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토요타 수프라)] ||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R 수프라.jpg|width=100%]]}}} || || [[토요타 가주 레이싱#s-4.2|[[파일:Toyota_GR.svg|width=5%]]]] [[토요타 수프라|[[파일:토요타 수프라 로고.png|width=10%]]]] || [목차] '''TOYOTA GR SUPRA''' '''トヨタ・スープラ / ジーアール スープラ''' == 개요 == [[토요타 수프라]]의 5세대 모델이다. ==# 출시 전 정보 #== 상당히 긴 개발기간 및 출시 연기 기간이 있었던 만큼 5세대 수프라는 공개되기 전 다양한 모습으로 대중들 앞에 나타났다. [[파일:ft86-2_04.jpg|width=600]] 수프라의 부활에 대한 떡밥은 2011년에 출품된 FT-86 II 컨셉트카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후면부에서 뜬금없이 A80 수프라가 특징적으로 사용했던 부트 라인과 라이트 배치가 사용되어 네티즌들 사이에서 이 차량은 사실 수프라의 후속으로 나올 것 아니냐는 루머가 돌았지만, 확실한 증거가 없었기에 단순한 썰로 마무리되었다. [[파일:external/www.chicagoautoshow.com/Toyota_FT1_1.jpg|width=600]] [[파일:external/www.gran-turismo.com/i1SmbLZZMum3jb.jpg|width=600]] 3년 뒤인 2014년에 공개된 FT-1 컨셉트와 FT-1 [[비전 그란 투리스모]]. 이 시기부터 수프라가 부활한다는 것은 썰이 아닌 사실로 변하기 시작했는데, 토요타에서 BMW와 합작해 새로운 수프라를 만들겠다는 언급을 한 것도 이 시기. 이 컨셉트카 하나로 훗날 공개되는 수프라에 관한 디자인적 힌트들을 많이 남겼으며, [[토요타 2000GT|2000GT]], [[토요타 셀리카|셀리카]], A80 수프라, FT-86의 흔적 또한 숨겨놓았다. 많은 차들이 양산 단계로 들어가게 되는 토요타 컨셉트 카의 특징으로 전례인 FT-86과 LF-LC에서 보듯 이 FT-1의 디자인은 실제로 신형 수프라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파일:GR-Supra-Racing-Concept-02.jpg|width=600]] 2018 제네바 모터쇼에서 수프라 레이싱 컨셉트카가 [[https://www.youtube.com/watch?v=qI2qj2QB62Q|공개되었다.]] 전면부 및 후면부에서의 소소한 디자인 변화가 보이지만, FT-1 컨셉트카의 전체적인 실루엣과 외관적 디테일은 그대로 따르는 모습이다. 출시 이후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에 무료 추가 차량으로 수록되었으며[* LM GTE 규정에 맞춰진 거라 카테고리는 Gr.3며, 인게임 가격은 일반적인 Gr.3차량과 같은 450,000크레딧이다.], 양산형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각종 모터쇼와 행사에도 종종 등장하였다. 또한 [[https://www.youtube.com/watch?v=euWHhDjExnI|출시 직후 공개된 토요타 글로벌 수프라 영상]]을 자세히 보면, 레이싱 데칼이 없는 순정 상태의 수프라를 유추 가능하기도 했다. 이후 사진 속 수프라는 RACB GT4 호몰로게이션 차량으로 발전하여 커스터머 레이싱에 등장한다. [[파일:supra-goodwood-3.jpg|width=600]] 이미 뉘르부르크링에서 개발중의 테스트 모델이 여러차례 포착된 바 있는 양산형 모델은 2018년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그래픽 위장막을 쓴 채 공개되었으며, 2019년 정식 출시되기 이전까지는 각종 행사에 이 형태로 등장했다. == 상세 ==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_(1).jpg|width=100%]]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_(3).jpg|width=100%]]}}} || ||<-2> [[토요타 가주 레이싱#s-4.2|[[파일:Toyota_GR.svg|width=5%]]]] [[파일:토요타 수프라 로고.png|width=10%]] || [[BMW]]와 공동 개발한 차로, 같은 플랫폼을 쓰는 3세대 [[BMW Z4|Z4]]보다 먼저 출시될 예정이였으나 거듭된 출시 지연으로 인해 Z4보다 수 개월 늦게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이 세대부터는 [[오스트리아]]의 [[마그나 슈타이어]]에서 하청 생산하여 [[BMW Z4]]와 같은 생산라인을 사용한다. 2019년 1월 14일에 개최한 NAIAS의 프레스 데이에 JZA80 수프라가 단종 된 지 17년만에 후속 모델이 정식으로 데뷔했다. 