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병종)]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병종, top2=아뎁투스 메카니쿠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STechmarine.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_Harkus.png|width=100%]]}}}|| ||<-2><:>{{{+1 '''테크마린 / 프랙터 아스트로테크니쿠스[br]Techmarine / Frater Astrotechnicus'''}}}|| [목차] == 개요 ==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설정. [[스페이스 마린]]의 한 병종으로, 스페이스 마린이 사용하는 병기와 차량을 관리하는 기술직이다. == 상세[* 출처: Codex - Adeptus Astartes Space Marines "Techmarine"]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_Iconography.png|width=100%]]}}}|| ||<:>테크마린 심볼|| 스페이스 마린 챕터에서 사용하는 온갖 [[Warhammer 40,000/워기어|워기어]]들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병종. 광기와 미신 속에서, 기술 발전을 금기와 모독으로 여기며 발전이 정체된 40k 우주의 특성상, 기술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관리하는 이들의 존재는 매우 귀중하기 그지 없다. 그 특성상 화성의 [[아뎁투스 메카니쿠스|기계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스페이스 마린의 후보생 중 테크마린으로 선발된 인원들은 일종의 후반기 교육으로서, 화성으로 [[유학]]을 가 기계교에서 온갖 교육을 받는다. ||
<-2><#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MachinaOpus.png|width=100%]]}}}|| ||<-2><:>기계교의 상징인 '''오푸스 마키나'''(Opus Machina)||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_Templar_DW_Techmarine_Brother.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M_Techmarine.png|width=100%]]}}}|| ||<:>[[파워 웨폰]]의 일종인 '''옴니시안 엑스'''(Omnissian Axe)||<:>테크마린 특유의 붉은 파워 아머|| 황제교가 교리는 다를지언정 '황제의 가르침을 베푸는 자'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채플린(Warhammer 40,000)|채플린]]에게 유대의 상징으로서 로자리우스를 선물하는 것처럼, 기계교에서는 이들을 옴니시아의 가르침을 받고 따르는 자로 인정하고 유대감의 상징으로 '''옴니시아 엑스'''(Omnisia Axe)와 함께 '''오푸스 마키나'''(Opus Machina) 문양을 선물해준다. 오직 [[테크-프리스트]]만이 새겨넣을 수 있는 기계교의 상징으로, 이 문양을 받은 순간부터 테크 프리스트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으며 화성의 궤도시설이자 방어시설인 '강철의 고리'를 넘어 화성의 대공장에 방문할 수 있다. 테크마린 같은 특수병과들은 챕터가 아닌 병종 고유의 색깔로 [[파워 아머(Warhammer 40,000)|파워 아머]]를 도색하는데,[* [[채플린(Warhammer 40,000)|채플린]]은 검은색, [[아포세카리]]는 하얀색, [[라이브러리안(Warhammer 40,000)|라이브러리안]]은 파란색 등. 이는 각 챕터의 재량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으나, 어지간한 경우에는 헬멧이나 견갑 같은 조그마한 부분이라도 코덱스에 제시된 색상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 테크마린들은 화성의 가르침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붉은색을 사용한다. 교육을 끝내고 복귀한 이들은 챕터에 피의 맹세를 하고 정신을 [[황제(Warhammer 40,000)|옴니시아]]에게 바친다. 이렇게 이들은 스페이스 마린 챕터와 기계교에 한발씩 걸친 존재가 되며, 기계교와 사이가 좋지 않은 일부 챕터에서는 경원시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폴른 엔젤|특수한 사정]]이 있는 [[다크 엔젤(Warhammer 40,000)|다크 엔젤]] 챕터에서는 기계교에 사정이 노출될까봐 테크마린의 이너서클 가입을 금지한다.