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 [include(틀:토론토 지하철 노선)] ||<-3>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height=2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TC_-_Line_1_-_Yonge-University-Spadina_line.svg.png|width=50]]||{{{#FFCB0C '''토론토 지하철 1호선 {{{+1 영-유니버시티}}}'''[br]{{{-1 Toronto Subway Line 1}}} Yonge-University }}} ||}}} || ||<-3> [[파일:Union_Station_TTC_November_2021.jpg|width=100%]] || ||<-3> [[토론토 유니언 역|{{{#FFCB0C 토론토 유니언 역}}}]] || ||<-3> {{{#black '''노선 정보'''}}} || || '''분류''' ||<-2> [[도시철도]] || || '''기/종점''' ||<-2>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 역, 핀치 역 || || '''역 수''' ||<-2> 38개 || || '''노선 번호''' ||<-2> 1 || || '''개업일''' ||<-2> [[1954년]] [[3월 30일]] || || '''운영자''' ||<-2>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width=80px]]]] || || '''사용 차량''' ||<-2> [[봉바르디에]] 토론토 로켓 || ||<-3> {{{#black '''노선 제원'''}}} || || '''노선 연장''' ||<-2> 38.8㎞ || || '''궤간''' ||<-2> 1,495㎜ [[광궤|토론토 광궤]] || || '''선로 구성''' ||<-2> [[복선]] || || '''전력 공급''' ||<-2> 직류 600V [[제3궤조집전식]] || || '''통행 방향''' ||<-2>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론토 지하철]] 1호선, 또는 '''영-유니버시티 선'''(Yonge-University Line)은 토론토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유니언역(토론토)|유니언역]]을 중심으로 [[토론토]]의 [[다운타운]]과 북부를 잇는 종단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상세 == 다운타운의 유니언역을 기점으로 U자 형태를 띠는 노선이며, [[2023년]] 현재까지도 토론토 지하철 노선 중 유일하게 남북 방향을 잇는 노선이기에 수송량이 압도적으로 많다. [[토론토]] 도시 구조 자체가 [[오대호|온타리오 호]]에 맞닿은 남부에 다운타운이 있고 북쪽에 주거지역 및 부도심이 있어 남북 간의 교류가 많을 수밖에 없는데, 1호선을 제외한 주요 간선들이 전부 동서 방향을 잇다 보니 그 많은 이동량을 1호선 혼자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을 거쳐 오는 토론토 외곽 수요까지 더해지니 [[블루어-영역]] 이남 다운타운 구간은 하루 종일 혼잡하다. [[2018년]] 기준 토론토 지하철 내 이용객 수 상위 10개역 중 9개가 1호선 역일 정도. 전산상으론 단일 노선 취급이나, 엄밀히 따지자면 [[토론토 유니언 역]]을 기준으로 동쪽의 '''영 선'''(Yonge Line)과 서쪽의 '''유니버시티 선'''(University Line)으로 나뉜다. 노선명은 여느 서구권 지하철이 그러하듯 노선 상부의 대로명을 따서 붙였다. 먼저 '''영 선'''은 토론토를 넘어 '''[[캐나다]] 최초로''' 개통한 지하철 노선이다.[* 전신인 영 노면전차 선(Yonge Streetcar Line) 역시 캐나다 최초의 노면전차 노선이였다.] 토론토의 중심가이자 남북 핵심 축인 영 가(Yonge Street)를 그대로 따라서 지나간다. 기본적으로 토론토라는 도시가 영 가를 따라 발전한 곳이기 때문에, 연선에 다운타운, 미드타운, 노스 요크 등 도시의 주요 번화가, 상업지구 및 사무지구가 줄지어 늘어서 있다. 