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제군사대회 종목)] ||<-3> '''{{{+2 {{{#CC0000 탱크 바이애슬론}}}}}}[br]{{{+1 {{{#3333CC Танковый биатлон[* 땅코븨이 비아뜰론]}}}}}}[br]{{{#CC0000 Tank Biathlon}}}''' || ||<-7> [[파일:탱크 바이애슬론 로고.png|width=300]] || || '''{{{#CC0000 설립일}}}''' ||<-2><(> [[2013년]] ,,([age(2013-01-01)]주년),, || ||<-1> '''{{{#CC0000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1> '''{{{#CC0000 개최지}}}''' ||<-2>[[러시아]] 쿠빙카 [[애국 공원]] 알라비노 사격장 || ||<-1> '''{{{#CC0000 웹사이트}}}''' ||<-2>[[https://tank-biathlon.com/|[[파일:탱크 바이애슬론 로고.pn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3년]]에 [[러시아 연방군]] [[전차병]]들의 기량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경쟁심리를 통해 기량을 향상시켜보고자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의 직접 지시로 기획한 전차 대회이다.[* 사실 따지자면 [[1963년]]부터 Canadian Army Trophy(CAT)라는 [[NATO]]권 사격대회가 열렸으나 [[1991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물론 이후 [[미국]]의 설리번컵, [[레오파르트2]] 운용국들의 레오벤 클럽 대회도 있으나 CAT 만큼의 명성은 없다. 한편 [[북한]]도 이를 흉내내어 '[[조선인민군]] 땅크병 경기대회 2016'라는 대회를 개최했다고 한다.] == 상세 == [[파일:external/battlebrotherhood.ru/zVVbwXaANLg.jpg]] 정확한 이름은 '전차 [[바이애슬론]] 챔피언십'이다. 모의탄에 관통 [[시뮬레이션]] 시스템까지 갖춘 훈련장에 놓고 전차전 [[훈련]]을 하되 거기서 최정예로 뽑힌 팀들이 다시 한곳에 모여서 리그전을 개최한다. 훈련에 같이 참가한 [[전차]]들 중에는 표준장비인 [[T-72|T-72B1]][* T-72A는 이미 구소련 말기를 지나서 사실상 도태되었다고 하나 소련붕괴후에 일어난 러시아-체첸전쟁에서 T-72A가 참전했다는 기록이있고 러시아-체첸전쟁에서 T-72A 사진이 찍힌게 있는걸보면 구소련 말기를 지나 도태되었다는 것은 거짓일것이다.]뿐만 아니라 '''[[T-34-76|T-34 1942년식]], [[T-34-85]], [[SU-100]]''' 같은 2차대전 전차도 번외경기로 참가했다. 기록 경기에 참가하는 T-72B를 알록달록하게 원색으로 칠하질 않나, 전차와 [[자주포]]를 모아서 [[발레]]를 하질 않나, 그야말로 [[월드 오브 탱크]]의 예능경기나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인 [[걸즈 앤 판처]]보다 한술 더 뜨는 상황이다. 경기용 전차의 기준은 [[T-72|T-72B1]]이나 그에 준한 성능의 전차여야 해서 중국이나 벨라루스처럼 [[96식 전차|96B식 전차]]를 가져오거나 자체 개량한 T-72를 가져오기도 한다. 중국이 [[99식 전차]]를 들고오지 않은 이유도 이러한 조건 때문에 그랬던 것. Tank biathlon이란 [[http://m.dcinside.com/view.php?id=arm&no=345943&page=|이름으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wargaming.rus.tankbiathlon|앱 게임으로도 나왔다.]] 이번에도 쇼이구 국방장관 지시이다. 2020년 경기는 게임 [[워 썬더]]와 콜라보하여, 게임 내에서 경기를 그대로 옮겨온 온라인 탱크 바이애슬론을 플레이해볼 수 있게 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u1e1F3Txc5M|영상]] 사용 가능한 장비는 T-80U, T-72B3, ZTZ-99. 