정식 모델 명은 GR[*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의 역자이다. 토요타의 모터스포츠 팀 이름이면서 고성능 브랜드이기도 하다.] Supra로, 토요타 모델 중 최초로 기본 모델이 GR의 이름을 붙여서 나온 사례가 되었다. [[토요타 셀리카]] 시절부터 이어져 온 수프라의 전통에 따라 차량의 코드명을 A90이라고 부르던 각종 매체의 이야기와는 달리 해당 이름은 초도물량 한정판의 트림 이름으로 채용되었을 뿐, 진짜 섀시 코드명은 일본 내수형 기준 각각 SZ 모델이 DB82, SZ-R이 DB22, 그리고 최고사양인 RZ가 DB42로 트림마다 나뉜다. 이전에 많은 매체에서 보도된 대로 [[BMW Z4]]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며, 센터페시아 및 센터 콘솔에는 스크린[* iDrive 6 기반에 수프라 테마만 넣은 것이다.]과 컨트롤러도 자리잡혀 있다. 파워트레인은 Z4의 M40i 트림에서 사용된 [[BMW B58 엔진|B58]] 직렬 6기통 트윈 스크롤 터보 엔진을 사용하여 최고출력 340마력, 0-100km/h 가속은 4.3초를 기록한다. 토요타는 형제차인 Z4와 달리 쿠페 스타일의 바디라인으로 과거 [[렉서스 LFA]]의 카본 모노코크 섀시보다 더욱 높은 강성을 확보했다. 그리고 전체 전장과 휠베이스의 길이 비율이 1.5:1로 황금비율에 가까워 이상적인 코너링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어디까지나 주장일 뿐이다. [[황금비]]는 어떠한 선으로 이등분하여 한쪽의 평방을 다른쪽 전체의 면적과 같도록 하는 분할 방법일 뿐인거지 이걸 코너링이 좋아진다는 건 자동차 공학이 아닌 유사과학에 가까울 정도이다. 그렇다고 코너링이 나쁘다는 말은 아니지만 그래도 저런 유사과학에 가까운 말은 단순히 마케팅 용도이다.] [[파일:toyota-gr-supra-a90-edition-16.jpg]] 시작 가격은 미국 기준으로 5만 달러 전후, 트림은 간결하게 Active와 Premium으로 나뉘어 직설적인 이름에 걸맞게 각각 스포츠 성향과 프리미엄 성향을 지향하고 있다. 스톰 그레이 보디 색상과 좌우 비대칭형 색상 인테리어가 들어가는 A90 에디션이 90대 한정 판매될 예정으로, 이후 모델들의 초기 생산량은 유럽 300대, 미국 900대로 예정되어 있다. 일본 내수형은 구형과 동일하게 SZ-R, RZ로 나뉘며, 이 중 SZ-R은 BMW의 [[BMW B48 엔진|B48B20B]]을 장착한 2.0L 4기통 모델로, 이는 튜너들의 [[엔진 스왑]] 및 보급형 모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hrsOw_4EtGk|의도에 부응하듯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세대 수프라의 엔진으로 스왑된 드리프트 카가 등장했다.]][* [[사이토 다이고]] 선수의 드리프트 머신이다. 이쪽은 세계구급 프로 드리프트 팀에 토요타가 직접 선행 양산 차량을 기증한 것으로, 직렬 6기통의 풀 옵션(RZ) 사양이다. 엔진은 상술한 3.4L HKS 보어업 킷을 적용하여 800마력에 90kg.m의 토크를 뿜어낸다.][* 다만 한국의 경우는 엔진 스왑 구조변경을 할 때 스왑되는 엔진의 출력이 기존보다 높아야 하며 배출가스 기준이 기존의 엔진과 같거나 더 최신 규격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기에(ex. 유로 5 → 유로 6(가능), 유로 5 → 유로 5(가능), 유로 5 → 유로 4(불가능)), 이전세대의 엔진이라면 구조변경 승인이 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신형 수프라는 과거처럼 [[닛산 GT-R]]과의 직접적인 경쟁은 없으며, GT-R 자체가 R35를 기점으로 [[JDM]] 스포츠카에서 슈퍼카의 경지로 넘어간지 오래인 반면 수프라는 예전처럼 400마력 이하의 컴팩트한 역사를 이어나게 되면서 차급이 엄연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공개된 제로60마일은 [[https://www.toyota.com/content/ebrochure/2021/gr-supra_ebrochure.pdf|미국 사양 기준 4기통 사양이 5초, 6기통 사양이 3.9초]]로 차후 고성능 버전도 출시한다는 루머가 있으나, 그걸 감안해도 현재 스펙으로는 오히려 추후 출시될 [[닛산]]의 [[닛산 페어레이디 Z|페어레이디 Z]]와 경쟁할 확률이 높다. 