덕분에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수요가 매우 많다. '''유니버시티 선'''은 북쪽으로 가면 갈수록 중심가인 영 가에서 멀어지는 형태의 노선으로, 격자 형태인 토론토 도시구조를 감안하면 사실상의 대각선 노선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름은 다운타운 구간에서의 유니버시티 로(University Road)에서 따 왔으며, 영 선 서부 지역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노선이다. 편의상 유니언역 이서 구간을 모두 유니버시티 선으로 칭하지만 실제로는 세인트 조지까지만 유니버시티 선으로 취급되며, 잔여 구간은 '''스파다이나 선'''(Spadaina Line)으로 불리운다. 따라서 1호선의 풀네임은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이 되고 실제로 [[1978년]] 스파다이나 구간 개통 이후부터 쭉 그렇게 불렸지만, [[2014년]] 토론토 지하철 노선명 개정에 따라 노선번호가 생김과 동시에 공식 명칭이 영-유니버시티로 축약되었다. 주 수요처는 다운타운 및 요크데일 몰[* 토론토 시내 몰 중 1위, 광역 토론토 중 2위, 캐나다 전체 3위의 면적을 자랑하는 거대한 몰이다.], [[요크 대학교(캐나다)|요크 대학교]] 정도. 다만 토론토 시계 내에서만 주행하는[* 영 선도 행정구역 통합 전까진 토론토 북부의 노스 요크 시(North York)에 진입하였으나, [[1998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노스 요크 시가 토론토로 편입되었다.] 영 선과 달리, 유니버시티 선은 토론토 북부 시계를 넘어 위성도시인 본(Vaughan)까지 다닌다. === 문제점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GBEDFSVGEZDBPITZMJQA4EYIM4.webp|width=100%]]}}} || || '''{{{#000000 첨두시간대의 블루어-영역}}}''' [[https://www.theglobeandmail.com/news/toronto/issues-with-subway-raise-questions-about-torontos-position-as-major-hub/article37864942/|출처]] || 단일 노선으로 도심 전체를 커버하는 토론토의 대중교통망은 여러 단점을 안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수요 과밀'''이다. 물론 토론토에는 1호선 말고도 여러 지하철 노선이 있고 [[시내버스]]와 [[노면전차]]도 지하철의 수요를 어느 정도 분산해주지만, 가장 중요한 다운타운으로 교통량 간섭 없이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은 1호선 하나뿐이기 때문. 버스와 노면전차는 도로교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2호선을 제외한 다른 노선은 보조 간선 혹은 셔틀 노선이며, 2호선마저도 다운타운 최중심까지 들어오지는 않는다.[* [[토론토 유니언역]]으로 바로 들어오는 [[GO 트랜짓]]이 있지만, 역간거리가 넓고 배차가 길어 시내 이동수단으로는 부적합하다.][* 다만 2호선 연선에서도 [[토론토 대학교|어마어마한 대수요처]]가 하나 있기는 하나, 여기도 1호선으로 커버 가능한 곳이다.] 결국 300만의 토론토 시민들이 전부 1호선 하나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인 셈. 이를 반면교사 삼은 [[몬트리올 지하철]]은 도심을 지나는 노선을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건설하였고, 덕분에 수요에 맞춰 공급을 좀 더 탄력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더군다나 열차 길이가 고작 '''6량'''에 불과하다는 점도 혼잡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토론토 지하철 최저 이용객에 빛나는 [[토론토 지하철 4호선|4호선]]이 4량이다! 열차 길이를 늘리면 되지 않나 싶을 텐데, 플랫폼이 6량에 맞춰서 지어져 있기 때문에 대규모 공사를 하지 않는 이상 열차 길이를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토론토 교통국]]도 문제점을 마냥 방관하는 것은 아니라서 [[CBTC]]를 도입하여 배차간격을 줄이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근본적인 수용량 한계를 극복하기엔 역부족이다. 