당연한 소리지만, 코스타리카와 같은 군대가 없거나, 매우 작은 나라는 참가가 불가능하다. == 경기 진행 및 규정 == [[http://mil.ru/images/TB_Polozhenie_eng.pdf|탱크 바이애슬론 규정 영문판]] === 1~3일차, 단차전 === 개인전은 각 전차 1대마다의 승무원들의 기량을 가리기 위한 대회이다. 총 7.1km의 코스를 세 바퀴 도는 기록 경쟁이다. 모든 단차 승무원들은 출발 신호가 떨어진 후 60초 내에 출발하여야 한다. 출발선에는 동시에 네 대까지의 전차만 있을 수 있다. 경기장은 출발선, 종료선, 스피드 구간, 사격 구간 두 곳, 방해물 기동 구간(이는 궤도교각, 인공언덕, 대전차호, 지뢰지대 등을 포함한다) 등으로 구성된다. 1차 사격 구간은 기준선, 탄약상자, 사격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1800, 1700, 1600m 거리의 적 전차 모형에 주포 사격을 한다. 2차 사격 구간은 기준선, 탄약상자, 사격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00m 거리의 적 헬기 모형에 대공기총 사격을, 600m 거리의 [[RPG-7|대전차로켓사수]] 모형에 공축기관총 사격을 한다. 이 때 전차의 사통장치는 '''무조건''' 다 꺼야하는데, 안 그러면 승무원 기량을 겨룬다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모든 참가자들은 경기 시작 전 출발선에 모여야 하며, 출발 신호와 함께 출발한다.[* 이때 전차라는 특징상, 출발 신호는 무전으로도 한번 더 전해진다.] 참가 전차들은 방해물 코스를 통과한 뒤 각자에게 지정된 1차 사격 구간으로 이동한다. 기준선에서 멈추어 표준 탄약을 받아 사격장으로 이동한다. 표적은 사격장에 도달한 뒤 등장하며 전차 표적 확인 후 사격을 수행한다. 이것이 끝나면 한바퀴를 돌아 2차 사격 구간에 들어가고, 대공기총 탄약을 장탄한 후 사격장에 들어가 헬기 표적에 사격한다. 탄환은 20발 주어진다. 이후 한바퀴를 더 돌아 2차 사격 구간에서 공축기관총 탄약을 장탄한 후 사격장에 들어가 보병 표적에 사격한다.[* 각 사격에서 명중에 실패하면 패널티로 60초가 추가된다.] 탄환은 15발 주어진다. 각각의 사격이 끝나면 전차장은 진행위원에게 무전으로 사격 종료를 알린다. 명중 판정은 현장 심판들과 비디오 판독에 의해 정해지며, 헬기와 보병 표적은 별도의 명중 센서가 달려있다. == 역대 경기 == === [[2013 탱크 바이애슬론|2013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3 탱크 바이애슬론)] === 2014년 === [youtube(UMpzH-IXZ9w)] 거기에 1년간 진행후 2014년부터 '''[[미국]], [[독일]], [[이탈리아]] 군'''을 초청해서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http://extra1.egloos.com/3989239|보도]]에 따르면 그 숫자가 더 늘어 '''10여개국'''에 이르는데, 미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중국, 이탈리아, 그리고 영국과 독립국가연합의 수개국이 경쟁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들어 급격한 러시아와 서방간의 관계 냉각으로 이 드림매치는 성사되지 못했다. 대신 서방권 국가들끼리 2016년부터 [[스트롱 유럽 탱크 챌린지]]라는 이름의 대회가 열렸다. 국방TV에 방영 예고가 나왔다.([[http://www.youtube.com/watch?v=bbKNpNFbgkk|유튜브]]) 저번 2013 시즌과는 달리 조금 더 국제적인 대회가 될 것이라고 하며 영문판 규정 메뉴얼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280554&page=1|나왔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참가국은 [[러시아]],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앙골라]], [[인도]], [[베네주엘라]], [[몽골]], [[세르비아]], [[중국]], [[쿠웨이트]]이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러시아는 아예 이 대회를 위해 T-72B3을 [[우랄바곤자보드]]에 100대 가량 특별주문하는 위엄을 보여주었고, 이전에는 중국이 [[99식 전차]], 쿠웨이트는 [[M1 에이브람스|M1A2 에이브람스]]를 가져온다고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280563&page=1|알려졌지만]] 공식적인 발표에 의하면 쿠웨이트는 자국의 전차를 가져오지 않는 대신 러시아군의 T-72B를 빌려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중국은 99식이 아닌 [[96식 전차]]를 가져와 경기에 참가하게 되었다. 