익스테리어는 전체적으로 FT-1의 디자인을 그대로 옮겨놨다는 평으로, 컨셉카 시절과 동일하게 이전 수프라의 GT 스타일보다는 BMW 1세대 Z4 M처럼 롱 노즈 숏 데크 스타일의 해치백형 쿠페 스타일인데, 이는 과감하게 짧아진 휠베이스의 영향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과거 FT-1 시절부터 호불호가 매우 크게 갈려 왔는데, 줄곧 제기되어 왔던 "수프라스럽지 않다"는 평이 존재하며, GT카가 아닌 퓨어 스포츠카 성향의 패키징 때문에 "이 차는 수프라가 아니라 셀리카로 나왔어야 한다"[* 이 의견은 같은 시기에 나왔던 [[KG 코란도/4세대|뷰티풀 코란도]]가 [[KG 티볼리|티볼리]]의 중자 버전이라는 혹평을 받은것과 궤를 같이 한다.], "[[렉서스 LC]]가 사실 진짜 수프라다"[* 2+2인승 GT 카, 심플하면서 밑 부분의 브레이크 쿨링 덕트로 포인트를 준 측면 바디라인, 심지어는 볼륨감을 강조한 후면부 구성까지 수프라와의 유사성이 보인다. 수프라가 출시 당시 일본 내에선 대배기량 고급 스포츠카 포지션이였다는 점 마저도 현 LC의 포지션과 상당수 겹치는 편.][* 하지만 이 말도 모호한게 LC는 어디까지나 소아라의 후속이다. 실제로 소아라는 수프라의 윗급으로 팔렸던 퍼스널 럭셔리카다. 가격만 봐도 LC는 상당한 고가(...)다. A90 수프라를 셀리카라고 하기엔 셀리카는 80년대 중반에 수프라와 분리가 되면서 전륜구동 쿠페가 된다.]라는 의견도 들리는 상황. 또한 FT-1의 스타일링을 좋아했던 사람들도 막상 출시된 양산 모델의 껑충한 비율 때문에 실망감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렉서스]]의 [[렉서스 LC|LC]]와 [[렉서스 LS|LS]]에 사용하는 TNGA GA-L 플랫폼을 사용하면 FT-1에 훨씬 가까워졌을꺼라면서 아쉬워하는 반응도 상당한 편이다. FT-1의 디자인을 [[BMW Z4]]의 바디에 옮기려니 컨셉과 동떨어진 모습에 아쉽다는 의견이 굉장히 많다. 물론 스포츠 드라이빙에 특화된 A90 수프라의 경우 TNGA GA-L 플랫폼 대신 CLAR아키텍처를 사용하면서 운동성능면에서는 엄청난 향상을 얻었으니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는 없는셈...90년대 [[사브 900]] 2세대 모델 같은 경우도 사브가 GM산하로 들어가며 [[사브 9000]] 플랫폼에 맞게 디자인된 차를 [[오펠 벡트라]] 플랫폼에 맞게 수정하느라 상당히 애를 먹었다고 한다.] 허나 자세히 보면 전세대 수프라 및 토요타의 특징이 곳곳에 있다. 프론트는 범퍼의 과격한 형상에 가려지는 경향이 있으나 파트 하나 하나를 따로 본다면 A80 수프라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이 대부분이며, 특히 전조등 부분은 프론트 범퍼와 전조등 커버 형상을 바꾸면 A80이 연상된다. [[https://g-cbox.pstatic.net/20190122_73/1548124296786CiNoJ_PNG/Screenshot_2019-01-20-03-54-11.png|예시 1]][* [[https://www.instagram.com/romanmiah/|출처]]] [[:파일:혼종수프라.jpg|예시 2]] 사이드에서는 과거 토요타가 출시한 스포츠카의 플래그십 모델인 2000GT와 4세대 A80 수프라의 디자인을 오마주한 느낌이 드러난다. 후면을 들여다보면 후미등은 A80처럼 4발 원형으로 되어있지 않아 티가 나는 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이를 제대로 의식한 디자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라이트의 배치와 부트라인, 그리고 은은하게 솟아나온 덕테일 리어 스포일러까지 유사성이 짙어 거의 리파인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다.