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a_today_10889581.0.webp|width=100%]]}}} || || '''이름''' || 앤서니 리 "토니" 바넷(Anthony Lee "Tony" Barnette) || || '''생년월일''' || [[1983년]] [[11월 9일]] ([age(1983-11-09)]세) || || '''국적'''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6]]]] [[미국]] || || '''출신지''' || [[알래스카 주]] [[앵커리지]] || || '''학력'''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 || '''신체''' || 185cm, 86kg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06년 아마추어 드래프트 10라운드([[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 '''소속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10~2015)''' [br] [[텍사스 레인저스]] (2016~2018) [br] [[시카고 컵스]] (2019) || || '''프런트'''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스카우터 (2020~) || [목차] == 개요 == [[미국]] 국적의 前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토머스 제퍼슨]] 고등학교와 [[애리조나 주립대학교]]를 졸업했고, [[2006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서 10라운드에 지명되었다. 하지만 2009년까지 콜업이 되지 않았고 [[2010년]] 1월 웨이버 공시되었다. 보통 대학교 2학년을 마치고 드래프트에 나오는 데 비해 대학을 졸업 후에야 지명된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아마추어 시절부터 그다지 주목받는 선수는 아니었고, 스카우팅 리포트에 따르면 공은 빠르지 않고 제구력도 뛰어나지는 않으나 변화구의 무브먼트가 괜찮고, 겁내지 않고 스트라이크를 던질 줄 아는 투수로 최대 실링은 빅리그 불펜 정도로 평가되는 그저 그런 선수로 평가되었다. 일단 아마추어 시절에는 주로 불펜으로 던졌고, 마이너에서 선발로 전향해서 그럭저럭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 === 방출 이후 [[2010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계약했다. 본래 [[선발투수]]로 쓰려고 영입했으나 선발에서는 실패하고 [[중간계투]]로 보직을 바꿨는데, 계투로 터졌다. [[임창용]]이 토미존을 받으며 시즌아웃되어 공석이 된 후임 마무리 자리를 차지했는데 결과적으로 임창용을 뛰어넘는 성적을 거두었다. 통산 260경기에 등판해 11승 19패, 97세이브, 평균자책점 3.58, WHIP 1.26을 기록했다. 특히 커리어 하이인 [[2015년]]에는 '''41세이브, 평균자책점 1.29, WHIP 0.89'''로 한신 [[오승환]]과 공동 세이브왕을 기록했고, 피홈런이 단 1개밖에 없었다. 마당쇠 역할을 한 토종 사이드암 투수 아키요시 료와 외국인 불펜 트리오 [[올랜도 로만]]-[[로건 온드루섹]]-바넷의 'ROB' 트리오로 이루어진 철벽 필승조 불펜의 힘은 야쿠르트가 2% 모자란 전력[* 이 해 세리그는 ~~상위리그~~ 퍼시픽리그 상대 교류전에서의 열세, 교류전 돌입 시점에서 1위이던 베이스타즈의 추락 등이 겹치며 7월 며칠동안 전구단 승률 5할 미만같은 꼬라지를 보여주는 등 역사적인 난전을 보여주었다.]에도 불구하고 이 해 센트럴리그를 제패하는 힘이 되주었다. 직구의 구속과 구위로 정면돌파한 임창용과는 달리 공은 빠르지 않으나 직구와 10마일 가까이 차이나는 팍 죽는 체인지업, 반대로 직구와 비슷하지만 바깥쪽으로 뚝 떨어지는 커터성 슬라이더 등 완성도 높은 변화구로 오히려 임창용보다 더 높은 탈삼진율을 자랑했다. 2012, 2015년 2회 세이브왕에 오르며 [[다카쓰 신고]]와 함께 야쿠르트 스왈로즈 프랜차이즈 최고의 마무리이자, 최고의 외국인 선수 중 하나로 꼽히는 선수. === [[텍사스 레인저스]] 시절 === 2015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했으나, 바넷은 그 동안 신세진 친정팀에 이적료라도 챙겨주자는 마음으로 FA를 신청하지 않고 [[포스팅 시스템]]을 신청했다. 이에 구단도 포스팅비를 최저선인 50만 달러에 맞춰놓고 기다렸으나, 결과는 허무하게 '''무응찰.''' 이후 구단에서 선수의 의사를 존중해서 무응찰 이후 방출 처리를 통해 바넷을 풀어줬고, 결국 바넷은 FA를 통해 [[텍사스 레인저스]]와 2년 계약을 맺는다. [[2016년]] [[4월 5일]] [[시애틀 매리너스]] 전에서 생애 첫 메이저리그 마운드를 밟았다. 총 53경기에 등판해 60.1이닝 7승 3패 평균자책점 2.09로 준수한 활약을 해줬지만 이듬해에는 평균자책점이 5.49까지 치솟는 등 부진했다. 2017년 팀이 옵션을 실행하지 않으면서 FA가 되었지만 이내 팀과 재계약했고, 22경기에 등판해 2승을 기록했지만 7월 5일 부상으로 iL에 등록되었다. === [[시카고 컵스]] 시절 === 2018 시즌 종료 후 FA가 되자 [[2019년]] [[2월 1일]] [[시카고 컵스]]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오른쪽 어깨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6월 27일]] AAA로 내려갔다. 대신 올라온 선수는 [[크레이그 킴브럴]]. == 은퇴 후 == [[2020년]] [[1월 28일]] 은퇴했으며, 은퇴 후에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운영팀 및 스카우터로 재직하고 있다. == 선수 기록 == ||<-15> {{{#ffffff 역대 기록(NPB)}}}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0 ||<|6>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 16 || 15⅔ || 4 || 5 || 0 || 0 || 5.99 || 99 || 9 || 42 || 4 || 70 || 1.77 || || 2011 || 48 || 47 || 1 || 1 || 2 || 22 || 2.68 || 43 || 2 || 14 || 4 || 54 || 1.21 || || 2012 || 57 || 54⅓ || 1 || 2 || 33 || 3 || 1.82 || 44 || 4 || 11 || 2 || 52 || 1.02 || || 2013 || 47 || 40⅓ || 1 || 8 || 7 || 14 || 6.02 || 36 || 4 || 21 || 2 || 62 || 1.42 || || 2014 || 33 || 32⅓ || 1 || 2 || 14 || 4 || 3.34 || 27 || 4 || 13 || 0 || 42 || 1.25 || || 2015 || 59 || 62⅔ || 3 || 1 || 41 || 6 || 1.29 || 37 || 1 || 19 || 3 || 56 || 0.90 || ||<-15> {{{#ffffff 역대 기록(MLB)}}}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6 ||<|3> [[텍사스 레인저스|TEX]] || 53 || 60⅓ || 7 || 3 || 0 || 0 || 2.09 || 54 || 4 || 17 || 4 || 49 || 1.16 || || 2017 || 50 || 57⅓ || 2 || 1 || 2 || 0 || 5.49 || 64 || 7 || 26 || 2 || 57 || 1.50 || || 2018 || 22 || 26⅓ || 2 || 0 || 0 || 0 || 2.39 || 19 || 2 || 5 || 2 || 26 || 0.9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9 || [[시카고 컵스|CHC]] || 2 || 1⅓ || 0 || 0 || 0 || 0 || 6.75 || 2 || 1 || 0 || 0 || 0 || 1.50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앵커리지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2020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