 있다. 또 허리케인이 있으면 메타 덱도 상대 마법 / 함정을 올려버린 후 자신이 먼저 마법 / 함정을 세트하여 견제가 상당히 쉬워진다. 또 필드에 남아있는 [[데먼즈 체인]], [[빛의 봉인검]] 같은 카드를 재활용하기도 하는 등 악용의 여지가 많은 카드기에 더욱 그렇다. 이 카드가 금지 먹은 동안 좀 묻혀있었던 '''[[스타라이트 로드]]'''의 가치가 급상승했으며 또 역으로 상대가 마함을 너무 많이 세트했을 경우 이번엔 저 스타라이트 로드가 무서워서 태풍을 함부로 지르질 못하는 상황이 자주 나온다. 서로 태풍을 잡고 있어도 꽤나 꼴이 볼만하다. 서로 마법 / 함정을 1장씩만 세트하는 잔머리를 굴리기 때문. 심한 경우 태풍을 세트해서 상대의 세트를 강요한 다음 '''리버스 카드 오픈! 태풍 발동!'''으로 2:1 교환으로 [[어드밴티지]]를 얻는 것도 자주 보인다. 파괴력이 매우 강력한지라 여러모로 듀얼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카드라 할 수 있겠다. 그래서인지 결국 메타에 대해 자비 없던 TCG에서는 금지. 사실 [[신의 심판]]을 세트한 채로 발동하면 상대가 이 카드에 체인을 할 수 없는 게 문제였다. 해도 신의 심판으로 무효화하면 끝이니까. 물론 OCG에서는 이 콤보를 매우 요긴하게 쓴다. 덕분에 [[왕궁의 포고령]]의 숨통이 트였고, 일부러 태풍을 발동해서 엑스트라 덱에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콤보(태풍 + 스타라이트 로드)도 묻혔다. 그리고 이 카드의 새로운 천적이 등장했으니, 다름 아닌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 상대가 대량으로 카드를 세트했길래 태풍을 날렸더니 세트된 카드들이 죄다 몬스터인 걸로도 모자라, 그렇게 파괴된 몬스터들이 바로 묘지에서 우르르 특수 소환되어 사실상 태풍을 허사로 만들어버리며, 더 골 때리게도 그렇게 소환된 몬스터들의 효과가 발동되면서 내 카드가 파괴되거나 상대가 카드를 우르르 드로우하는 미친 상황이 벌어져 '''그야말로 망했어요'''가 된다. 때문에 이젠 태풍도 더더욱 함부로 못 날리는 상황이 되었다. 그래도 9기 환경에서는 결국 이 카드가 아티팩트 카드군의 방해도 무릅쓰고 사실상 유일무이한 필수 카드로 거듭나게 되었다. 기존의 필수 카드 양두 산맥 중 하나였던 [[죽은 자의 소생]]이 급속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수 카드에서 탈락하고, 카운터 카드의 발매로 태풍의 채용률을 어떻게든 떨어뜨리려는 코나미의 시도도 결국 무위로 돌아갔다. 태풍의 가장 중요한 존재 의의였던 "선턴 전부 함정 세트 견제" 라는 역할이 선턴 드로우 폐지로 어느 정도 희석되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점.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15년 1월|2015년 1월]]에는 태풍이 금지되었는데 황당하게도 '''[[해피의 깃털]]'''이 제한으로 내려와서 수많은 사람들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었다. '''보다 강한 상위호환 카드를 금지하는게 당연한 세계에서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던 것'''. 이후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이 카드는 여전히 금지고 깃털은 제한인 상황인지라 수많은 갑론을박이 벌어졌는데, 당시 코나미의 의도는 해피 카드군의 지원 겸 펜듈럼 소환을 밀어주기 위해 해피의 깃털을 풀어준 것이었다는 추측이 다수다. 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 역시 태풍의 파괴 범위에 포함되기에, 자신의 펜듈럼 소환도 방해하게 되는 태풍은 궁합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펜듈럼 테마들이 자괴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게 되었지만, 대체로 자괴를 코스트 삼아 아드를 창출하는 카드를 사용하는 거지, 무턱대고 파괴한다고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기도 하고. 이렇듯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태풍과 해깃이 금지, 태풍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허리케인과 해깃이 금지, [[해피의 깃털]]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태풍과 허리케인이 금지되는 등, 마함 전체 제거기는 '''환경 내에 오직 1장만''' 존재하는 것이 원칙처럼 지켜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건부라지만 해피의 깃털과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는 [[라이트닝 스톰]]이 준제한으로 존재하여 이 원칙도 퇴색되어 가는 기미가 보였고, 매 턴마다 4장 세트로 견제력을 이어가는 [[R-ACE]]의 맹진, 샘 제한이라는 금제를 받았음에도 지속 함정을 다용하면서 상대를 말려죽이는 [[루닉]]의 건재 등으로 인해 한동안 사이드에 해깃과 라스톰으로도 모자라 [[국소적 허리케인]]까지 들어가는 상황이 이어지자 견제의 필요성을 코나미도 느낀 것인지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4년 1월|2024년 1월 금제]]에서 제한으로 풀려났다. 참고로 현재에는 [[증식의 G]]가 TCG 금제와 OCG 금제를 가른다면, 10기 이전에는 태풍의 존재가 [[넘사벽]]을 쌓게 되는 결정적인 분기점이었다. [[리미트 레귤레이션/TCG/2013년 9월|2013년 9월]]의 첫 독자금제에서 태풍을 금지하면서도 허리케인 같은 대체 카드는 풀지 않았으며 해피의 깃털 또한 훨씬 늦은 2020년 9월에야 풀리게 되었다. 즉 TCG 환경에서는 상대의 세트 카드를 단숨에 쓸어버릴 [[죽창]]이 사라지면서, 상대의 세트를 견제하기 위해선 몬스터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 한두 개씩 순차적으로 깨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게임 진행 자체가 OCG보다 훨씬 길어지게 되었다. 또한 이로 인해 각종 메타계 마법 / 함정과 몬스터 제거 함정들마저 금제를 당하게 되었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ADX에서는 'おおあらし'라는 특수 커맨드로서도 등장. OCG 효과와 동일하며, 적용 중 특수 커맨드를 전부 파괴한다. 참고로 싱크로 몬스터를 엑스트라 몬스터로 소환했을 시기의 추가 커맨드는 전부 이 '태풍'으로 통일되어 있다. 일러스트에서 날아가는 젖소는 이후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거대한 괴조|거대한 괴조]]에 의해 채여 가는 듯 보인다.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원작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OCG 판 사양을 따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카이바 노아]]가 걸어놓은 미궁의 마지막 퍼즐 듀얼 관문에서 세트된 리버스 카드 5장을 한꺼번에 치우는 데에 사용되었다. 이후 [[카이바 세토]]가 [[다이몬 코고로]]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다시 등장했으나, 코고로가 발동한 [[왕궁의 칙명]]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그 후에는 [[빅5(유희왕)|빅5]]vs[[어둠의 유우기]]&[[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오오타 소이치로]]가 사용하여 유우기가 세트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파괴하기도 했다. 이런 잔꾀로 어른을 속이려 드냐며 코웃음 쳤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데스 볼스트걸프]]의 공격력이 상승하여 오오타 본인이 이중으로 깔아놓은 덫에 걸려드는 결과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크로노스 데 메디치]]가 사용. 