[* [[https://m.post.naver.com/viewer/image.nhn?src=https%3A%2F%2Fpost-phinf.pstatic.net%2FMjAxOTAxMjJfMjYx%2FMDAxNTQ4MTA5NTk0Nzcw.7l0nvSKIuW_XVMnzorCloxbKXf5saHCwnuAkrfIXhAEg.YgGcEnuuF7jw3d62pqresDmCpGaHIHbtC_zww7808BMg.JPEG%2F2019-01-21.jpeg|원형 램프와 싱글 배기구만 달아도 수프라의 느낌이 확 살아난다. 다만 이는 후미등의 끝 쪽 디테일 수정과 리어윙의 영향이 크다.]] 예시 1과 같은 페이지에서 발췌.] 또한 A80의 특징으로 있었던 콕핏형 디자인을 불완전하게라도 표현하면서, 수프라의 연결고리를 잃지 않으려는 모습.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 헤리티지 에디션_(1).jpg|width=100%]]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 헤리티지 에디션_(2).jpg|width=100%]] || ||<-2> {{{#000 '''GR 수프라 헤리티지 에디션'''}}}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 3000GT 콘셉트_(1).jpg|width=100%]] || [[파일:2019 토요타 GR 수프라 3000GT 콘셉트_(2).jpg|width=100%]] || ||<-2> {{{#000 '''GR 수프라 3000GT 콘셉트'''}}} || || [[파일:2020 토요타 GR 수프라 스포트 탑 콘셉트_(1).jpg|width=100%]] || [[파일:2020 토요타 GR 수프라 스포트 탑 콘셉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토요타 GR 수프라 스포트 탑 콘셉트_(3).jpg|width=100%]]}}} || ||<-2> {{{#000 '''GR 수프라 스포트 탑 콘셉트'''}}} ||}}} || ||<-2> {{{#ffffff '''GR 수프라 쇼카'''}}} || 이런 유서깊음을 강조하는 지 토요타 미국 법인은 4세대 수프라를 닮은 헤리티지 에디션과, 스페셜 모델 "TRD 3000GT"를 오마주한 쇼카를 2019년 SEMA에 내놓은 적이 있다. [[https://pressroom.toyota.com/500-horsepower-gr-supra-heritage-edition-contender-nods-to-supras-past/|#]] [[https://www.motor1.com/news/380524/toyota-supra-gr-3000gt-concept/amp/|#]] 허나 이러한 오마주들이 직접적으로 티 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인스타그램이나 비핸스 등지에서 투고된 아마추어 및 현직 디자이너들의 렌더링이 더욱 더 후속 모델임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나왔다는 점에서 "수프라를 좋아하는" 소비자들이 원하던 디자인과는 동떨어져 있음을 보여주었다. 베르토네([[람보르기니 쿤타치]], [[란치아 스트라토스]] 등의 개발에 참여한 디자인 회사)의 전 디자이너이자 현 [[혼다]]의 리드 디자이너인 Giulio Partisani가 구상한 5세대 수프라 "MK V AE"가 화제가 되기도 했으며, 앞서 서술한 [[렉서스 LC]]를 베이스로 해당 차종으로의 가상 컨버전 바디킷까지 그려낸 바 있다. [[http://www.speedhunters.com/2018/08/this-should-have-been-the-new-supra/|#]][* 렌더링의 베이스가 된 모델은 [[마쓰다]]의 RX 비전 컨셉이다.] 의외의 요소로 범퍼 교체 등의 커스터마이징을 고려한 흔적인지 각 범퍼 및 사이드 덕트의 파팅 라인은 매우 직관적이고 각 부분의 모양을 해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이러한 디자인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DIY|애프터마켓 파츠로 갈아 끼우라는]] 의도로 일부러 이렇게 만든(...) 것임을 주장하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이런 의도에 부응하듯 출시로부터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많은 애프터 마켓 파츠가 나오고 있으며, 여기에 4세대 수프라 스타일의 둥근 리어 윙까지 출시되었다. 