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태풍이 지나가고'''}}} (2016)[br]''After the Storm, 海よりもまだ深く''}}} || ||<-2> [[파일:태풍이 지나가고.jpg|width=100%]] || || {{{#ffffff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 || {{{#ffffff '''각본'''}}} ||고레에다 히로카즈 || || {{{#ffffff '''제작'''}}} ||이시하라 타카시, 카와시로 카즈미, 요다 타츠미, 나카에 야스히토, 마츠시타 츠요시, 마츠자키 카오루, 요세 아키히코, 타구치 히지리 || || {{{#ffffff '''기획'''}}} || || || {{{#ffffff '''조감독'''}}} ||카네시게 아츠시 || || {{{#ffffff '''촬영'''}}} ||야마자키 유타카 || || {{{#ffffff '''조명'''}}} ||오노시타 에이지 || || {{{#ffffff '''편집'''}}} ||고레에다 히로카즈 || || {{{#ffffff '''음향'''}}} ||츠루마키 유타카 || || {{{#ffffff '''음악'''}}} ||하나레구미[* 주제곡 [[https://youtu.be/1xvATczF7uo|하나레구미(ハナレグミ) - 심호흡(深呼吸)]]] || || {{{#ffffff '''미술'''}}} ||미츠마츠 케이코 || || {{{#ffffff '''출연'''}}} ||[[아베 히로시]], [[마키 요코]], 요시자와 타이요, [[키키 키린]] 등 || || {{{#ffffff '''장르'''}}} ||[[드라마]] || || {{{#ffffff '''제작사'''}}} ||아오이 프로모션, [[반다이 남코 홀딩스|반다이 비쥬얼 컴퍼니]], [[후지 테레비]] || || {{{#fff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가가 커뮤니케이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티캐스트]]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티캐스트 || || {{{#ffffff '''제작 기간'''}}} || || || {{{#ffffff '''개봉일'''}}}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35]]]] [[2016년]] [[6월 18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16년]] [[6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6년]] [[7월 27일]] || || {{{#ffffff '''상영 시간'''}}} ||117분 || ||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5,300,000''' || || {{{#ffffff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93,468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국내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 {{{#ffffff '''홈페이지'''}}} ||[[http://gaga.ne.jp/umiyorim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16년 개봉작. 2016년 [[제69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청받았다. 원래 [[걸어도 걸어도]] 직후 제작하려 했던 영화였으나 '공기인형'이 흥행에 실패하는 바람에 미뤄졌다고 한다. 동시에 가족 영화는 이 영화 이후로는 당분간 찍지 않을 생각이라고 했다. 가족을 주제로 한 영화는 자신이 가진 현재의 역량으로는 이 작품 이상의 완성도를 내기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차후에 나이를 더 먹고 스스로의 감독적 역량이 늘었다고 생각할 때 다시 도전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후 실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 문제를 소재로 삼은 영화를 생각중이라고 했으나, 2018년에 개봉한 [[어느 가족]]으로 다시 가족 영화로 돌아왔다. [* 다만 어느 가족은 범죄 장르 요소도 섞여있어서 태풍이 지나가고하고는 다른 편.] 감독이 28세까지 살았던 [[키요세시]]가 배경이다. == 예고편 == ||
[youtube(LSTWEsO5b84)] || || {{{#ffffff '''▲ 일본 예고편'''}}} || ||
[youtube(m1OLj6-_KzA)] || || {{{#ffffff '''▲ 국내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1 지금 당신은 당신이 꿈꾸던 어른이 되었나요?'}}}''' 과거의 영광을 잊지 못한 채 유명 작가를 꿈꾸는 사설탐정 ‘료타’는 태풍이 휘몰아친 날, 헤어졌던 가족과 함께 예기치 못한 하룻밤을 보내게 되는데… 아직 철들지 않은 대기만성형 아빠 ‘료타’ 조금 더 나은 인생을 바라는 엄마 ‘쿄코’ 빠르게 세상을 배워가는 아들 ‘싱고’ 그리고 가족 모두와 행복하고 싶은 할머니 ‘요시코’ 어디서부터 꼬여버렸는지 알 수 없는 ‘료타’의 인생은 태풍이 지나가고 새로운 오늘을 맞이할 수 있을까? || == 등장인물 == ||
