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6> '''{{{#!html 토이}}}''' || ||<-6><:><#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4878656.jpg|width=100%]][br] ,,[[#토이 박스|{{{#50280F 토이 박스}}}]],,}}}|| || '''{{{#!html 한국어판 명칭}}}''' ||<-5> '''토이''' || || '''{{{#!html 일어판 명칭}}}''' ||<-5> '''トイ''' || || '''{{{#!html 영어판 명칭}}}''' ||<-5> '''Toy''' || ||<-2> '''{{{#!html 속성}}}''' ||<-2> '''{{{#!html 종족}}}''' ||<-2> '''{{{#!html 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다양]] ||<-2><^|1> '''효과'''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유희왕 R]]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하였다. 시리즈가 계속되며 나폴레옹 교감이나 츠쿠모 유마, 시운인 소라 등 토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여럿 나왔지만 OCG화되고 서포트를 받는 카테고리로 엮인 것은 유우기의 카드들 뿐이다. == 원작 == [[유희왕 R]]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한 테마로 등장. 덧붙여 사일런트 시리즈, 가제트 시리즈, 마슈마론, 간드라와 더불어 무토우 유우기만의 고유 카드이다. 조용히 성장해나가 결국 [[어둠의 유우기|최대의 라이벌]]을 쓰러트릴 만큼 성장한 유우기를 의미하는 사일런트 시리즈와는 다른 의미로 유우기를 상징하는 카드들로, 원작 [[유희왕]] 초반 [[샤디 신|샤디]]가 천년 열쇠를 이용해 마음의 방을 엿봤을 때 유우기의 방에 많은 장난감이 놓여있던 장면을 오마주하는 것으로 유우기의 상냥함과 순수한 마음을 표현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등장인물인 [[나폴레옹(유희왕)|나폴레옹 교감]] 역시 같은 이름의 테마를 사용했다. 공교롭게도 두 작품의 연재 및 방영 시기는 2006년 1월로 거의 동시기였는데 주요 몬스터의 이름이 '토이 솔저'라는 것까지 겹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V점프]] 2006년호를 통해 [[토이 매지션]]이 발매된 것이 처음으로, 이후 긴 시간이 흐른 후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2024]]의 신규 카드 발매를 통해 정식 카테고리화되었다. 먼저 발매된 [[토이 매지션]]을 따라 소속 몬스터는 전원 레벨 4 / 빛 속성 몬스터로 통일되어 있다.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처럼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소생하는 공통 효과를 가졌다. 다만 [[토이 매지션]]은 12기에 등장한 후속 카드들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다. 또한 서포트하는 몬스터 범위에 같이 사용된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다크 레드 인챈터]]가 포함된다는 특징이 있다. == 성능 == 단독으로 굴리기는 테마 내 카드 자체가 적고 구심점이 되어줄 에이스 몬스터가 없는데다[* 다만 굳이 대상 몬스터 3장을 지정하지 않고 토이라는 표기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지정하는 걸 보면 향후 OCG 오리지널을 통한 추가지원을 기대해볼 수는 있다.] 토이 박스 외에는 세트한 토이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단도 없어서 여러모로 힘들다. 원작에서도 다른 카드군 몬스터와 같이 쓰이곤 했으니 사실상 토이 솔저의 서치 범위에 들어가는 몬스터가 있는 덱이나 마법, 함정 존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게 주요 전술인 덱에서 용병으로 쓰게 될 것이다. 파츠로서는 매지션즈 소울즈나 죄보 등과 궁합이 좋아 아드를 쉽게 늘릴 수 있다. 거기에 빛 속성 / 4레벨이라는 매우 폭 넓은 서치 범위를 가지고 있기에 서큘러를 주축으로 한 [[참기(유희왕)|참기]] 등과도 같이 쓸 수 있다. 원작 캐릭터 덱을 재현하는 팬 덱으로서도 훌륭한 범용성을 갖추고 있다. 소울즈를 필두로 한 블랙 매지션 덱과 궁합이 좋을 뿐더러, 널럴한 서치 범위와 종족 덕에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사일런트 매지션]]과도 문제 없이 어우러지고 [[트럼프의 삼총사]]는 비록 서치해와도 쓸만한 몬스터는 임페리얼 바우어 정도밖에 없지만 빛 속성 4축이란 점에서 궁합이 좋다. [[데몬 소환]] 등 상급 몬스터라 소환 자체가 힘들었던 카드들이나 소환권이 부족해 연계가 어렵던 카드들을 토이 탱크로 소환할 수도 있다. 심지어 [[홀리 엘프]]와 리메이크 카드인 [[홀리 엘프-홀리 버스트 스트림]]도 서치 범위에 들어가는데, 이론상 블랙 매지션 덱 등에서 퍼미션으로 쓸 수 있음에도 서치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단순한 팬서비스 카드로써 잊혀져 있었으나 토이 파츠를 쓴다면 실 사용을 목적으로 덱에 투입이 가능해졌다. 