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니시테츠 텐진오무타선의 역, rd1=니시테츠후쿠오카(텐진)역, other2=도부 이세사키선의 폐역, rd2=텐진역(폐역), other3=중국 톈진시에 있는 역, rd3=톈진역)] {{{+1 '''[ruby(天, ruby=てん)][ruby(神, ruby=じん)]駅[br]Tenjin Station'''}}} ||<-6><)>{{{#!wiki style="margin: -0px -5px" [[후쿠오카시 지하철|[[파일:fukuokaTB_Wlogo.svg|height=50&align=left]]]]}}}[[후쿠오카시 지하철|{{{#ffffff 후쿠오카시 지하철}}}]][br][[파일:FCS-K08.svg|width=35]]'''{{{#ffffff {{{+2 텐진역}}}}}}'''|| ||<:><-2>[[메이노하마역|{{{#000000,#ffffff {{{-2 메이노하마 방면}}}}}}]][br][[아카사카역(후쿠오카)|아카사카]][br]← 0.8 km||<-2><|2><:>[[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파일:FM-kuko.svg|height=20]][br]{{{#!html
공항선
(K08)
}}}]]||<:><-2>[[후쿠오카 공항역|{{{#000000,#ffffff {{{-2 후쿠오카 공항 방면}}}}}}]][br][[나카스카와바타역|나카스카와바타]][br]0.8 km →|| ||<-2><:>[[메이노하마역|{{{#!html
◀ JR 치쿠히선 직통}}}]]||<-2><:>[[나카스카와바타역|{{{#!html
하코자키선 직통 ▶}}}]]|| ||<-6><:>[[니시테츠후쿠오카(텐진)역|[[파일:NT-T.svg|height=17]] 니시테츠 텐진오무타선으로 갈아타기]]|| ||<-6><:>[include(틀:지도,장소=天神駅,너비=100%,높이=300px)]|| ||<-6><:>'''주소'''|| ||<-6><:>[[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후쿠오카)|주오구]] 텐진2초메[br]福岡県福岡市中央区天神二丁目|| ||<:><-6>'''역 운영기관'''|| ||<:><-2>[[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ffffff 공항선}}}]]||<:><-4>[[후쿠오카시 교통국|[[파일:FukuokaTB_logo.png|width=180]]]]|| ||<-6><:>'''개업일'''|| ||<-6><:>1981년 7월 26일|| ||<:>[[파일:텐진역.png|width=100%]][br]12번 출입구|| ||<:>[[파일:텐진역_승강장.png|width=100%]][br]승강장||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후쿠오카)|주오구]]에 있는 [[후쿠오카시 지하철]]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공항선]]의 역이다. [[서일본 철도]] [[니시테츠 텐진오무타선|텐진오무타선]]의 [[니시테츠후쿠오카(텐진)역]]으로 환승할 수 있다. 역 주변은 '[[텐진]]'이라고 불리는 [[하카타역]] 주변에 이은 양대 중심지이며 후쿠오카은행 본점, 파르코, 후쿠오카시청, 아크로스 후쿠오카, 텐진중앙공원, [[니시테츠 텐진고속버스터미널]] 등이 위치해 있다. [[외래어 표기법/일본어|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덴진'이 되며 역 내 한국어 안내로는 덴진역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래서 덴진역으로 검색해도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 된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4><:>↑ [[아카사카역(후쿠오카)|아카사카]]|| ||<:>ㅣ||<:>{{{#ffffff 2}}}||<:>{{{#ffffff 1}}}||<:>ㅣ|| ||<-4><:>[[나카스카와바타역|나카스카와바타]] ↓|| ||<:>{{{#ffffff 1}}}||<|2>[[파일:FM-kuko.svg|width=17]]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공항선]]||<:>하행||[[나카스카와바타역|나카스카와바타]] · [[하카타역|하카타]] · [[히가시히에역|히가시히에]] · [[후쿠오카 공항역|후쿠오카 공항]] 방면[br]{{{-2 (직통 [[치요켄쵸구치역|치요켄쵸구치]] · [[마이다시큐다이뵤인마에역|마이다시큐다이뵤인마에]] · [[하코자키미야마에역|하코자키미야마에]] · [[카이즈카역(후쿠오카)|카이즈카]] 방면)}}}|| ||<:>{{{#ffffff 2}}}||<:>상행||[[아카사카역(후쿠오카)|아카사카]] · [[니시진역|니시진]] · [[후지사키역(후쿠오카)|후지사키]] · [[메이노하마역|메이노하마]] 방면[br]{{{-2 (직통 [[치쿠젠마에바루역|치쿠젠마에바루]] · [[치쿠젠후카에역|치쿠젠후카에]] · [[카라츠역|카라츠]] · [[니시카라츠역|니시카라츠]] 방면)}}}|| ==# 텐진미나미역과의 간접환승(~2023.3.26)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나나쿠마선]] [[텐진미나미역]]과의 환승 방식은 [[간접환승|소프트 환승]]으로, 텐진 지하상가를 따라 거의 300m를 넘게 걸어야 환승이 가능하다. 운임 계산에서도 동일역으로 취급해서 계산한다. 그리고 환승 제한시간에 꽤 여유가 있는데, 한쪽 역 개찰구를 나온 뒤 120분 안에 다른 역의 개찰구에 들어가면 환승이 인정된다. 그러나 카드가 아닌 일반 승차권 이용시에는 환승 전용 개찰구(녹색)를 통해 나와야만 환승이 인정된다는 것이 주의점.[* 환승하려 했는데 실수로 일반 개찰구로 나왔을 경우 주변에 있는 역무원에게 도움을 청하자.] 1일 무제한 승차권은 일반 개찰구로 나와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2022년에 나나쿠마선이 [[하카타역]]까지 연장되면 이 역에서는 환승할 수 없고 하카타역에서만 환승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 있다. 2021년 2월 시점에서는 아직 검토중이며, 정기권만으로 환승이 가능하게 하거나 일반권 및 IC카드에 대해서도 환승요금을 적용하는 등의 대안도 논의되고 있다. [[https://www.nishinippon.co.jp/item/n/683651/|기사(일본어)]] 2023년 3월 27일 나나쿠마선이 하카타역까지 연장됨에 따라 하카타역에서 환승해야한다.~~다만 하카타역에서 환승 시 무빙워크와 함께 막장환승이 이루어진다.~~ [[분류:일본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8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