[* 예컨데 특수한 도주 수단 혹은 방어 수단을 사용하는 폴른을 체포하기 위해 데스윙이나 레이븐윙이 부득이하게 장비를 현지 개조한 경우, 테크마린은 기계교의 교리를 따라 이 기계교의 심사를 받지 않은 장비를 기계교에게 보내서 심사를 받게 한다. 하지만 자칫하면 조사 과정에서 기계교가 폴른의 존재를 눈치챌 수 있기 때문에 이너 서클로서는 테크마린을 불신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다크 엔젤은 자신들이 키워낸게 아닌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들 또한 불신했었다. ] 반대로 챕터에서 기계교를 대할때는 테크마린들이 앞장서는 경우도 존재하며, 기본적으로 수많은 워기어를 운용하는 챕터에서 테크마린은 존경의 대상이다. 특히 워기어 의존도가 높은 [[아이언 워리어]]와 [[아이언 핸드]]가 그러하다 40k에서는 당연하게도 기술직인 테크마린도 강력한 전사이다. 훈련에 할애하는 시간은 적지만, 챕터의 병기고를 담당하는만큼 강력하고 다양한 워기어를 운용하기 때문. 일반 대원들은 취급하지 못하는 장비들에 더해 여러 [[서비터]]나 터렛들을 대동하기도 한다. 전투중 차량이나 워기어가 고장났을때는 싸우면서 수리를 하기도 한다. 기술직이라고 한다면 전문적인 이미지도 있지만, [[머신 스피릿]](Machine Spirit)을 비롯한 온갖 미신적인 요소를 다루는 이미지도 있다. 테크마린도 사람은 사람인지라, 위급한 상황에서 기계가 먹통이면 '''[[샷건|한대 때려서]]''' 고치기도 한다.(...) --[[https://youtu.be/84jsqHpKO1k|#]]--[* 이때 상황이 진스틸러 컬트에 오염된 피난선에서 진스틸러들이 보딩을 시도하는 걸 테크마린과 드레드노트 단 둘이서 저지하고 있었는데 드레드노트가 중과부적으로 쓰러진 상황이었다. 존경하는 선조님이 위험하고 적은 계속 밀려오는데 기계는 말을 듣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었던 것.]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repairing.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_Techmarine.png|width=100%]]}}}|| ||<:>차량을 수리중인 [[아이언 핸드]]의 테크마린과 서비터||<:>일대를 조사 중인 테크마린|| 온갖 병기의 제작, 관리, 수리, 개량, 파일럿, 조사 등등. 안하는 일이 없는 만능 병종이기에 다른 특수병과들처럼 챕터의 배틀 브라더 인원제한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렇지않아도 소수인 이들의 인원까지 제한했다가는 챕터의 운용 자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 === 무기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mourySymbol.png|width=100%]]}}}|| ||<:>{{{+2 '''Armoury'''}}}|| 챕터의 장비들을 보관하는 [[무기고]](혹은 병기고). 주로 [[포트리스 모나스터리]] 내에 자리하며, 마스터 오브 더 포지(Master of the Forge)를 필두로 한 테크마린들이 관리한다. 따라서 테크마린들이 모인 부서를 지칭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각 챕터의 특수병과들은 이렇게 각자 모여있는 부서가 존재한다. [[라이브러리안(Warhammer 40,000)|라이브러리안]]의 '''라이브러리우스'''(Librarius; 도서관), [[아포세카리]]의 '''아포테카리온'''(Apothecarion; 의료소), [[채플린(Warhammer 40,000)|채플린]]의 '''리클루시암'''(Reclusiam; 예배당) 등. ] 40k 세계관은 한때 뛰어났던 기술이 쇠퇴했고, 발전도 정체된 세계관이다. 여기에 더해 광대했던 은하 영토에 온갖 문명과 기술이 흥망성쇠를 거듭한 상황. 따라서 고도의 장비들은 사실상의 유물 취급을 받으며 애지중지 여겨진다. 장비를 개발하거나 생산하는 것만큼, 장비를 노획하거나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질 정도. 그렇기에 온갖 병기들이 보관되는 챕터의 무기고는 보물창고나 다름없으며, 이를 관리하는 테크마린의 위상은 챕터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 마스터 오브 더 포지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_Tech_Marine-2.