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소설가]][[분류:영국의 시인]][[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1840년 출생]][[분류:1928년 사망]][[분류:웨스트민스터 사원 안장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배우, rd1=톰 하디)] [include(틀:BBC 선정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시인)] ||<-2> {{{#white '''토머스 하디'''}}}[br]{{{+2 {{{#cd9f51 '''Thomas Hardy'''}}}}}}[br]{{{-1 [[훈장(상훈)/영국#s-2.4|{{{#fff '''O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omas-hardy-hulton-archive.jpg|width=100%]]}}}||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출생''' ||[[1840년]] [[6월 2일]] || ||[[잉글랜드]], 도싯, 스틴스퍼드 || ||<|2> '''사망''' ||[[1928년]] [[1월 11일]] (향년 87세) || ||[[잉글랜드]], 도싯, 도체스터 || || '''직업''' ||소설가, 시인 || || '''문학 사조''' ||[[자연주의#s-1|자연주의]], [[빅토리아 시대|빅토리아]] 문학 || ||<|3> '''대표작''' ||[[테스|더버빌 가의 테스]] {{{-2 (Tess of the d'Urbervilles)}}} || ||광란의 무리를 떠나서 {{{-2 (Far from the Madding Crowd)}}} || ||이름 없는 주드 {{{-2 (Jude the Obscure)}}} || || '''서명''' ||[[파일:585px-Thomas_Hardy_signature.svg.png|width=117]] || ||<-2><#fff,#1f202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킹스 칼리지 런던]][* [[https://www.kcl.ac.uk/people/thomas-hardy|King's People - Thomas Hardy]]] || || '''수훈''' ||[[훈장(상훈)/영국#s-2.4|메리트 훈장]] (OM)[* Order of Merit] {{{-2 (1910년)}}} || ||<|2> '''묘소''' ||스틴퍼드 교구 교회[* 그의 심장이 묻혀있다.] || ||[[웨스트민스터 사원]] 시인의 코너[* 그의 유해가 묻혀있다.[br][[https://www.westminster-abbey.org/abbey-commemorations/commemorations/thomas-hardy|Westminster Abbey – Thomas Hardy]] 참고.] || ||<|2> '''배우자''' ||엠마 길포드 {{{-2 (Emma Gifford)}}} ^^(1874년 결혼 - 1912년 사별)^^ || ||플로렌스 더그데일 {{{-2 (Florence Dugdale)}}} ^^(1914년 결혼)^^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 [[빅토리아 시대]]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로, 사회 전반에 대한 깊이있는 통찰를 통하여 영국의 농촌 사람들이 몰락하는 상황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하다. == 생애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homas-Hardy-1914.jpg|width=210]]}}} || || {{{#white 1914년경의 토머스 하디}}} || 잉글랜드 도싯 주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독서를 좋아한 어머니 덕에 어려서부터 문학에 관심이 많았으나 가정형편이 어려워 건축가의 도제 생활을 거쳐 제도사로 일했다. 1862년 [[런던]]으로 이주한 후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근대어학(Modern Languages)과 프랑스어를 전공했으며, 이 기간 홀로 습작하며 작가의 꿈을 키워갔다. 1868년 첫 소설 '''가난한 남자와 귀부인'''을 탈고했으나 정치적 논란을 일으킬 것이라는 이유로 끝내 출간되지 못했다. 1871년 '''절박한 해법''', 1872년 '''푸른 숲 나무 밑에서'''를 잇달아 출간한 뒤 잡지 연재 제의를 받고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대표작으로는 장편소설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테스|더버빌 가의 테스]]''', '''무명의 주드''' 등이 있다. 작품 대부분이 그가 태어났고 소설가로 성공한 후에도 살았던 [[웨식스]] 지방을 무대로 하는데, "캐스터브리지"는 그가 살던 도체스터를 변형한 가상의 도시이다. 한정된 지역을 무대로 삼았으나 그 지역색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을 초월하는 가치와 당대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작품들로 작가적 역량을 인정받았다. 또한 19세기 말 영국의 인습과 편협한 종교 · 제도를 비판하고, [[빅토리아 시대]]의 통념에서 벗어난 파격적인 도덕관을 보여주어 독자들로부터는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나, 교회와 보수 진영으로부터 공격받았다. '''무명의 주드''' 출간 후 격렬한 비난을 받고 분서의 수난까지 겪자 소설 집필을 접고 시 쓰기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장편 서사시극 '''제왕들''' 3부작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창작 활동을 했다. 1910년 영국 왕실로부터 메리트 훈장(Order of Merit)을 받았다. 이 시기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나 수상엔 실패하였고, 11년 뒤인 1921년에 다시 노벨상 후보에 오르지만 수상엔 실패한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브리스톨 대학교]]와 [[애버딘 대학교]]에서도 하디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 당대의 대문호였기 때문에 왕족을 비롯한 수 많은 사회 저명인사들이 [[https://www.nationaltrust.org.uk/max-gate/lists/highlights-of-max-gate|그의 집]](Max Gate)을 방문했으며, 그의 집은 영국 내셔널트러스트 (National Trust)에 의해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1928년 1월 11일 88세로 영면한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다.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고향에 묻히고 싶어 했던 고인의 뜻에 따라 심장은 도체스터에 있는 아내 무덤 곁에 묻혔다. == 하디의 작품들 == ||<|2> '''연도''' ||<-2> '''작품명''' || || '''한국어''' || '''영문''' || || 1867년 || 빈자와 숙녀 || The Poor Man and the Lady || || 1871년 || 필사적 수단 || Desperate Remedies || || 1872년 || 녹림 나무 || The Greenwood Tree || || 1873년 || 두 파란 눈 || A Pair of Blue Eyes || || 1874년 ||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 || Far from the Madding Crowd || || 1878년 || 귀향 (歸鄕) || The Return of the Native || || 1882년 || 탑 위의 두 이 || Two on a Tower || || 1886년 ||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 The Mayor of Casterbridge || || 1887년 || 삼림인 || The Woodlanders || || 1891년 || [[테스|더버빌 가의 테스]] || Tess of the d'Urbervilles || || 1895년 || 무명의 주드 || Jude the Obscure || == 관련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0HZk1dEqs, 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WHQTyxGcY0, height=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