결국 토론토 교통국은 1호선의 수요를 분산할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짓기로 결정한다. 사실 [[1980년대]]부터 이미 '''릴리프 라인'''(Relief Line)[* 해석하면 '수요 분산 노선'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이란 바이패스 노선을 계획했었는데, 다운타운을 정통으로 통과한다는 노선 특성상 어마어마한 공사비 때문에 장기 계획으로 미루어 두었다. 그러다 [[21세기]] 들어 수요 과밀 문제가 심각해지자, 릴리프 라인 계획을 '''온타리오 선'''(Ontario Line)이란 이름으로 새로이 부활시킨다. 토론토 시는 온타리오 선이 1호선, 특히 영 라인 일대와 토론토 동부에서 2호선을 타고 오는 수요를 분산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쪽 수요는 이미 1호선의 유니버시티 라인이 영 라인의 수요를 많이 분산한다.] 자세한 내용은 [[토론토 지하철 온타리오 선|온타리오 선]] 문서 참조. == 역사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e834-20140327-Yonge-Lead.webp|width=100%]]}}} || || '''{{{#000000 영 선의 개통 당시 모습}}}''' [[https://www.blogto.com/city/2014/03/the_yonge_subway_line_turns_60_years_old/|출처]] || 지하철을 짓기 전 토론토의 주요 대중교통은 북미 여느 도시가 그러했듯 [[노면전차]]가 중심이 되었다. 토론토에 지하철 노선을 짓자는 계획은 [[1900년대]] 초부터 나왔으나 막상 추진은 지지부진했고, [[제 2차 세계대전]] 말기에 들어서야 탄력을 받기 시작한다. 당시 토론토 북부에 거주하며 다운타운으로 출퇴근하던 노동자들이 늘어나자 노면전차와 도로가 포화 상태에 다다르기 시작했고,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토론토 교통국]]에서 지하철 계획을 다시금 추진하게 된다. 이후 [[1946년]] 토론토 시에서 지하철 계획을 승인하고,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공사가 시작된다. 8년간의 공사 끝에, [[1954년]] [[유니언역(토론토)|토론토 유니언 역]]과 에글린턴 역을 잇는 '''영 선'''(Yonge Street Subway)이 첫 선을 보인다. 노선이 개통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심 위쪽의 미드타운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교통국은 급증하는 미드타운 및 다운타운의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지하철 노선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교통국은 [[1963년]]에 노선을 유니언역에서 세인트 조지까지 연장했고, 연장 구간을 '''유니버시티 선'''(University Subway)이라 칭한다. 토론토 시는 동시기에 동서 방향 이동을 책임질 [[토론토 지하철 2호선]] 역시 개통하며 빠르게 노선망을 구축한다. 20세기 말엽 들어 토론토 광역권의 인구가 급증하자 토론토 교통국은 [[1973년]] 영 선을 요크 밀스까지 연장하였고, [[1974년]] 핀치까지의 구간을 개통하여 더 넓은 지역에 지하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1978년]]엔 반대편의 유니버시티 선 구간을 윌슨 역까지 연장하는데, 연장 구간을 '''스파다이나 선'''(Spadaina Subway)이란 별도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21세기 들어 연장이 지지부진했던 영 선과 달리 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은 꾸준히 연장 공사가 계속되었고, [[2017년]]에 토론토 서북부의 위성도시인 본까지 노선을 연장하기에 이른다. == 역 목록 == ||