그러나 수 년간 출시되어 온 각종 바디킷들의 프론트 범퍼 형상은 원본과 크게 다르지 않는 정도로 그치고 있는데, 이는 프론트 그릴 왼쪽 가장자리에 숨어있는 전방 레이더 센서 유닛 때문으로[* 물론 이 부분을 무시하고 그냥 [[https://www.topgear.com.ph/news/car-news/sard-tuned-toyota-supra-a962-20201127|앞범퍼에 주먹만한 구멍을 뚫어버린 경우]]도 존재한다.], JDM 팬들이 바라는 4세대 수프라 스타일의 클래식한 바디킷을 실현해내기에는 앞으로도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파일:GR-Supra-GT4-50-Edition-01.webp|width=500]] GR Supra GT4 50 Edition 실내는 [[BMW]]의 레이아웃을 답습했고, 인포테인먼트 장치 또한 [[BMW iDrive|iDrive 6.0]]이다. 다만 Z4의 부품과 동일한 경우는 적다. 플랫폼의 문제로 종래의 2+2에서 2인승으로 변경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무난한 인테리어라는 평이나 스티어링 휠만큼은 역대 토요타 모델 들 중 최악의 디자인으로 혹평을 미친 듯이 샀다.[* [[대한민국]]에선 아직 다룬 매체가 없어 반응을 살펴볼 수는 없으나, 다른 국가에서의 반응은 비교적 긍정적이였던 [[토요타 86]] 때와는 달리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잘 돌아왔다", "컨셉트카 대로 잘 나왔다" 라는 평과 "[[나의 아스카는 그러지 않아|나의 수프라는 이렇지 않아]]", "토요타 마크를 단 Z4 M 쿠페" 라는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염가형 BMW Z4는 토요타의 신형 수프라" 같은 식의 실망감이 섞인 의견이 공존하고 있으며, --게다가 [[쉐보레 콜벳|콜벳]]이 미드쉽으로 갈아타고도 60,000달러에 나왔다.-- 구형 수프라 및 타 토요타 차량들과 같이 상대적으로 격렬한 외관 디자인을 선호하던 일본 국내에서도 "촌스럽다"는 반응으로 매우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토요타는 M 엔진이나 JZ 엔진 등의 고성능 직렬 6기통 엔진을 오랫동안 생산한 경력이 있음에도 BMW의 엔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더럽혀진 수프라의 순수성(...)과 3JZ를 개발하지 않은 토요타의 게으름을 논하는 네티즌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토요타가 직렬 6기통 엔진 제작을 그만 둔 게 2002년 배기가스 규제 문제 때문이였고, 각지의 강력한 환경규제를 통과하는 직렬 6기통의 생산이 가능한 기업[* [[현대자동차그룹]],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이 현저히 적은데[* 같은 출력에 더욱 환경친화적이고 실용적인 구성을 가진 V6 엔진마저도 배기가스 문제로 사장되어가는 상황에서, 비주류에 속하는 직렬 6기통을 새로 개발해 안고 간다는 것은 상당한 리스크에 해당하기도 한다.] 현재 그러한 기술을 새로 개발할 명분이 없는 토요타 입장에서는 공동개발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 내수 전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SZ-R 트림은 4기통 모델로, 루머대로 [[스바루]]의 FA20 수평대향 4기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최고출력 255마력의 [[BMW B48 엔진|BMW B48B20]] 2,000cc 직렬 4기통 트윈 터보 엔진을 사용한다. 이로써 6기통 버전 뿐만이 아니라 4기통 엔트리급에도 자체 엔진이 들어가지 않는다.[* 토요타는 렉서스 브랜드로 후륜구동 기반 차량을 꾸준히 생산중이며 특히나 IS200t의 경우 장착된 8AR-FTS 엔진은 2.0L 4기통 터보, 최고출력이 200마력대 중반이라는 공통점까지 보인다. 또한 이와 같은 후륜구동 차량에 대응되는 변속기도 전부 토요타에서 자체 생산 중이다.] 앞서 서술된 것처럼 생산의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한 모양새로, 나쁘게 말하면 여전히 토요타 차량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 된다.