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 [include(틀:토론토 지하철 노선)] ||<-3>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height=2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800px-TTC_-_Line_6.svg.png|width=50]]||{{{#888888 '''토론토 지하철 6호선 {{{+1 핀치 웨스트}}}'''[br]{{{-1 Toronto Subway Line 6}}} Finch West }}} ||}}} || ||<-3> [[파일:Finch-West-LRT-testing-2-1024-656x337.jpg|width=100%]] || ||<-3> {{{#888888 차량기지에서 대기 중인 6호선 차량}}} || ||<-3> {{{#white '''노선 정보'''}}} || || '''분류''' ||<-2> [[도시철도]] || || '''기/종점''' ||<-2> 험버 칼리지 역, 핀치 웨스트 역 || || '''역 수''' ||<-2> 18개 || || '''노선 번호''' ||<-2> 6 || || '''개업일''' ||<-2> [[2024년]][* [[https://www.youtube.com/watch?v=wbx9xNnWD6o]]] || || '''운영자''' ||<-2>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width=80px]]]] || || '''사용 차량''' ||<-2>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 || ||<-3> {{{#white '''노선 제원'''}}} || || '''노선 연장''' ||<-2> 10.3㎞ || || '''궤간''' ||<-2> 1,435㎜ [[표준궤]] || || '''선로 구성''' ||<-2> [[복선]] || || '''전력 공급''' ||<-2> 직류 750V [[가공전차선]] || || '''통행 방향''' ||<-2>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론토 지하철]] 6호선, 또는 '''핀치 웨스트 선'''(Finch West Line)은 토론토의 [[경전철]] 노선이다. 토론토 서부의 이토비코(Etobicoke), 제인 앤 핀치(Jane and Finch)와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의 핀치 웨스트 역을 잇는다. == 상세 ==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유니버시티 선 구간의 핀치 웨스트역에서 시종착하며 토론토 최악의 우범지대인 제인 앤 핀치(Jane and Finch)를 비롯한 이토비코 북부의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지나간다. 그간 도시 최악의 교통 소외지이자 슬럼으로 남아 있던 [[토론토]] 서북부 지역을 교통 지옥에서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전 구간 [[노면전차]] 형태의 [[LRT]]로 운행하며, 거의 동시기에 개통한 [[토론토 지하철 5호선]]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사용하는 차량이 조금 다르고, 중련운행을 밥먹듯이 하는 5호선과 달리 지선 노선이다보니 거의 단일 편성으로 다닌다. 또한 도심 구간을 지하로 달리는 5호선과 달리 6호선은 종점인 핀치 웨스트를 제외한 모든 역이 지상역이다. 다만 이걸 소득 수준에 따른 차별로 보는 의견도 있는데, 한창 공사 중인 5호선 서부 구간이 6호선과 비슷한 저밀도 주거 지역을 지남에도 불구하고 전 구간 고가 및 지하로 지어지기 때문. 5호선이 지나는 리치뷰(Richview) 일대는 부촌이니 돈을 더 써서라도 도로 간섭이 없도록 하고, 6호선이 지나는 핀치 일대는 소득 수준이 낮으니 예산을 절감하려는 행위로 보인다는 것이다. 의도야 어쨌든 북부 이토비코 지역의 개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노선이다. 노선의 동쪽 종점인 핀치 웨스트역이 유일한 출구 역할을 하기에 대부분의 수요가 거기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찬가지로 한쪽 종점에만 환승 노선이 있는 대한민국의 [[용인 에버라인]], [[김포 골드라인]]과 유사한 승객 흐름을 보일 듯 하다. == 역사 == [[토론토 지하철]]의 모든 노선, 심지어 아직 계획 단계인 [[토론토 지하철 온타리오 선|온타리오 선]]을 포함해도 가장 최근에 구상된 노선이다. [[2007년]] 토론토 시장이었던 데이비드 밀러(David Miller)의 주도 하에 1호선 영 선 구간의 핀치 역과 이토비코 북부 지역을 잇는 노선 계획이 발표된 게 처음. 당시 낙후된 핀치 지역을 다니던 버스가 인색했던 인프라 투자에도 불구하고 토론토의 모든 버스 중에서 3위 안에 드는 탑승객 수를 자랑하자, 수요 분산 및 지역 발전을 위해 [[경전철]]을 짓기로 한 것. 