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불가리아 총리)] [include(틀:역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주석)]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c5e 0%, #009b75 20%, #009b75 80%, #007c5e)" '''{{{#ffffff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br]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무회의 주석[br]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총리[br]{{{+1 토도르 흐리스토프 지프코프}}}[br]Тодор Христов Живков}}}'''}}}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도르 흐리스토프 지프코프.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11년]] [[9월 7일]]||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8]] [[불가리아 왕국]] [[프라베츠 주]] [[프라베츠]] || ||<|2> '''{{{#ffffff 사망}}}''' ||<(>[[1998년]] [[8월 5일]] (향년 86세)||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8]] [[불가리아]] [[소피아(도시)|소피아 주]] [[소피아(도시)|소피아]]|| || '''{{{#ffffff 국적}}}'''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8]] [[불가리아 왕국]] ^^(1911년 9월 7일-1946년 9월 15일)^^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width=28]]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1946년 9월 15일-1990년 11월 15일)^^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8]] [[불가리아]] ^^(1990년 11월 15일-1998년 8월 5일)^^|| || '''{{{#ffffff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SigTodorZhivkov.svg|width=15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부모}}}''' ||<(>아버지 흐리스토 지프코프[br]어머니 마루차 지프코바 || || '''{{{#ffffff 배우자}}}''' ||<(>마라 말레바지프코바[* Mara Maleeva-Žhivkova, [[1936년]]-[[1971년]]]|| || '''{{{#ffffff 자녀}}}''' ||<(>딸 루드밀라 토도로바 지프코바[* Lyudmila Todorova Žhivkova, [[1942년]] [[7월 26일]]-[[1981년]] [[7월 21일]]][br]아들 블라디미르 토도로프 지프코프[* Vladimir Todorov Živkov, [[1952년]] [[6월 5일]]-[[2021년]] [[7월 21일]]]|| || '''{{{#ffffff 정당}}}''' ||<(>[include(틀:불가리아 공산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83-B0115-0010-066%2C_Berlin%2C_VI._SED-Parteitag%2C_Warnke%2C_Shiwkow_-_Zhivkov.jpg|width=300]] || [[파일:Image_7122698_126_0.jpg|width=300]] || || 1963년 [[동독]] [[베를린|동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전당 대회에 참가한 지프코프. || 1972년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찍은 사진.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서기장]]이자 국무회의 [[주석(직위)|주석]]이자 총리. [[1954년]]부터 [[1989년]]까지 무려 '''35년간''' 장기 집권한 인물이며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역사는 사실상 그와 같은 길을 걸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정권 붕괴 후 총살당한 [[이웃나라]] 루마니아의 전 독재자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는 달리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축출된 후에도 [[부정부패]] 혐의로 인한 재판 참석과 가택 연금 이외에는 커다란 처벌을 받지는 않았으며 실권한 후인 1998년 5월 노환으로 자연사했다. == 생애 == 1911년 [[소피아(도시)|소피아]] 근교의 한 마을인 프라베츠(Правец, Pravets)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가난한 가정 사정으로 인해 대학교도 진학하지 못한 채 고등학교 졸업 학력[* 하지만 당시 불가리아에서 [[고졸]]은 결코 저학력이 아니었다. 1925년 불가리아 문해율이 60.3%, 1935년 문해율이 68.6%였다. 고등학교 졸업만 해도 지식청년 취급받던 [[8.15 광복]] 직후의 한국을 생각하면 된다.]으로 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다가 1928년 [[공산주의]] 청년 동맹에 가입해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대항하는 친 [[소련]] [[레지스탕스]] 활동에 가담하였으며 그 공로로 종전 직후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원을 받은 [[게오르기 디미트로프]](Георги Димитров)에 의해 불가리아가 공산화되자 공산당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어 [[집단농장|농업 집단화]]를 이끌었다.