작중에서는 1화에서부터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했으며, [[황금의 사신상]] 2장을 세트한 뒤 태풍으로 파괴해서 토큰을 2장 특수 소환하고 그걸로 [[앤틱 기어 골렘]]을 소환하는 전술을 선보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도 [[카뮬라]]와의 듀얼 중 사용하여 매 턴 전체 제거 능력을 가진 [[카뮬라#불사의 왕국-헬바니아|불사의 왕국-헬바니아]]를 파괴하는 활약을 해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일상생활 편|일상생활 편]]에서는 [[미셸(유희왕)|미셸]]이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듀얼 중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숲을 헤매던 [[루카(유희왕)|루카]]를 [[리얼리스트|습격해 오는 촉수를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유희왕 ARC-V]] 애니메이션 20화에서는 [[큐안도 에이타]]가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 중 낸 퀴즈를 통해 등장한다. 여기서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이 일러스트에서 날아가는 사람은 '''2명이 아닌 3명'''이다. 젖소의 아래쪽을 아주 자세히 보면 아주 쬐그맣게 그려진 사람의 그림자가 하나 더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3-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부스터(유희왕)|Booster 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1-0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E-81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A-17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E-26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071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8-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4-004 | 2004/08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JP016 | [[드래곤의 힘|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ドラゴンの力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JP019 | [[언데드의 위협|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アンデットの脅威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084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01-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JP021 | [[작열하는 대지|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灼熱の大地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JP019 | [[해룡신의 분노|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竜神の怒り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6-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5-JP023 | [[전사의 전설|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戦士の伝説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9-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6-JP023 | [[마법사의 심판|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魔法使いの裁き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8-JP022 | [[열풍의 패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烈風の覇者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JP027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6-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09-JP025 | [[고대룡의 분노|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恐竜の鼓動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0-JP026 | [[기계의 반란|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械の叛乱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2-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1-JP023 | [[섬광의 파동|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閃光の波動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3-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2-JP022 | [[암흑의 주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暗闇の呪縛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2-JP026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1-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1-JP014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068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2-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DB1-JP014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3-12-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6-JP028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光竜襲雷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C18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剣聖-ネイキッド・ギア・フリード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B17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青眼の白龍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D18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仮面魔獣デス・ガーディウ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C15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サクリファイ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B16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伝説の都 