비슷한 시기에 공개된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빛의 황금궤 관련 카드들]]은 유우기의 덱을 무리하게 테마로 엮으려 한 탓에 원본 카드 및 기존 지원들과는 전혀 호환되지 않아 아쉬움을 샀던 것과 대조적이며, 심지어 그 황금궤 덱과도 어우러져 불안정성을 해소해주기까지 한다. 이후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출시될 죄보 스토리 카드군 [[하얀 숲]]과 궁합이 좋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용병으로써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하얀 숲 몬스터 카드들은 코스트로 패/필드의 마함을 묘지로 보내야 하는데, 이 코스트로 토이 몬스터들을 묘지로 보내도 솔져와 박스의 소생 효과가 발동되며, 카드군 전체가 빛 속성/마법사족인데 그 중 실비와 루시아가 4레벨로 토이 솔져의 효과로 서치가 가능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4 === ==== 토이 솔저 ==== [[파일:トイ・ソルジ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토이 솔저, 일어판명칭=トイ・ソルジャー, 영어판명칭=Toy Soldi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패에서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다., 효과2=②: 마법 & 함정 존에 세트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토이 박스" 1장을 패에 넣는다. 자신 필드에 "토이 박스"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빛 속성 / 레벨 4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도 있다.)] 소환 시 토이 박스를 서치할 수 있다. 사실상 핵심 초동 카드. 이미 토이 박스가 있다면 대신 빛속성 레벨4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다. 토이 몬스터는 물론이고 상당히 넓은 범위의 서치가 가능하다보니 용병 카드로도 기대되고 있다. 특히 빛속성 4레벨엔 사이버스 덱의 핵심 전개 파츠인 [[참기 서큘러]]가 포함되기 때문에 기대를 받는 중. 최악의 경우에도 4레벨 빛속성에 패에서 떨어지는 [[사키타마]]도 있는 등 가능성은 무궁하다. 서치 범위에 들어가는 빛속성, 레벨4에는 원작에서 같이 쓴 [[사일런트 스워드맨]], 토이 매지션이 포함된다.[* 해당 듀얼에서는 안 나왔지만 [[사일런트 매지션]]도 포함.] ||수록 시리즈 || ||<(> 2023-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4PP-JP001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d)] || ==== 토이 탱크 ==== [[파일:トイ・タン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토이 탱크, 일어판명칭=トイ・タンク, 영어판명칭=Toy Tan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210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패에서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다., 효과2=②: 마법 & 함정 존에 세트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6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 필드에 "토이 박스"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자신 묘지에서 "토이 탱크"가 아닌 레벨 6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패의 레벨 6 이하 몬스터를 특수소환할 수 있으며 토이 박스가 있다면 대신 묘지에서 레벨 6 이하 몬스터를 소생할 수 있다. 범위가 상당히 넓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원작에서 이 카드를 소재로 [[다크 레드 인챈터]]를 어드밴스 소환한 것을 반영한 효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 2023-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4PP-JP002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d)] || ==== [[토이 매지션]] ==== == 마법 카드 == === 지속 마법 === ==== 토이 박스 ==== [[파일:トイ・ボ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토이 박스, 일어판명칭=トイ・ボックス, 영어판명칭=Toy Box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1=①: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원래의 카드명에 "토이"를 포함하는\, 자신을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패에서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몬스터를 자신의 패 / 덱 / 몬스터 존(앞면 표시) / 묘지에서 2장까지 골라\,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효과3=●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2장까지 파괴한다., 효과4=②: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 필드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토이 덱의 핵심 카드. 