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고 스탈린 격하 운동이 벌어지자 강경한 [[스탈린주의]]자였던 [[벌코 체르벤코프]](Вълко Червенков)가 소련의 압력으로 공산당 서기장에서 사임하고 자신은 수상에만 남았으며 온건주의자였던 그가 1954년 3월 4일 공산당 서기장 자리에 올랐다. [[니키타 흐루쇼프]]를 적극 지지하며 불가리아 내에서 탈 스탈린 움직임을 주도하던 그는 권력을 서서히 강화하면서 1956년에 수상직을 차지하고 여전히 권세를 휘두르던 체르벤코프를 개인숭배자로 비판하여 실각시키는 데 성공해 마침내 집권했다. 1962년에 이르면 1인 지배 체제를 사실상 굳혔다. 1인 지배 체제를 확립하고 나서 1964년 흐루쇼프의 축출 후에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프라하의 봄]]이 일어나자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으로서 진압군을 보내는 등 적극적인 [[친소]] 노선을 통해 권력을 유지했다. 1965년 촐로 크리스티프[* 전직 주북한 불가리아대사]를 위시한 불가리아의 몇몇 정치인들이 온건파 지프코프를 몰아내고 민족주의, 스탈린주의 정권을 설립하고자 했으나[* 참고로 이들이 롤모델로 삼은 대상이 무려 '''[[김일성]]'''이었다고 하는데 만약 쿠데타가 성공했으면 불가리아는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도 따위로 만드는 생지옥으로 변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발각되기도 했다.[* 사족으로 이들을 체포하기 위한 작전의 암호명은 '바보'였다고 한다. [[주체사상]]과 유일사상체계를 수립하기 전에도 [[북한]]은 공산권 국가들에게도 추종하는 것조차 바보로 여겨졌을 정도로 한심한 취급을 받았음을 잘 보여주는 증거다.] 경제 면에서 농업 집중 육성과 산업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시장 경제 요소를 어느 정도 도입하여 [[코카 콜라]]의 불가리아 진출도 허용하는 등 개방적인 면모를 취했지만 동시에 불가리아 인구의 약 10퍼센트 가량을 차지하던 [[튀르키예인]]에 대해 가혹한 탄압을 가하고 민족의 다수를 차지하는 불가리아인들을 우대하는 불가리아 민족 중심의 민족주의적 정책을 펼쳤고 정치 민주화를 억압하는 등 독재자로서의 면모도 드러내기도 했었다. 이 때의 탄압으로 불가리아를 떠난 터키인 중에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역도 선수 나임 쉴레이마노을루(Naim Süleymanoğlu, 불가리아식으로는 Наим Сюлейманов)가 있었는데 1986년 [[터키]]로 망명하여 불가리아식 성인 술레이마노프를 터키식인 쉴레이마노을루로 바꿨다. 실제로 구 [[공산권]] 국가들의 공산주의 독재자들 중 의외로 [[민족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베트남]]의 국부인 [[호찌민]]은 말 할 것도 없고 불가리아와 인접한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도 공산권의 맹주였던 소련의 간섭을 거부하고 [[제3세계]]의 지도국을 자처하면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민족주의 체제를 구축하며 [[유고슬라비아]]를 통치했고 [[북한]]의 [[김일성]]이 정치적 지지를 위해 [[주체사상]]이라는 명분 하에 민족주의를 이용한 전례도 있었다. == 몰락 == 그러나 이 같은 개방 정책은 [[폴란드 인민 공화국|폴란드]], [[헝가리 인민 공화국|헝가리]]와 마찬가지로 1970년대 말에 이르면 [[석유 파동]]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이 동구권을 덮치면서 한계에 다다르고 불가리아는 '''빚더미'''에 올라앉았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시행한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개혁 개방 정책]]의 영향으로 불가리아도 난국을 타개하려고 했지만 지프코프는 고르바초프식 전면 개방 및 정치 개혁에는 매우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특히 정치 개혁은 극도로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1989년 들어 [[동유럽 혁명|민주화 바람]]이 전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을 강타하자 지프코프의 힘도 급속도로 줄어들었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다음날 불가리아 공산당이 지프코프를 공산당 서기장과 총리직에서 해임시키고 후임으로 페터르 믈라데노프를 임명함으로서 지프코프는 35년 간의 독재자 생활을 끝내게 되었다. 1990년 1월에는 당에서도 제명당하고 사기와 부패 혐의로 체포되었다. 1992년 법원은 그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으나 이미 노령인 데다 건강 악화를 이유로 실제로 집행되지는 않았고 대신 가택 연금 상태에 놓여 자서전 집필에 열을 올렸다. == 사망 == ||[youtube(6RuZ8vqXsF4)]|| || 지프코프의 장례식, [[소피아(도시)|소피아]], 1998년 8월 9일 || 그는 [[폐렴]]에 걸려 1998년 8월 5일 수도 소피아의 자택에서 8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당시 불가리아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았넌 가운데 노년층,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지프코프 시절을 그리워하는 여론이 꽤 강했으며 그로 인해 그의 장례식에는 상당한 수의 인파가 몰려들었지만 공산 독재로 인해 그를 증오하는 여론도 아주 강했기 때문에 불가리아 정부는 유족 측의 국장 요구를 거부했고 가족장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분류:1911년 출생]][[분류:1998년 사망]][[분류:소피아 주 출신 인물]][[분류:불가리아 국가주석]][[분류: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분류:불가리아 총리]][[분류:유럽의 독재자]][[분류:국가주석]][[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