アトランティ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142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1-EN016 | [[드래곤의 힘|STRUCTURE DECK DRAGON'S ROA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2-EN019 | [[언데드의 위협|STRUCTURE DECK ZOMBIE MAD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5-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3-EN021 | [[작열하는 대지|STRUCTURE DECK BLAZE OF DESTRU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5-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4-EN019 | [[해룡신의 분노|STRUCTURE DECK FURY FROM THE DEEP]]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084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10-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5-EN023 | [[전사의 전설|STRUCTURE DECK WARRIOR'S TRIUMPH]]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L2-EN004 | HOBBY LEAGU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Hobby_League_Version] || ||<(> 2006-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6-EN023 | [[마법사의 심판|STRUCTURE DECK SPELLCASTER'S JUDGME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EN027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8-EN022 | [[열풍의 패왕|STRUCTURE DECK LORD OF THE STOR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09-EN025 | [[고대룡의 분노|STRUCTURE DECK DINOSAUR'S RA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10-EN026 | [[기계의 반란|STRUCTURE DECK MACHINE RE-VOL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7-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J-EN024 | [[스타터 덱|STARTER DECK JADEN YUK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7-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S-EN024 | [[스타터 덱|STARTER DECK SYRUS TRUESDAL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4-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D1-EN031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48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49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038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2-10-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061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3-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JW-EN284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EN142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142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12-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KR016 | [[드래곤의 힘|스트럭처 덱 - 드래곤의 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12-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KR019 | [[언데드의 위협|스트럭처 덱 - 언데드의 위협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KR021 | [[작열하는 대지|스트럭처 덱 - 작열하는 대지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KR019 | [[해룡신의 분노|스트럭처 덱 - 해룡신의 분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084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2-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5-KR023 | [[전사의 전설|스트럭처 덱 - 전사의 전설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6-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6-KR023 | [[마법사의 심판|스트럭처 덱 - 마법사의 심판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8-KR022 | [[열풍의 패왕|스트럭처 덱 - 열풍의 패왕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4-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0-KR026 | [[기계의 반란|스트럭처 덱 - 기계의 반란 - 스페셜 에디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4-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09-KR025 | [[고대룡의 분노|스트럭처 덱 - 고대룡의 분노 - 스페셜 에디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9-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1-KR046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09-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1-KR014 | [[골드 시리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4-03-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6-KR028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스트럭처 덱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7-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05-KR003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풍(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해피의 깃털]] === === [[블랙홀(유희왕)|블랙홀]] === === [[폭풍(유희왕)|폭풍]] === === [[모래 먼지의 태풍]] === ===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 === === [[거룡의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