계획 수립과 함께 [[온타리오]] 주정부의 예산을 타며 순조롭게 공사가 진행되나 했으나, ~~이번에도~~ 약쟁이 [[롭 포드]]가 시장으로 당선되자 어김없이 프로젝트가 좌초되어버린다. 이에 반발한 시의회의 노력 끝에 [[토론토 지하철 5호선|에글린턴 선]]과 함께 계획이 재건되고, 핀치-핀치 웨스트를 제외한 구간부터 공사를 시작하기로 한다. 잔여 핀치 웨스트 이동 구간은 아직 계획 단계에 있으며, 추후 예산이 편성되면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초창기 계획이 전부 완성되면 소외지역 구제 노선을 넘어 본래 [[토론토 지하철 4호선|4호선]]이 맡기로 했던 부도심선의 역할까지 어느 정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역 목록 == ||<-5> {{{#ffffff '''6호선 핀치 웨스트[br]Line 6 Finch West'''}}} || || {{{#ffffff '''개업 연도'''}}} || {{{#ffffff '''한글 역명'''}}} || {{{#ffffff '''영문 역명'''}}}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18> {{{#fff '''2023'''}}} || 험버 칼리지 || Humber College || - || [* 반지하역이다. 정확히는 플랫폼이 지표면 아래에 있으나, 상부가 뚫려 있다.] || || 웨스트모어 || Westmore || - || - || || 마틴 그로브 || Martin Grove || - || - || || 알비온 || Albion || - || - || || 스티븐슨 || Stevenson || - || - || || 마운트 올리브 || Mount Olive || - || - || || 로운트리 밀스 || Rowntree Mills || - || - || || 펄데일 || Pearldale || - || - || || 덩컨우즈 || Duncanwoods || - || - || || 밀번/루마이크 || Milvan/Rumike || - || - || || 에머리 || Emery || - || - || || 시그넷/애로우 || Signet/Arrow || - || - || || 노핀치/오크데일 || Norfinch/Oakdale || - || - || || 제인 앤 핀치 || Jane and Finch || - || - || || 드리프트우드 || Driftwood || - || - || || 토버모리 || Tobermory || - || - || || 센티널 || Sentinel || - || - || || 핀치 웨스트 || Finch West || {{{#FFCB0C ●}}}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주요 역 일람 #=== == 연장 == 동서측 종점 모두 연장이 구상 중에 있다. 험버 칼리지에서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서편 연장과, 핀치 웨스트에서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영 선 구간의 핀치로 향하는 동편 연장이 있다. 먼저 7.7km의 서편 연장은 대중교통 사각지대인 피어슨 국제공항 일대의 교통망을 크게 개선함과 동시에 토론토 서북부 주민들의 공항 왕래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이며, [[2030년대]] 예정된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의 서편 연장선과 함께 토론토 서부를 ㄷ자로 두르는 형태가 된다. [[2009년]] 교통국의 조사에서 처음 언급되기 시작한 노선으로, [[2020년]] 메트로링스(Metrolinx)가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등 잊을 만 하면 언급되고 있다. 다만 조사 결과 서측 연장의 타당성은 중간 정도였으며, 아마 6호선 본선이 먼저 개통한 뒤 핀치 일대 개발이 좀 더 활성화되어야 사업이 추진력을 얻을 것 같다. 한편 동편 연장은 추진이 지지부진한 [[토론토 지하철 4호선|4호선]] 연장과 비슷하게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의 유니버시티 선과 영 선을 연결하여 부도심과 위성도시간 이동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총 연장은 6.3km 정도로, [[2010년]] 토론토의 장래 도시철도망 계획에서 발표되었으며, [[2020년]] 타당성 조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여전히 사업성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호선의 포화를 줄이기 위해 부도심선 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와중에, [[중전철]]인 4호선보다는 [[경전철]]인 6호선을 연장하는 것이 훨씬 가성비가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분류:캐나다의 도시철도]][[분류: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