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토마스와 친구들/극장판]][[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캐나다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3년 애니메이션 영화]] ||<-2>
{{{#000000 '''{{{+2 토마스와 친구들 극장판: 잃어버린 왕관 }}}''' (2013)[br]''Thomas & Friends: King of the Railw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마스와친구들잃어버린왕관한국극장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마스와친구들잃어버린왕관한국어재더빙판포스터.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 || '''{{{#000000 감독}}}''' ||롭 실베스트리 || || '''{{{#000000 각본}}}''' ||앤드류 브레너, 브리트 알크로프트 || || '''{{{#000000 원작}}}''' ||월버트 오드리 || || '''{{{#000000 제작}}}''' ||브라이언 린치 || || '''{{{#000000 기획}}}''' ||스티브 헤치트, 칼렌 카겐, 제프 영 || || '''{{{#000000 음악}}}''' ||피터 하트숀, 로버트 하트숀 || || '''{{{#000000 제작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HiT Entertainment || || '''{{{#000000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A 투니버스의 구더빙판 한정.] || || '''{{{#000000 배급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HiT Entertainment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A 투니버스의 구더빙판 한정.] || || '''{{{#000000 개봉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3년]] [[9월 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4년]] [[11월 13일]][* 투니버스의 구더빙판 극장 상영일자.][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3월 20일]][* K.NET의 재더빙판 VOD 출시일자.] || || '''{{{#000000 화면비}}}''' ||16:9 || || '''{{{#000000 상영 시간}}}''' ||62분 || || '''{{{#000000 제작비}}}''' ||-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5,202명 ([[다음]])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증기기관차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의 7번째 [[극장판]]이다. 해당 [[영화]]는 2013년 6월 29일에 [[폴란드]]에서 [[최초]]로 공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 11월 13일 CJE&M([[수입]]/[[배급]]) 투니버스([[방영]]) CIC Media[[한국어]] [[더빙]] [[녹음]] 및 [[제작]]을 맡아서 [[제작]]했으며 2018년 3월 20일 K.NET ([[수입]]/[[배급]]) 코코믹스 ([[한국어]] [[더빙]]판 [[제작]]) 구센 미디어 ([[한국어]] [[번역]]) 디어컬쳐 ([[우리말]] [[녹음]]/[[믹싱]]) 맡아 [[재더빙]]판을 [[제작]]했다. == 예고편 == [youtube(aucqCUnJVPk)] == 줄거리 == [[전설]]의 [[왕관]]과 사라진 [[친구]]는 어디에?! 오랜 [[여행]]을 마치고 [[소도어 섬]]으로 돌아온 로버트 백작은 오래된 울프스테드성을 재건하기 위해 [[토마스와 친구들]]의 힘을 빌리는 한편, [[증기 기관차]] 초기에 만들어진 스티븐을 복원시킨다.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온 스티븐은 재건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노력]] 하던 중 커다란 위험에 빠져 친구들과 연락이 끊기고 마는데... == 등장인물 == 해당 항목은 극장판 토마스와 친구들: '''잃어버린 왕관'''에 나온 등장인물들을 소개하는 항목이다. === 기존의 등장인물 === *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토마스]] * [[에드워드(토마스와 친구들)|에드워드]] * [[헨리(토마스와 친구들)|헨리]] * [[고든(토마스와 친구들)|고든]] * [[제임스(토마스와 친구들)|제임스]] * [[퍼시(토마스와 친구들)|퍼시]] * [[토비(토마스와 친구들)|토비]] * [[에밀리(토마스와 친구들)|에밀리]] * [[스펜서(토마스와 친구들)|스펜서]] * [[디젤(토마스와 친구들)|디젤]] * [[스칼로이(토마스와 친구들)|스칼로이]] * 르네이어스 * [[루크(토마스와 친구들)|루크]] * 빅터 * 로지 * 윈스턴 * 애니 * 클라라벨 * 헨리에타 * 로키 * [[사장님(토마스와 친구들)|뚱보 사장님]] * 기관사 * 화부 * 일꾼 아저씨들 * 소도어 브라스 밴드 * 크랭키 * 빅 미키 === 새 등장인물 === * 스티븐 * 밀리 * 코너 * 케이틀린 * 소도어 백작 == 평가 == 토마스와 친구들 팬들 사이에서는 매우 호평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4년 투니버스의 훌륭한 더빙과 번역 등 제작을 잘 해주었고 예고편과 뮤직비디오, 홍보에도 많은 투자를 하였던 작품이라 인지도가 높다. 2018년 K.NET이 재더빙을 하여 다양한 OTT 채널에서 시청이 가능했었다. 토마스와 친구들쪽에서도 더빙을 잘 한다는 일본보다 한국은 더 훌륭하게 제작을 하였으며 일본과 다르게 한국의 투니버스와 K.NET 전부 삽입곡들(함께 일해요!, 다 함께 찾아봐요. 오늘은 참 좋은 날) 더빙해주었다. == 출시일 == || 2013년 6월 29일 || 폴란드 || || 2013년 8월 23일 || 영국; 극장 || || 2013년 8월 29일 || 독일; 극장 || || 2013년 9월 2일 || 영국; DVD || || 2013년 9월 15일 || 헝가리/루마니아/미국; TV || || 2013년 9월 17일 || 미국/네덜란드; VOD || || 2013년 9월 24일 || 네덜란드; DVD || || 2013년 10월 2일 || 호주/스웨덴 || || 2013년 11월 7일 || 멕시코 || || 2013년 11월 15일 || 핀란드 || || 2013년 11월 22일 || 독일; DVD || || 2014년 2월 5일 || 노르웨이 || || 2014년 4월 18일 || 독일; TV || || 2014년 5월 1일 || 덴마크 || || 2014년 10월 15일 || 일본 || || 2014년 11월 13일 || 한국; 극장; 구더빙판 || || 2015년 2월 22일 || 한국; TV; 구더빙판 || || 2018년 3월 20일 || 한국; VOD; 재더빙판 || == 여담 == * [[한국]]에서는 이 [[영화]]의 [[DVD]]가 출시되지 않았다. * 해당 [[영화]]의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2018년에 VOD로 출시된 K.NET의 재[[더빙]]판에서는 [[김혜성(성우)|김혜성]] [[성우]]도 함께 참여했다. * [[네덜란드]]의 [[네덜란드어]] 더빙판이 들어있는 DVD에서는 해당 영화의 5.1의 서라운드 오디오 더빙으로 들어있었다. * [[한국]]에서는 구[[더빙]]판 [[한정]]으로 오직 이 [[영화]]의 [[크레딧]]에서만 등장한 [[캐릭터]]들과 그 캐릭터들 역을 맡은 성우들을 자세하게 써놓았으나, 몇 캐릭터들은 적혀있지 않았다. * [[영어]] [[더빙]]판에서는 마크 모라한(Mark Moraghan) [[성우]]가 이 [[영화]]에서 최초로 해설을 맡았다. * [[덴마크어]] [[더빙]]판에서는 Lars Mikkelsen 성우가 이 [[영화]]에서 처음으로 [[해설]]을 맡았다. * [[우크라이나어]] 더빙판에서는 Denis Bespalyy 성우가 이 영화에서 처음으로 해설을 맡았다. *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김승준(성우)|김승준]] 성우가 마지막으로 해설을 맡은 [[영화]]이다. * [[한국]]에서는 [[같은 언어, 다른 녹음|이 영화의 더빙판이 총 2개가 존재한다.]][* 투니버스 더빙판 (2014) / K.NET 더빙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