<-5> {{{#000000 '''1호선 영-유니버시티[br]Line 1 Yonge-University'''}}} || || {{{#000000 '''개업 연도'''}}} || {{{#000000 '''한글 역명'''}}} || {{{#000000 '''영문 역명'''}}} || {{{#000000 '''환승노선'''}}} || {{{#000000 '''비고'''}}} || || {{{#000000 '''1974'''}}} || 핀치 || Finch || - || [* 역에서 바로 터미널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 || {{{#000000 '''1987'''}}} || 노스 요크 센터 || North York Centre || - || - || || {{{#000000 '''1974'''}}} || 셰퍼드-영 || Sheppard-Yonge || {{{#B32078 ●}}} [[토론토 지하철 4호선|4호선]] || - || ||<|2> {{{#000000 '''1973'''}}} || 요크 밀스 || York Mills || - || - || || 로렌스 || Lawrence || - || - || ||<|12> {{{#000000 '''1954'''}}} || 에글린턴 || Eglinton || {{{#F87005 ●}}}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 - || || 데이비스빌 || Davisville || - || [* 1상대식, 1섬식 승강장 구조를 띠고 있다.] || || 세인트 클레어 || St. Clair || - || - || || 서머힐 || Summerhill || || || || 로즈데일 || Rosedale || || - || || [[블루어-영역|블루어-영]] || Bloor-Yonge || {{{#16A753 ●}}}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 [* 1호선 플랫폼에는 그냥 'Bloor'라고만 표기되어 있으나 안내방송에서는 'Bloor-Yonge'이라고 말한다.] || || 웰즐리 || Wellesley || - || - || || 칼리지 || College || - || - || || 던다스 || Dundas || - || [*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구조이다.] || || 퀸 || Queen || ~~{{{#1F99D5 ●}}} [[토론토 지하철 온타리오 선|3호선]]~~[*2030 [[2030년]] 개통 예정. 현재의 3호선 스카버러와는 다른 노선이다.] || [*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구조이다.] || || 킹 || King || - || - || || [[유니언역(토론토)|유니언]] || Union || [[GO Transit]][br][[비아 레일]] || [* 2면 2선식 승강장이다.] || ||<|6> {{{#000000 '''1963'''}}} || 세인트 앤드류 || St. Andrew || - || - || || 오스구드 || Osgoode || ~~{{{#1F99D5 ●}}} [[토론토 지하철 온타리오 선|3호선]]~~[*2030 [[2030년]] 개통 예정. 현재의 3호선 스카버러와는 다른 노선이다.] || - || || 세인트 패트릭 || St. Patrick || - || - || || 퀸스 파크 || Queen's Park || - || - || || 뮤지엄 || Museum || - || - || || 세인트 조지 || St. George || {{{#16A753 ●}}}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 - || ||<|8> {{{#000000 '''1978'''}}} || 스파다이나 || Spadina || {{{#16A753 ●}}}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 - || || 듀폰트 || Dupont || - || - || || 세인트 클레어 웨스트 || St. Clair West || - || - || || 에글린턴 웨스트 || Eglinton West || {{{#F87005 ●}}}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 [* 반지하역으로, 이 역부터 윌슨역까지 지상구간이다.][* 5호선 개통에 맞춰 시더베일(Cedarvale)로 역명 변경 예정.] || || 글렌케언 || Glencairn || - || - || || 로렌스 웨스트 || Lawrence West || - || - || || 요크데일 || Yorkdale || - || - || || 윌슨 || Wilson || - || - || || {{{#000000 '''1996'''}}} || 셰퍼드 웨스트 || Sheppard West || || [* 과거 역명은 다운즈뷰(Downsview) 였으나, 노선 연장으로 다음 역 이름이 다운즈뷰 파크(Downsview Park)가 되며 혼동을 피하기 위해 역명을 변경하였다.] || ||<|6> {{{#000000 '''2017'''}}} || 다운즈뷰 파크 || Downsview Park || [[GO Transit]] || - || || 핀치 웨스트 || Finch West || {{{#888888 ●}}} --[[토론토 지하철 6호선|6호선]]-- || - || || 요크 유니버시티 || York University || - || - || || 파이오니어 빌리지 || Pioneer Village || - || - || || 하이웨이 407 || Highway 407 || - || - || ||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 || Vaughan Metropolitan Centre || - || [* 이곳에서 종착하는 열차들의 차외 행선지 표시에는 "Vaughan"이라고 표기된다.] || ===# 주요 역 일람 #=== * '''핀치'''(Finch): 한국인 및 중국인 거주 비율이 높은 곳으로, 요크 지역 대중교통 회사인 [[York Region Transit|YRT]]및 [[GO Transit]]과 환승할 수 있는 역이다. 토론토 도심의 코리아타운을 대체하며 새로이 부상하고 있는 한인촌으로, 2~4백만 달러에 달하는 고급 단독주택과 고급 콘도가 우후죽순 생겨나는 토론토의 신흥 부촌이다. * '''노스 요크 센터'''(North York Centre): 토론토 다운타운 위쪽에 홀로 떨어져 있는 대규모 부도심. 대형 도서관인 노스 요크 센트럴 도서관(North York Central Library)이 있는 빌딩과 엠프레스 워크(Empress Walk) 쇼핑센터 및 주상복합 건물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역이다. 인근에 [[1998년]] 토론토 행정구역 통합 이전 노스 요크 시의 시청이었던 노스 요크 시민회관(North York Civic Centre)도 위치해 있다. 한인들에겐 [[신한은행|캐나다 신한은행]]으로 매우 익숙한 역이기도 하다. * '''셰퍼드-영'''(Sheppard-Yonge): [[토론토 지하철 4호선|4호선 셰퍼드]]로 환승할 수 있는 역. 인근에 다수의 한국 음식점들이 있으며, 최근 새단장을 마친 영 셰퍼드 센터(Yonge Sheppard Centre) 쇼핑몰과도 직접 연결되어 있다. * '''에글린턴'''(Eglinton): 미드타운 토론토의 중심 지역인 영 & 에글린턴(Yonge & Eglinton)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에글린턴]]과 환승 가능하다. 에글린턴 역 인근 지역은 [[토론토]]의 대표적인 부도심 중 하나로[* 다른 주요 부도심으로는 Yonge & Finch, Kipling & Bloor, 스카보로 센터 등이 있다.] [[1954년]] 1호선이 처음 개통했을 당시 북쪽 종점이었다. 참고로 [[GO Transit]]의 에글린턴 역과는 '''이름만 같지 완전히 다른 역이다.'''[* 토론토에서는 이런 동명이역들이 굉장히 흔하다. 하술할 블루어-영역(Bloor-Yonge Station, 예전에 1호선만 있을때의 이름은 "Bloor Station"이었다. 아직도 토론토에서는 관습적으로 널리 쓰이는 역명.)과 GO 트랜짓의 블루어역(Bloor Station) 역시 멀리 떨어진 다른 역이다.] * '''데이비스빌'''(Davisville): [[토론토 교통국]] 본사가 자리한 역. 거기에 Davisville Yard 차량기지와 붙어있는지라 이 역을 지날 때마다 정비중인 열차들을 많이 볼 수 있다. * '''[[블루어-영역|블루어-영]]'''(Bloor-Yonge)[* 벽면에는 "Bloor"로만 써져 있으니 주의하자. 왜 이러한지는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문서의 동일역 설명을 참조]: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블루어-댄포스]]로 환승할 수 있는, 토론토 최대의 환승역. 이용객이 붐비는 출퇴근시간엔 거의 [[신도림역]] 수준인지라, 이곳만큼은 토론토 전체에서 유일하게 줄 대기선이 있다. * '''던다스'''(Dundas): 역 위로 토론토의 주요 번화가인 영 & 던다스 스퀘어(Yonge & Dundas Square)가 있고, 역 인근의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Toronto Metropolitan University)와 대형 쇼핑몰인 이튼 센터(Eaton Centre)[* 캐나다 최대의 상점 개수와 방문객을 자랑하는 국가대표 급 쇼핑몰로 토론토 대표 명물 중 하나다.]