[[파일:821ad5bfb1757ec56388d80e8f7da9ed38064f34.jpg|width=100%]] || || {{{#ffffff '''시노다 료타''' ([[아베 히로시|{{{#ffffff 아베 히로시}}}]] 扮)}}} || 소설가이자 싱고의 아버지. 현재는 아내 쿄코와 이혼 했으며 현장 취재를 이유로 흥신소에서 일하고 있다. ||
[[파일:bc9e247e89694cacd45f7a224fa3dc9f5d853791.jpg|width=100%]] || || {{{#ffffff '''시라이시 쿄코''' ([[마키 요코|{{{#ffffff 마키 요코}}}]] 扮)}}} || 료타의 전처. 현재는 싱고를 부양 하면서 진지하게 재혼을 염두에 둔 상대와 만남을 가지고 있다. ||
[[파일:cb55ede01db8bc48f409e636c818ee7cf06ccf99.jpg|width=100%]] || || {{{#ffffff '''시라이시 싱고''' ({{{#ffffff 요시자와 타이요 }}} 扮)}}} || 료타와 쿄코의 외동아들. ||
[[파일:ae9d9f22626b1ca91e29a869dd7d368e53bd4029.jpg|width=100%]] || || {{{#ffffff '''시노다 요시코''' ([[키키 키린|{{{#ffffff 키키 키린}}}]] 扮)}}} || 료타와 치나츠의 어머니. 현재는 남편을 여의고 연금을받으며 유유자적 아파트에서 거주 중이다. ||
[[파일:82f65ff0ca2e3363ccbba2756576b56c16bb34d7.jpg|width=100%]] || || {{{#ffffff '''나카시마 치나츠''' ({{{#ffffff 코바야시 사토미}}} 扮)}}} || 료타의 누나. 현재는 결혼해 슬하에 두명의 딸을 두고있다. ||
[[파일:87c2f2713c2ea43f8f02a5206830331e8933dabc.jpg|width=100%]] || || {{{#ffffff '''흥신소 사장''' ([[릴리 프랭키|{{{#ffffff 릴리 프랭키}}}]] 扮)}}} || 전직 경찰. 현재는 료타가 일하고 있는 흥신소를 운영 중이다. ||
[[파일:7b4267f09e63cbb735c21b0c42dbbae5685543a7.jpg|width=100%]] || || {{{#ffffff '''마치다 켄토''' ([[이케마츠 소스케|{{{#ffffff 이케마츠 소스케}}}]] 扮)}}} || 흥신소 직원. ||
[[파일:890525464ea00d8f81c0c3707e27e1139f1a7e46.jpg|width=100%]] || || {{{#ffffff '''니이다 미츠루''' ({{{#ffffff 하시즈메 이사오}}} 扮)}}} || 요시코가 다니고 있는 클래식 모임의 주최자. * '''마나미''' ([[나카무라 유리(배우)|나카무라 유리]]) 흥신소 직원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fter-the-storm-2016, critic=84, user=8.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fter_the_storm_2016, tomato=96, popcorn=80)] [include(틀:평가/IMDb, code=tt5294966, user=7.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2Mo6N, user=3.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6548, expert=7.07, audience=8.66, user=8.61)] ||
★★★☆ '''걸어서 걸어서 어른의 삶으로''' -김현수- ★★★☆ '''보통의 존재, 보통의 매일, 그래서 살아간다''' -정지혜- ★★★☆ '''수채화를 그리다 가끔 팔레트를 씻듯, 인생도'''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체념으로 시작하는 가족의 이해''' -허남웅- ★★★ '''그렇게 삶은 계속된다''' -장영엽- ★★★☆ '''문득 찾은, 당신의 모습''' -이용철- ★★★☆ '''흐리고 때때로 소나기, 역려과객!''' -[[박평식]]- ★★★☆ '''꿈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삶이 실패한 건 아니에요'''[[http://magazine2.movie.daum.net/movie/34682|#]] -[[이동진]]- || == 여담 == [[이시다 아유미(1948)|이시다 아유미]]의 히트곡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의 가사에서 제목을 따온 전작 [[걸어도 걸어도]]와 마찬가지로 영화의 원제인 '바다보다 더 깊이' 역시 [[등려군]]의 노래 '이별의 예감'의 가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걸어도 걸어도]]와 마찬가지로 [[키키 키린]]이 노래를 듣는 장면이 영화 후반부에 나온다. [[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일본의 가족 영화]][[분류:2016년 영화]][[분류:고레에다 히로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