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테일즈 오브 시리즈)]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테일즈오브판타지아나리키리던전X로고.png|width=75%]]}}} || ||<-2> '''{{{+1 테일즈 오브 판타지아 나리키리 던전 X}}}'''[br]''テイルズ オブ ファンタジア なりきりダンジョンX[br]Tales of Phantasia: Narikiri Dungeon 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테일즈오브판타지아나리키리던전X.jpg|width=100%]]}}} || || '''제작''' ||남코 테일즈 스튜디오 || || '''유통''' ||[[반다이 남코 게임즈]][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NBPK]], [[인트라링스]] || || '''플랫폼'''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height=16]]]] || || '''장르''' ||진실과 마주보는 [[RPG]] || || '''발매''' ||2010년 8월 5일 || ||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 ||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B}}}]]''' || || '''관련 사이트'''||[[http://topndx.namco-ch.net/|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임보이 컬러|GBC]]로 발매되었던 [[테일즈 오브 판타지아 나리키리던전]]의 리메이크 작품. 2006년 PSP로 단독 발매된 [[테일즈 오브 판타지아]] 풀 보이스 에디션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크로스 에디션이 수록되었다. [[https://suyu.tistory.com/entry/테일즈-오브-판타지아-X-공략페이지|대사 번역]] == 오프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NENTLgsXCY)]}}} || ||<-2> '''OP - 유리의 꽃(ガラスの花)''' || || '''작사[br]작곡[br]노래''' ||오쿠 하나코 || == 등장인물 == === 오리지널 캐릭터 === [[디오]] [[멜]] [[에토스]] [[쿨루르(테일즈 오브 시리즈)|쿨루르]] [[론드리네 E. 에펜베르그]] [[알베르트]] === 시공 전사[* 어째 판타지아 출신 캐릭터들의 미래가 좋지 못하다. 살아있는 1명(아체) 빼고 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원작인 나리키리 던전에서는 '''전원이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 === [[클레스 알베인]] [[민트 아드네이드]] [[체스터 버클라이트]] [[클라스 F. 레스터]] [[아체 클라인]] [[후지바야시 스즈]] === 서브 캐릭터 === [[노른]] [[다오스]] ~~[[원더셰프]]~~ == 평가 == 기기의 한계로 턴제에 가까웠던 원작의 전투를 테일즈 시리즈다운 전투 시스템으로 바꾸었으나 그게 유일한 장점으로, 원작에서 가장 고평가받던 장점인 시나리오를 그야말로 처참하게 개악시켜놓았다. 수많은 캐붕, 원작 캐릭터들의 비참한 말로, 사족에다가 발암을 유발하는 오리지널 캐릭터 등 원작 능욕 수준이다. 그렇다고 전투 및 기타 시스템적인 완성도가 이를 만회할 수준도 아니었기에 원작 팬들에게 똥겜 취급받는건 물론이고 신규 유저들에게도 어필하지 못한 안 좋은 리메이크작의 전형. [[분류:테일즈 오브 시리즈]][[분류: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2010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