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토론토 시외버스 터미널도 여기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역과 바로 붙어있는 건 아니고 이튼 센터 몰 반대쪽에서 건너편에 위치해 있으므로 걸어서 한 2분 정도 걸린다. 참고로 원래는 광역버스인 GO 버스도 토론토 시내의 정류장은 여기서 담당했는데, 현재는 유니언역으로 옮겼다.] 여담으로 던다스 역과 토론토 버스 터미널까지의 거리는 다음 역인 세인트 패트릭역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 '''퀸'''(Queen): 이 역도 이튼 센터와 직접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 역은 이튼 센터의 남쪽 끝, 던다스 역은 북쪽 끝에 있다.], 인근에 토론토 시청 및 대형 종합병원인 세인트 마이클스 병원(St. Michaels Hospital)이 위치해 있다. 추후 3호선 온타리오와의 환승이 예정되어 있다. * '''[[유니언역(토론토)|유니언]]'''(Union Station): 토론토, 아니 캐나다를 대표하는 핵심 기차역. 교통 중심지이니만큼 [[GO Transit]] 및 공항철도인 [[UP Express]]로 환승할 수 있으며[* 다만 지하철역과 공항철도역과는 엄청난 [[막장환승]]이라 짐을 많이 가져왔다면 각오해야 한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야구장인 [[로저스 센터]], [[토론토 랩터스]]와 [[토론토 메이플리프스]]의 홈구장 [[스코샤뱅크 아레나]], 그리고 토론토의 랜드마크 [[CN 타워]]까지 모두 역세권으로 두고 있다. 역 북쪽으로는 세인트 앤드류, 킹 역과 함께 토론토의 중심 금융가가 자리잡고 있다. 여러모로 토론토의 시내, 광역, 시외교통이 한 자리에 집결하는 중요한 역. * '''퀸스 파크'''(Queen's Park): 퀸스 파크(Queen's Park)와 온타리오 주 입법 의회를 끼고 있는 역. [[토론토 대학교]]로 갈 때 이 역을 통해서 가기도 한다. 주변에 큰 종합병원[* 토론토 종합병원과 마운트 시나이 종합병원 등]이 위치하고 있다. * '''뮤지엄'''(Museum): 온타리오 왕립 박물관(Royal Ontario Museum, ROM) 및 [[토론토 대학교]] 건물들을 역세권으로 두고 있는 역. 사실 지하철만큼이나 토론토 대학교 학생들이 지하보도로 많이 애용하는 역이다. --이유인즉슨 지상의 퀸스 파크 로드는 횡단보도가 없기 때문이다.--[* 근래 들어서 지상에도 횡단보도가 생겨서 옛말이 되었다.] * '''스파다이나'''(Spadina): 차이나타운 근처에 위치한 역. 이곳에서 스트리트카를 타고 차이나타운으로 이동할수 있다. 이 역에서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환승이 가능하긴 하나 [[막장환승]]이니 옆에 있는 세인트 조지 역에서 계단 하나로 환승하도록 하자. * '''윌슨'''(Wilson): 데이비스빌과 마찬가지로 바로 옆에 Wilson Yard 차량기지가 있다. 다만 한국처럼 토지 보상만을 목적으로 만든 역은 아니고, 토론토의 대로 중 하나인 윌슨 대로(Wilson Avenue)의 버스 환승 수요가 있어 이용객은 상당하다. * '''셰퍼드 웨스트'''(Sheppard West): 셰퍼드 대로 상에 위치한 역. 인근에 [[봉바르디에]]의 항공산업 기지가 있다. * '''다운스뷰 파크'''(Downsview Park): 과거 [[캐나다 공군]]이 기지로 사용하던 곳을 공원으로 용도변경한 곳. 설계 당시부터 [[GO Transit]]역과의 환승 경로를 고려하였기에 지하철-[[GO Transit]] 환승역으로써는 드물게 [[개념환승]]이나[* 일반적으로 토론토 지하철과 GO Train은 운영체가 다르기 때문에 근처에 역이 붙어있어도 환승이 괴악한 경우가 많다.], 역세권에 이렇다 할 수요처가 없어 이용객은 매우 낮다. 여담으로 지하역이나 [[양천구청역]]처럼 일부 자연채광을 사용하고 있는 역이다. * '''핀치 웨스트'''(Finch West): 핀치 & 킬(Finch & Keele) 지역에 위치해 있는 역. 