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steroftheforge.JPG.png|width=100%]]}}}|| ||<-2><:>{{{+2 '''Master of the Forge'''}}}|| 무기고를 총괄하는 챕터 내 최선임 테크마린. 고대 과학에 대한 그의 지식은 수세기 동안 정제되어 화성의 [[테크-프리스트]]들과 견줄만 하다. 병기고에 대한 그의 책임과 더불어 마스터 오브 더 포지는 챕터의 신성한 유물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는다. 만약 필요하다면 그는 잊힌 기술의 분노를 적들에게 퍼부을 것이다. 테크마린이 주로 사용하는 강력한 서보-암은 파괴된 차량을 수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전투 시엔 가공할 무기가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9550101229_ValthexAstralClawMasteroftheForge03.jpg|width=100%]]}}}|| ||<:>[[아스트랄 클로]] 챕터의 마스터 오브 더 포지,[br]'''아메네우스 발텍스'''|| 마스터 오브 더 포지는 여러 개의 서보-암과 더불어 적과 적의 갑옷을 통째로 잘라 버릴 수 있는 [[플라즈마 커터]]가 부착된 서보-하네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 테크마린 파일럿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ormWingFormation00.png|width=100%]]}}}|| ||<-2><:>{{{+1 '''Techmarine Pilot'''}}}||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9120101152_Stormtalon01.jpg|width=100%]]}}}||<|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hunderfireCannon3.jpg|width=100%]]}}}|| ||<:>스톰탈론 건쉽||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ames-workshop.com/99120101088_StormravenNEW_01.jpg|width=100%]]}}}|| ||<:>[[스톰레이븐 건쉽]]||<:>[[썬더파이어 캐논]]|| 챕터의 각종 워기어를 조종하는 조종사 역할. 기체의 조종방법 자체는 다른 배틀 브라더들도 스카웃 시절에 배우긴하지만, 이들은 [[데바스테이터 스쿼드|데바스테이터]], [[어썰트 스쿼드|어썰트]], [[택티컬 스쿼드|택티컬]] 등으로 전장에 직접 서야 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비상시를 위한 것이다. [[머신 스피릿]] 등의 이유로 기본적으로 기갑 장비의 운용은 테크마린의 역할. 챕터의 인원제한에 있어서 테크마린이 예외인 이유중 하나. 당연하지만 전투중 워기어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적들과 싸우며 기체를 수리해 귀환하는 것도 테크마린의 역할이다. ---- 이하 테크마린이 조종하는 기갑 장비 일람. * 육상장비 * 차량 * [[라이노(Warhammer 40,000)|라이노]] * [[프레데터(Warhammer 40,000)|프레데터]] * [[랜드 레이더]] * 터렛 * [[썬더파이어 캐논]] * 파이어스트라이크 캐논 * 비행장비 * [[썬더호크 건쉽]] * [[스톰레이븐 건쉽]] * 스톰탈론 건쉽 ==== [[서비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3.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9810101014_TechmarineServitorsB01.jpg|width=100%]]}}}|| ||<-2><:>[[울트라마린(Warhammer 40,000)|울트라마린]]의 테크마린과 [[서비터]] 분대|| '''Servitor''' 챕터에서 운용하는 [[사이보그]] 노예들. 각각의 개체들은 전두엽을 절제해 인격과 이성을 제거해 명령에만 복종하도록 만들고, 여기에 갖가지 기계 부품을 장착해 강화한 것들이다. 거대한 함선을 몇척이나 운용하는 챕터의 규모에 비해서 테크마린들은 소수이기에, 실제 작업에는 이러한 [[서비터]]를 다수 이용한다. 챕터의 규모에 따라 이들의 숫자는 천차만별이며, [[다크 엔젤(Warhammer 40,000)|다크 엔젤]] 챕터의 경우는 1200여대가 넘을 정도. 이 외에 챕터 시종 중에서도 이러한 작업을 전담하는 아티피서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들의 개량이나 유지보수 등도 테크마린의 역할. 