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VER 스타리그 2009)] [include(틀: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include(틀: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include(틀: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2><:> '''{{{#white 태풍의 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Meodx.jpg|width=100%]]}}} || ||<-2><#FF2400><:> '''{{{#white 맵 정보}}}''' || ||<:> '''타입''' || 복합형 중앙 힘싸움맵 || ||<:> '''사이즈''' || 128 × 128 || ||<:> '''인원수''' || 4인용 || ||<:> '''타일셋''' || Jungle || ||<:> '''맵 제작자''' || 변종석 || ||<-2> '''{{{#white 이 맵이 사용된 공식 리그}}}''' || ||<-2> [[EVER 스타리그 2009]] [br]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br]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br][[신한금융투자 무 프로리그 시즌2]] || ||<-2> '''{{{#white 종족간 전적}}}''' || || '''[[테저전|테란 : 저그]]''' || 54:46 || || '''[[저프전|저그 : 프로토스]]''' || 43:30 || || '''[[테프전|프로토스 : 테란]]''' || 52:43 || || '''[[프프전]]''' || 12 || || '''[[테테전]]''' || 20 || || '''[[저저전]]''' || 14 || [목차] == 개요 == [[EVER 스타리그 2009]]에 [[엘 니뇨(스타크래프트)|엘 니뇨]]와 함께 등장한 신맵으로, 본진 9-앞마당 8미네랄, 총합 17미네랄이라는 풍족한 자원을 제공하는 복합형 중앙 힘싸움맵이다. 위에서도 서술했듯이 본진과 [[앞마당]]이 풍족한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이 장점이나, 그 다음 [[멀티#s-4.1]]를 먹기가 힘들다는 점이 단점이다. 즉, 힘싸움 구도를 가려면 '''타 스타팅을 먹어야 한다'''거나 '''센터 좌우에 있는 멀티를 안정적으로 돌려야 한다'''는 점이 여타 힘싸움맵과 차이점이다. 앞마당의 미네랄이 다른 곳보다 풍부하면서 [[삼룡이#s-2|삼룡이]]를 먹기는 어려우며, 기동력이 빠른 벌쳐로 상대방의 멀티를 견제하기 좋은 맵 구조로 인하여 [[테란]]이 매우 유리했던 전장 중 하나이다. 아울러서 프로토스 압살맵이기도 하다. 다만, 이 맵이 사용될 때는 [[이영호]]를 제외한 [[테란]]들이 [[온게임넷]]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고[* 그 당시 같이 쓰였던 맵이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엘 니뇨 →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스타크래프트)|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매치포인트#s-2|매치포인트]],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 랩소디]], [[비상-드림라이너]]로 하나같이 테프전에서 테란이 엄청나게 불리한 맵들이었다. 물론 이영호는 그딴 거 없고 다 씹어먹었지만...], [[프로토스]]들은 [[진영화]]가 결승까지, [[박세정]], [[김구현]], [[윤용태]], [[송병구]] 등이 4강까지 올라가며 선전했기에 전적은 [[상성맵]]처럼 나오기는 한다. 구체적으로 테란에게 유리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3시와 9시의 가스멀티가 입구가 넓어서 토스는 벌쳐 난입에 대한 입구막기용 파일런을 보다 많이 설치해야 하고, 저그도 럴커 알로 입구를 막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넓다. * 6시와 12시도 입구가 두 곳이라서 마찬가지의 효과가 나온다. * 3시-9시와 6시-12시를 불문하고 모두 입구 언덕 밑에서 시즈모드 탱크의 사거리가 닿아서 올라갈 필요 없이 이영호가 유행시킨 스캔 + 탱크 3~4대 빼돌리기로 상대 해처리와 넥서스를 유유히 깰 수 있다. * 각 스타팅의 큰입구 위의 지역들(스타팅과 앞마당은 물론, 12시와 6시 멀티 및 그 곳으로 향하는 통로 포함)이 좁고, 또한 본진과 그 바깥의 경계가 평지형 벽이다. 그래서 공격하는 입장에서 상대에게 조이기를 하기에도 좋고, 벽 바깥에 탱크와 함께 건물을 띄워놓으면서 상대의 본진 건물을 타격할 수 있다. 방어하는 입장에서도 그 좁은 지역에 터렛과 서플을 많이 깔아놓으면 한방병력이 거의 전멸당해도 어찌어찌 막을 수 있다. 또한 본진 안쪽 벽에 탱크를 배치할 수도 있다. [[듀얼 토너먼트]], 하부 리그 등을 포함해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사상 가장 많은 경기가 펼쳐진 맵. 총 99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이 맵에서 가장 많은 경기를 치른 [[프로게이머]]는 [[이영호]]로, 총 12전 11승 1패를 기록했다. 이영호의 온게임넷 3연속 결승 진출과 [[골든 마우스#s-2]]의 1등 공신으로 불리는 맵이다. 이쯤 되면 영호의 눈이라고 해도 무방할 지경.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5시 스타팅 미네랄 채취를 수정한 1.1 버전으로 사용한다. == 대표적인 경기 == * [[김캐리의 절규]] 시즌 6편이 제작된 EVER 스타리그 2009 결승전 [[이영호]] vs. [[진영화]] 3세트가 이 맵에서 벌어졌다. 이 경기가 이영호가 이 맵에서 겪은 유일한 패배이다. [[https://youtu.be/yqDe0aVHZUs|경기 영상]]. * 센터 좌우의 멀티를 먹어야 힘싸움 구도로 갈수 있다는 특징 따위 무시하고 이영호는 [[미친저그]]를 구사하는 ~~[[문성진]]~~을 [[바이오닉 테란]] 블러드로 한 방에 쓸어버린 적이 있다. 경기는 EVER 스타리그 2009 16강전. [[http://www.youtube.com/watch?v=nRCPlDJjIiU|경기 영상]]. * [[이성은]] vs.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의 기념비적인 스타리그 2,000번째 경기이자, 희대의 개그 매치가 펼쳐진 맵이다. 김캐리의 '''스타리그 2천 번째는 몰라요''' 한 마디로 정리된 경기. 그 어떤 수식어를 갖다 붙여도 설명이 가능하다고들 하며, '앞으로 스타 팬들은 이 경기를 본 자와 안 본자로 나뉘어질 것이다.'라는 말까지 나오는 여러모로 비범한 경기다. 참고로, 자세히 보면 [[탐사정|프로브]]가 릴레이를 통해서 앞마당 넥서스에 미네랄을 공급해야 하는데 본진으로 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는 특수 에디터로 지형을 편집할 경우 인공지능이 간혹 바보가 되기 때문이다. 아마도 프로브가 제대로 일을 했더라면 승자가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이맵은 또한 11시 스타팅 입구지역에 [[블랙홀버그|유닛이 낑기는 버그]]가 있다. 김재훈의 드라군이 이성은 본진으로 러쉬가는 도중에 드라군 2기가 낑겨버리는 버그가 있었고 곧바로 골리앗 1기가 낑기자마자 이성은이 바로 죽여러비는 장면도 있었다. [[https://youtu.be/CJ3ZUDWnMZE|경기 영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풍의 눈, version=39)]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