여기서 서쪽으로 1블럭만 더 가면 토론토 최악의 우범지대인 제인 앤드 핀치가 나온다. 또한 환승 노선인 [[토론토 지하철 6호선|6호선]]의 동쪽 종착역이다. * '''요크 유니버시티'''(York University): 토론토 북쪽의 [[요크 대학교(캐나다)|요크 대학교]] 에 위치한 역. 대학역답게 수요가 항상 많다. * '''파이오니어 빌리지'''(Pioneer Village): 토론토 광역권에 위치한 테마 파크 파이오니어 빌리지(Pioneer Village)가 있는 곳으로, 정확히 토론토의 북측 시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캐나다판 민속촌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예전 온타리오 거주민들이 어떻게 생활했는지 보여주는 곳이다. 그 외 요크 대학교의 일부 건물과 가까워 수요를 일부 분산한다. *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Vaughan Metropolitan Centre): 토론토의 위성도시인 Vaughan[* "번" 내지 "본"이라고 읽는다. 중간의 "gha"는 묵음. 광역 토론토 지명들 중에 이렇게 발음하기 어려운 지명들이 많다. 당장 토론토라는 도시명부터 사람들마다 발음이 갈린다.]에 있는 역. 차후 본 시측에서 역세권 주변을 개발하여 대형 상업 및 사무지구로 거듭날 예정이다. == 연장 == === 리치먼드 힐 연장 === [include(틀:미개통)]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YNSE-Map-April-2022-enlarged.jpg|width=100%]]}}} || || '''{{{#000000 노선 개요}}}''' [[https://www.metrolinx.com/en/greaterregion/projects/yonge-subway-extension.aspx|출처]] || ||
<-5> {{{#000000 '''노스 요크 연장선[br]North York Extension'''}}} || || {{{#000000 '''개업 연도'''}}} || {{{#000000 '''한글 역명'''}}} || {{{#000000 '''영문 역명'''}}} || {{{#000000 '''환승노선'''}}} || {{{#000000 '''비고'''}}} || ||<|7> {{{#000000 '''2030'''}}} || 핀치 || Finch || - || - || || 커머/드루리 || Cummer/Drewry || - || - || || 스틸스 || Steeles || - || - || || 클라크 || Clark || - || - || || 로열 오처드 || Royal Orchard || - || - || || 브리지 || Bridge || [[GO Transit]] || - || || 하이 테크 || High Tech || - || - || [[1974년]] 핀치 연장 이후 무려 '''56년만에''' 지어지는 영 선의 연장선. [[2022년]] 현재 영 선의 북쪽 종점인 핀치에서 토론토 북쪽의 리치먼드 힐(Richmond Hill)까지 도시철도망을 확장하는 공사이며, 완공되면 행정구역 통합 이후 토론토 시내에만 머무르던 영 선이 처음으로 위성도시에 발을 디디게 된다. 그간 [[시내버스]]와 [[GO 트랜짓]][* 이마저도 출퇴근 시간 한정 운행이다.]에 의존해야 했던 리치먼드 힐 지역에게는 단비같은 존재. 리치먼드 힐과 핀치를 오가는 버스는 [[2022년]] 기준 하루 2,500대에 달하는데, 연장 이후 노선 정리가 완료되면 수요의 상당 부분을 지하철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착공 날짜는 아직 불분명하다. 이미 애저녁부터 과수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영 선 구간이 리치먼드 힐 수요까지 혼자서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호선의 부담을 덜어 줄 [[토론토 지하철 온타리오 선|온타리오 선]]이 개통할 [[2030년]] 즈음 해서야 논의가 될 것으로 보이며, 공사를 담당하는 메트로링스(Metrolinx) 측에서도 노스 요크 연장선은 온타리오 선이 지어지고 나서 개통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토론토 지하철, version=311)] [[분류:캐나다의 도시철도]][[분류: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