테크마린이 전투에 투입될때는 전투용으로 개량한 서비터를 대동하기도 하며, 이 경우 서비터의 무장은 대부분 중화기를 사용한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비터)] ===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워기어|워기어]] === ==== 옴니시안 액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otaur_Tech-Marine_Deathwatch.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2.png|width=100%]]}}}|| ||<-2><:>다양한 패턴의 '''옴니시안 액스''' (Omnissian Axe)|| Omnissian Axe [[할버드]]의 형상을 한 [[파워 웨폰]]. 기계교에서 선물해주는 상징적인 무기. 크기나 형태는 각양각색이다. 형태가 할버드인 이유는 그 형상이 기계교의 상징과 비슷하기 때문. 파워 웨폰이지만, 단순히 전투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공구로도 쓰이기도 한다. ==== 아티피서 [[파워 아머(Warhammer 40,000)|아머]] ==== 아티피서 아머란 장인이 공들여 만든 특별한 [[파워 아머(Warhammer 40,000)|파워 아머]]를 말하는데, 테크마린은 본업이 기계장비를 다루는 것이라 자신들의 아머는 보통 자신이 공들여 만든 아티피서 아머이다. 기본적으로 테크마린들은 다양한 작업을 위해 헬멧이나 손, 백백 등에 여러 개량이 되어 있다. ==== 서보 하네스 ==== ||<|2>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_Arius.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3-07-18 15.48.49.png|width=100%]]}}}||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3.png|width=100%]]}}}|| ||<-2><:>다양한 패턴의 '''서보 하네스'''(Servo-Harness)와 '''서보 암'''(Servo-Arm)|| Servo-Harness 테크마린의 파워 아머 백팩에 탑재하는 장비 세트. 다양한 용도가 있으며 그만큼 부착되는 장비나 패턴도 다양하다. 테크마린들은 이 서보 하네스를 탑재하기 위해 백팩의 양 측면의 분사구를 포기하고 그 자리에 설치하는게 일반적이다. 그래도 중앙 분사구가 있어서 점프팩 기능 자체는 유지된다. 퍼스트본 테크마린들은 서보 하네스를 3~4개씩 장착하기도 했으며, 추가적인 화기까지 장착해 운용하는 등 뇌절에 뇌절을 거듭한 디자인이 많아 40k를 상징하는 디자인 중 하나로 대표되었다. 그에 비해 프라이머리스 테크마린은 서보 하네스의 숫자도 크게 줄었고 전체적으로 깔끔해진 편. * '''서보 암''' (Servo-Arm) : 서보 하네스 중에서 작업용 집게발을 서보 암이라고 부른다. 사실 구분해서 부를 일이 많지 않아 인식이 명확하지는 않다. 기본은 작업용이지만 당연히 전투용으로도 강력하며 다양한 패턴이 존재한다. ==== 포지 볼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kaanFeirros.jpg|width=1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maris_Techmarine_Forge_Bolter.png|width=100%]]}}}|| ||<-2><:>백팩 측면에 탑재된 '''포지 볼터''' (Forge Bolter)|| Forge Bolter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프라이머리스]] 테크마린이 사용하는 가동식 [[볼터]]. 백팩 측면 추진기에 탑재한다. 서보 하네스와 달리 추진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탑재가 가능. === 챕터별 특징 === ==== 아이언 프리스트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onfather_Harl_Greyweave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_Iron_Priest_Updated.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_Iron_Priest.png|width=100%]]}}}|| ||<-3><:>{{{+2 '''Iron Priest'''}}}|| [[스페이스 울프]]의 테크마린. 하는 역할은 일반 테크마린과 비슷하나 스페이스 울프 특유의 양식과 문화를 따르는 것이 차이점. ==== [[아이언 핸드#s-5.1|아이언 파더]]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ster_of_the_Forge_Xerill.