아르메니아가 2등 상품으로 [[http://m.dcinside.com/view.php?id=arm&no=304630&page=1&serVal=%EC%95%84%EB%A5%B4%EB%A9%94%EB%8B%88%EC%95%84&s_type=all&ser_pos=|T-90S 전차를 받았다고 한다.]] === 2015년 === [youtube(wMVu54MXW3M)] 2015년에는 스케일이 훨씬 더 커져서 '''국제 군사대회'''[* International Army Games]로 대회 명칭을 변경했다. 당연히 탱크 바이애슬론 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들도 추가되었다. * 탱크 바이애슬론: 2013년부터 계속 진행된다. * 수보로프 대공세전: 탱크 바이애슬론의 [[IFV]]버전. * 비행술의 정석: [[전투기]]나 [[공격기]] 등의 비행술을 겨루는 종목. * 공수부대 대회: 말 그대로 [[공수부대]]의 우열을 가린다. * 카스피 컵/카스피 더비: [[해군]] 종목. * 마스터 오브 아틸러리: [[포병]] 종목. * 마스터 오브 에어 디펜스: 방공 종목. * 최고의 정찰병: 말 그대로 정찰병 종목. * 오픈 워터: [[도하]]능력을 겨루는 [[공병]] 종목. * 세이프 루트: 장애물들을 장비들로 통과하는 공병 종목. * 안전 환경: 화학전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겨루는 종목. * 마스터 오브 오토모빌&탱크: 운전 능력을 겨루는 종목. 8월 1일부터 시작하며, 총 17개 국가가 참여하여 3주간 진행된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참가하진 않고, 북한군이 옵저버로써 참가한다. 탱크 바이애슬론의 경우 표준 장비는 T-72B3이나, 중국군은 예외로써 96식 전차를 가지고 참가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수보로프 대공새전의 기본 장비는 [[BMP-2]]이나, 중국군은 지난 대회의 망신을 설욕하려는 듯 자국산 장갑차들을 잔뜩 끌고 간다고 한다. 최종적으로 러시아가 1등, 중국이 2등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논란이 좀 있는 게 중간에 중국의 탄환을 교체하게 한다던지 등 여러 조치 때문에 정정당당하게 하지 않았다고 비판받고 있다. === 2019년 === 1부와 2부 리그격인 디비전 1, 디비전 2로 나뉘어서 진행된 첫 번째 대회이다. ==== 번외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2015년 9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서 [[http://www.rt.com/in-motion/316502-eastern-ukraine-tank-biathlon/|자체 탱크 바이애슬론이 개최]]되었으며, 이 와중 [[http://sputniknews.com/europe/20150924/1027479201/child-dies-in-donetsk-explosion.html|폭발 사고가 일어나 어린이가 사망]]하기도 하였다. 물론 도네츠크 자체가 친러 분리주의자에 의해 탄생한 [[미승인국]]이라 친러 국가 이외의 참가는 없을듯 하다. == 관련 문서 == * 관련 포스팅 : [[http://transural.egloos.com/266917|1]], [[http://transural.egloos.com/268363|2]], [[http://transural.egloos.com/268361|3]] * [[군사 관련 정보]] * [[스포츠 관련 정보]] [[분류:애국 공원]][[분류:전차]][[분류:국제군사대회]][[분류:모터스포츠]][[분류:바이애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