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dica&No=105392&bm=1|2019년 9월 9일,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위장테이프를 붙이고 주행테스트 중인 수프라가 포착됐다.]] 비슷한 시기 공식 홈페이지에서 [[https://www.toyota.co.kr/inside/supraevent.aspx|간단한 설문조사]]가 시작되었으며, 환경부 인증을 받고 있는 중이라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17&aid=0000451111|소식]]도 공개되었다. 11월 15일 내부 자료가 유출되었다. I6 엔진만 도입되며, 사실상 풀 옵션 사양으로 출시된다. 국내 공인 복합 연비는 9.7km/L. [[https://www.toyota.co.kr/inside/SupraEvent.aspx?utm_source=google&utm_medium=paiddisplay&utm_campaign=supra&utm_content=brand_supra&utm_term=T2&gclid=EAIaIQobChMI4o_k_--Z4wIVUWWLCh2U4wVGEAEYASAAEgKN8fD_BwE|한국토요타 GR 수프라 링크]] [[대한민국]]에서는 2020년 1월 21일에 출시되었으며 초도 물량(스페셜 에디션)은 대략 30대로 들여왔다.[* 2019년 1월 18일 기준으로 한국토요타 직원에 의하면 사전계약으로 인해 재고가 4~5대 정도 남았다고 한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2&c1=02&c2=02&c3=00&nkey=202001091522291|#]] 사양은 직렬 6기통 3.0ℓ 트윈터보 가솔린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최고 340마력, 최대 51.0㎏·m의 토크를 발휘한다. 가격은 VAT 포함 7,380만원. 그러나 불매운동 여파에도 불구하고 초도 물량이 하루만에 완판되었다. [[http://naver.me/564ETAGN|#]] 다만, 30대라는 적은 물량이라는 점과 살 사람은 산다는 점 때문에 불매운동이 완전히 종식되었다고 보기도 힘들며, 다른 차량을 한정으로 팔지 않을 때 물량 완판과 같은 결과가 나올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나 [[닛산 GT-R]], [[혼다 NSX]]같이 특이한 컨셉의 물건들은 불매운동의 여파에서 어느 정도 빗겨간 면도 없지않아 있긴 했다. NSX의 경우에도 한국에 정식으로 출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본차라고 대놓고 배척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이후 2020년 6월 20일 출력을 개선한 2021년형 모델의 사전계약을 개시하였다. 강대환 한국토요타 상무는 "고객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2021년형 모델을 20대 추가로 준비하게 되었다"며 "향후 시장의 반응에 따라 추가 물량 확보도 적극 고려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국내 출고는 내년 초부터 이루어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705523|#]] 2020년 [[북미 올해의 차]]에 [[현대 쏘나타]], [[쉐보레 콜벳]]과 함께 후보로 올랐으나 [[쉐보레 콜벳]]이 수상했다. 토요타에서 이 차량을 모터 스포츠 대표주자로 밀려고 하는지 여러 모델이 공개되었다. [[NASCAR]] 사양 출시[* 2군 경기인 엑스피니티 시리즈에서 사용한다. 반면 1군급 경기인 몬스터 컵에서는 아직 [[토요타 캠리|캠리]]를 쓰고 있다.]를 시작으로 GT4 사양이 2019년에 출시되었고, 같은 해 클래스 1 사양이[* [[슈퍼 GT]] GT500과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 통합 규정.] 발표되었다. 슈퍼 GT는 500과 300[* JAF-GT. 500은 토요타사에서 제작하는 모델이지만 300은 사이타마 토요펫트 Green Brave팀에서 각각 자체제작한 모델이다.] 모두 출전. 이 외에도 한국 시장 홍보를 위해 2020년 [[슈퍼레이스]] 레이스카는 수프라 카울을 사용한다.