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tur-nakhodkin-iron-father-verrox.pn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on-fathermain1.png|width=100%]]}}}|| ||<-3><:>[[아이언 핸드#s-5.1|{{{+2 '''Iron Father'''}}}]]|| [[아이언 핸드]]의 테크마린. 이쪽은 [[채플린(Warhammer 40,000)|채플린]]과 테크마린을 겸하는 확실한 차이가 있다. 기술을 중시하는 챕터 특성상 고위직은 아이언 파더인 경우가 많다. ---- * 자세한 내용은 [[아이언 핸드#s-5.1|아이언 핸드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 [[그레이 나이트/병종/테크마린|그레이 나이트]]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K_Techmarine.png|width=100%]]}}}|| ||<:>{{{+2 '''Grey Knight Techmarine'''}}}|| [[그레이 나이트]]의 테크마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레이 나이트/병종/테크마린)] ==== [[워프스미스]] ==== 반대편인 [[헤러틱 아스타르테스]] 진영의 테크마린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프스미스)] === 유명 인물 === * [[아이언 핸드]] - 아이언 파더 * '''[[카단 스트로노스]]''' * '''[[말칸 페이로스]]''' == 미니어처 게임 ==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ames-workshop.com/99800101065_TechmarineNEW01.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chmarine.jpg|width=100%]]}}}|| ||<:>퍼스트본 테크마린||<:>[[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프라이머리스]] 테크마린|| 8판까지는 단독 모델(레진제)과 서비터를 거느린 버전, 썬더파이어 캐논을 가지고 있는 버전, 그리고 스페이스 울프 전용 유닛인 아이언 프리스트가 있었다. 주석, 파인캐스트인 일반 테크마린은 GW 온라인 전용 제품이라 접근성이 영 좋지 않고 아이언 프리스트는 플라스틱이지만 스페이스 울프 색이 강해 다른 챕터의 테크마린으로 써먹으려면 손을 좀 봐야 했다. 프라이머리스 테크마린의 경우에는 리펄서, 리펄서 엑스큐셔너에 들어있는 상체만 있는 모델이나 아이언 핸드의 스페셜 캐릭터 [[말칸 페이로스]] 모델을 써서 컨버전하곤 했으나 9판에서는 테크마린 모델이 공개되었다. 구 마린 플라스틱 테크마린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프마린 테크마린이 먼저 플라스틱으로, 그것도 매장 판매 제품으로 나온 것. 또한 프마린판 [[썬더파이어 캐논]]이라고 할 수 있는 파이어스트라이크 포탑도 플라스틱으로 발매되었다. 10판에서는 차량 주변 3인치 이내에 있을 경우 12인치 바깥에서 사격 공격을 가할 수 없는 Lone Operative를 받는다. 매 턴마다 차량 하나를 선택하여 d3 운드를 수리하고 해당 차량의 명중 굴림에 +1을 주는 버프를 부여할 수 있다. 만약 테크마린의 12인치 이내에서 아군 차량이 파괴될 경우 분노하면서 옴니시안 액스의 공격 횟수가 4회에서 7회로 증가한다. == PC 게임 == [[Warhammer 40,000: Dawn of War]]에서는 다른 모든 스페이스 마린 병과가 나올 당시에 유일하게 등장과 언급이 전혀 없었다. 그러다가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에서 드디어 [[스페이스 마린]] 진영의 영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우선 캠페인에서는 [[마텔러스]]라는 테크마린이 등장하며 멀티에서도 테크 마린이 보조계 영웅으로 주어진다. Dawn of War 2에서의 테크마린은 우선 설정답게 기계 수리가 가능하며, 오토 터렛 설치, 배너러블 드레드노트 소환 등 다양한 소환 스킬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적들의 전차류를 고자로 만들어버리는 각종 보조 스킬들이 주어져 있다. 자체 전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근거리 무장들이 대부분인 아포세카리와는 달리 테크마린은 강화된 볼터와 플라즈마 건, 멜타건 같은 원거리 무기만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계공이라는 점에서 [[오크(Warhammer 40,000)|오크]]의 [[멕보이]]와 비슷한 포지션이지만, 멕보이는 빅 슈타나 다카건같이 각종 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등 훨씬 더 공격적인 영웅이다. 대신 테크마린은 지뢰를 매설하거나, 터렛을 설치하거나, 차량류를 바보로 만드는 EMP 수류탄을 던진다거나 하는 등 여러 특수 능력으로 상대를 철저히 압박하는 플레이를 구사하여야 한다. 워기어와 스킬들도 이렇게 보조하는 쪽으로 맞추어져 있으니 테크마린을 직접 전투에 내세우기보단 이렇게 보조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보조적인 성격이 강하다지만 전투를 못하는 건 아닌 게, 기본 볼터의 공격력은 택티컬마린 한 분대정도의 위력이지만 착용하는 워기어들이 전체적으로 공격적인 특수능력들을 갖고 있기에 사용하기에 따라 위협적인 전투능력을 갖게 된다. 특히 대상 적 분대의 받는 피해를 증가시키는 마크타겟과 플라즈마건에 딸린 공격속도를 증가시켜주는 과충전을 동시에 사용하면 적 보병 분대 하나를 말 그대로 지워버릴 수 있다. 다만 기계를 잘 상대할 거 같은 이미지에 반해 적 기갑에 대한 대응능력은 그리 썩 좋지는 못하다. 플라즈마건은 기갑에게 그리 좋은 데미지를 주지 못하며, 멜타건은 그 성능이 의문시되어 그리 잘 쓰이지는 않는다.[* 다만 약간의 꼼수가 있는데 플라즈마건을 든 상태로 멜타건으로 무기를 교체하며 교체가 완료되기 직전 과충전을 사용하면 멜타건을 들고 과충전의 공속증가 효과를 받아 엄청난 속도로 기갑에게 데미지를 준다. 여기에 마크타겟까지 사용하면 전차 하나정도 잡는 건 일도 아닐 정도. 다만 무장을 두 개나 구매해야 하며 쿨타임과 무기 교체등의 시간도 짧지 않으니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며 적이 기갑을 다수 운용한다면 제대로 된 대기갑 유닛을 마련하는 게 좋다.] 그나마 옴니시아의 오브로 기갑에게 스턴을 먹일 수 있다는 점이 아포세카리보다 나은 점. 테크마린은 어디까지나 기갑을 사용하는데 특화되었지 상대하는데 특화되지는 않았다는 점을 명심하자. == 기타 == === 관련 문서 === *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스페이스 마린) -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병종|병종]] *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 -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병종|병종]] * [[코덱스 아스타르테스]] * [[아뎁투스 메카니쿠스]] * [[머신 스피릿]] * [[테크-프리스트]] * [[헤러틱 아스타르테스]] * [[워프스미스]] *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워기어|워기어]] * [[파워 아머(Warhammer 40,000)|파워 아머]] === 외부 링크 === * 게임즈 워크샵 * [[https://www.games-workshop.com/en-FI/Space-Marine-Techmarine-with-Servitors|테크마린과 서비터 분대]] * [[https://www.games-workshop.com/en-WW/Primaris-Techmarine-2020|프라이머리스 테크마린]] * [[https://www.games-workshop.com/en-WW/Space-Wolves-Iron-Priest-2020|아이언 프리스트]] * 워해머 40k 팬덤 위키 *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Techmarine|테크마린]] *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Iron_Priest|아이언 프리스트]] *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Iron_Father|아이언 파더]] * 렉시카눔 * [[https://wh40k.lexicanum.com/wiki/Techmarine|테크마린]] * [[https://wh40k.lexicanum.com/wiki/Iron_Priest|아이언 프리스트]] * [[https://wh40k.lexicanum.com/wiki/Iron_Father|아이언 파더]] * [[https://wh40k.lexicanum.com/wiki/Armoury|아모리]] (무기고) * [[https://1d4chan.org/wiki/Techmarine|1d4chan]] [[분류:Warhammer 40,000/유닛]][[분류:Warhammer 40,000/아뎁투스 메카니쿠스]][[분류:Warhammer 40,000/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