[* 다만 [[김의수]] 감독의 후일담에 의하면 계약이 끝난 19년 5~6월 이후에 '''[[한일 무역 분쟁]]'''이 터졌는데 이미 계약을 마친 상태라 씁쓸하지만 바꿀 수는 없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당초 2022년까지 계약이 되었으나 2023년까지로 연장되었다. 아무래도 2020년 시즌과 2021년 시즌 대부분을 무관중 경기로 치른 것으로 인한 홍보효과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후 성능이 좋았는지 슈퍼 GT GT300 클래스에서 GR 수프라 경주차를 쓰는 팀들이 많이 보였다. 처음 사용한 사이타마 토요펫트 Green Brave는 물론이고, 2021년에는 LM corsa와 MAX Racing이 GR 수프라를 채용했고[* 두 팀 모두 2020 시즌에는 RC F GT3을 채용했었다.], 2021시즌까지 [[포르쉐 911 GT3]]을 썼던 츠치야 레이싱도 2022 시즌에 GR 수프라로 경주차를 갈아탔다. --오죽하면 2022년 슈퍼 GT GT300 클래스에서 포르쉐가 아예 안 나온다는 이야기도 나올 정도니 말 다한 셈이다.-- == [[SARD|사드]] 수프라 90 == == 제원 == ||<-2> {{{#d60123 {{{+1 '''토요타 수프라'''}}}/5세대}}} || || {{{#ffffff '''가격'''}}} || 78,600,000원[* 23년식 기준, VAT 포함] || || {{{#ffffff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슈타이어마르크 주]] [[그라츠]] [br] ([[마그나 슈타이어]]) || || {{{#ffffff '''코드네임'''}}} || J29/DB82(SZ) [br] J29/DB22(SZ-R) [br] J29/DB42(RZ) [br] J29/DB41(국내, 초도 물량) [br] J29/DB03(국내, 현재)[* 차량의 실제 차대번호에서는 J29 부분은 빼고 표기한다. J29는 플랫폼 코드, DBXX는 차대 코드이기 때문.][* 자세한 J29/DBXX 형태 코드네임들은 [[https://en.m.wikipedia.org/wiki/Toyota_Supra_(J29/DB)#Model_codes|여기]]를 참조.][* 매니아들을 비롯한 일부에서는 '''A90'''이라고도 부른다. 그 이유는 4세대 A80 다음 모델이라서 비공식적으로 A90으로 부르는 것 같다. D1GP 경기에서도 A90이라고 부르는 장면이 목격되었다.] || || {{{#ffffff '''차량형태'''}}} || 2도어 [[쿠페]] || || {{{#ffffff '''승차인원'''}}} || 2명 || || {{{#ffffff '''전장'''}}} || 4,380mm || || {{{#ffffff '''전폭'''}}} || 1,865mm || || {{{#ffffff '''전고'''}}} || 1,305mm || || {{{#ffffff '''축거'''}}} || 2,470mm || || {{{#ffffff '''윤거 (전)'''}}} || 1,594mm || || {{{#ffffff '''윤거 (후)'''}}} || 1,589mm || || {{{#ffffff '''공차중량'''}}} || 1,525kg || || {{{#ffffff '''연료탱크 용량'''}}} || 52L || || {{{#ffffff '''트렁크 용량'''}}} || 290L || || {{{#ffffff '''타이어 크기 (전륜)'''}}} || 255/35R19 || || {{{#ffffff '''타이어 크기 (후륜)'''}}} || 275/35R19 || || {{{#ffffff '''플랫폼'''}}} || [[BMW CLAR 플랫폼]] || || {{{#ffffff '''구동방식'''}}} || [[FR(자동차)|앞엔진-뒷바퀴굴림(FR)]] || || {{{#ffffff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현가장치'''}}} ||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330mm, 4피스톤] || || {{{#ffffff '''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330mm, 싱글 피스톤] || || {{{#ffffff '''스티어링'''}}} || 랙 앤 피니언 || || {{{#ffffff '''OBD 규격'''}}} || OBD-II || ||<-9> {{{#d60123 '''파워트레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과급방식'''}}} || {{{#ffffff '''배기량'''}}} || {{{#ffffff '''최고출력'''}}} || {{{#ffffff '''최고토크'''}}} || {{{#ffffff '''변속기'''}}} || {{{#ffffff '''제로백'''}}} || || {{{#ffffff '''SZ'''}}} ||<|2> [[BMW B48 엔진|BMW B48B20]] [br] [[BMW B46 엔진|BMW B46B20O1]][*a 미국형, [[LEV 프로그램|SULEV30]] 배기가스 규제로 B48 대신 사용] ||<|2> 2.0L 직렬 4기통 ||<|2> 트윈스크롤 싱글터보 ||<|2> 1,998cc || 197ps || 32.7kg·m ||<|2>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ZF]] 8HP45 8단 [[자동변속기]] || 6.6초 || || {{{#ffffff '''SZ-R'''}}} || 258ps || 40.8kg·m || 5.4초 || || {{{#ffffff '''RZ'''}}} || [[BMW B58 엔진|BMW B58B30O1 [br] BMW B58B30C]][*s 초도 물량(스페셜 에디션)] || 3.0L 직렬 6기통 || 트윈스크롤 싱글터보 || 2,998cc || 387ps[br]340ps[*s] || 50.9kg·m ||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ZF]] 8HP45 8단 [[자동변속기]] [br]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ZF]] GS6L50TZ [[6단 수동변속기]] || 3.9초[br]4.3초[*s] || || {{{#ffffff '''모델'''}}} || {{{#ffffff '''SZ'''}}} || {{{#ffffff '''SZ-R'''}}} || {{{#ffffff '''RZ'''}}} || || {{{#ffffff '''복합연비'''}}} || 14.5km/L(일본, WLTC) || 14.0km/L(일본, WLTC) || 10.2km/L || || {{{#ffffff '''탄소 배출량'''}}} ||<-2> 167g/km || 165g/km || || {{{#ffffff '''실린더 보어×스트로크'''}}} ||<-3> 82mm × 94.6mm || || {{{#ffffff '''압축비'''}}} ||<-2> 10.2:1 || 11.0:1 || || {{{#ffffff '''밸브 시스템'''}}} ||<-2> DOHC 16밸브 || DOHC 24밸브 || || {{{#ffffff '''연료 분사 방식'''}}} ||<-3> 직분사 || || {{{#ffffff '''기어비'''}}} ||<-2> 5.25/3.36/2.17/1.72/1.32/1/0.82/0.64 || 5.25/3.36/2.17/1.72/1.32/1/0.82/0.64(자동) [br] 4.110/2.315/1.542/1.179/1/0.846(수동) || || {{{#ffffff '''종감속기어비'''}}} ||<-2> 3.15 || 3.15(자동) [br] 3.46(수동) || || {{{#ffffff '''후진기어비'''}}} ||<-2> 3.71 || 3.71(자동) [br] 3.727(수동) || || {{{#ffffff '''배출가스 등급'''}}} ||<-3> 유로 6d || == 경쟁 차종 == * [[BMW]] - [[BMW Z4|Z4]][* 외형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것을 공유하는 형제차이다.] * [[닛산]] - [[닛산 페어레이디 Z|페어레이디 Z]] * [[아우디]] - [[아우디 TT|TT]]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머스탱|머스탱]][* 에코부스트 한정.] * [[쉐보레]] - [[쉐보레 카마로|카마로]][* LT(6기통) 한정.] * [[포르쉐]] - [[포르쉐 718 카이맨|718 카이맨]] * [[알핀]] - [[알핀 A110|A110]]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타 GR의 차량)] [include(틀:토요페트점의 판매 차량)] [include(틀:넷츠점의 판매 차량)] [include(틀:코롤라점의 판매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토요타 수프라,version=599)] [[분류:토요타 수프라]][[분류:마그나 슈타이어/생산차량]][[분류:201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