원작의 효과를 토이 몬스터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재현했다. [[무토 유우기]] 테마 덱의 핵심 지속 마법이라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나온 [[빛의 황금궤]]를 떠올리게 한다. 2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 발동할 수 있다. * 토이 몬스터를 마법 & 함정존에 2장 심어 넣을 수 있다. 몬스터존에서도 대응하니 상황에 따라 재활용하는 용도로 쓸 수도 있다. [[토이 매지션]]은 효과 특성상 사실상 세팅할 이유가 없으니 보통 솔저와 탱크를 넣을 것이다. * 자신의 마법, 함정을 2장까지 파괴한다. 토이 몬스터를 특수소환하거나 파괴 시 효과 및 묘지 발동 효과가 있는 마,함을 터트리는 데 쓸 것이다. 서로 연동되는 효과지만 선택해서 써야 하기 때문에 이 카드 하나로는 시간이 걸린다. 카드명 제한이 아니니 이 카드를 2장 잡거나 [[디아벨스타]] 및 [[매지션즈 소울즈]]처럼 마법 & 함정 존의 토이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CG화되면서 뒷면 표시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상대의 공격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가 생겼다. 타이밍이 애매하지만 세트해놓은 토이 몬스터를 전개하면서 상대 공격을 저지할 수 있는 꽤 유용한 효과이다. 원작에서 유우기가 공격받는 타이밍에 토이 박스에서 [[토이 매지션]]을 꺼내 상대 몬스터를 전투 파괴한 것에서 따온 효과이다.[* 원작은 세트한 마법을 함정처럼 쓰는 스펠 스피드 개념같은 게 전무하고 리플레이 개념도 없어서 이런 상황이 벌어졌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ToyBox-JP-Manga-R.png]] || '''원작 효과''' || ||토이 박스에는 필드나 패의 토이 몬스터를 2장까지 수납할 수 있다. 토이 박스가 비면 이 카드는 묘지로 간다.|| [[토이 매지션]]이 공격받을 때 발동해서 토이 매지션과 탱크를 수납했다.[* 공격은 이 토이 박스에 맞으면서 캔슬되었다. 원작에서는 공격 도중 상대 몬스터가 사라지면 공격이 빗나가서 실패하는 판정이라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수납된 몬스터가 코즈믹 스페이스[* 필드의 몬스터에게 라이프스타라는 전용 카운트를 부여하고 매턴 라이프스타가 줄어들며 이 라이프스타가 0이 되면 파괴된다는 효과의 필드 마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점을 통해 전개를 돕고 마지막 패배 직전의 순간에 토이 매지션을 필드로 꺼내 반격할 수 있게 해주었다. }}} ||수록 시리즈 || ||<(> 2023-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4PP-JP003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d)] || == 카드군에 포함되지 않는 "토이" 카드 == 현 상황에서 이 카테고리를 직접 지정하는 것은 토이 박스 뿐이며, 해당 카드에는 '원래의 카드명에 '토이'를 포함하는, 자신을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만을 서포트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조건에 포함하지 않는 카드는 실질적으로 이 테마에 포함되지 않는다. 참고로 [[성도기사 이슈자크]](세인토 나이'''토''' '''이'''슈자쿠)나 [[@이그니스터]](앗'''토''' '''이'''구니스타)처럼 요미가나와 통상 표기가 섞인 경우, 또는 [[이그나이트#이그나이트 이글|이그나이트 이글]](이구나이'''토'''・'''이'''구루)처럼 [[・|중점]]이 껴있는 경우는 재정상 해당 이름이 붙은 카드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 몬스터 카드 * [[토이나이토]] * [[클락 스파르토이]] * 마법 카드 * [[퍼니멀#토이팟|토이팟]] * [[데스완구#토이 퍼레이드|토이 퍼레이드]][* 참고로 원작에서는 "토이" 몬스터와 "완구" 몬스터를 지정하여 서포트하는 카드였다. 하지만 사용자인 소라가 "토이" 몬스터를 사용하지 않았기에 의미 없는 장치였고 OCG화 하며 다른 조건으로 바뀌었다.] * [[스토익 챌린지]](스'''토이'''쿠 챠렌지) * [[라이트 이레이저]](라이'''토이'''레이자) * 함정 카드 * [[룸펠 토이펠]]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흑마녀 디아벨스타]] 세트해놓은 토이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소환하면서 전개를 하고 견제용으로 쓸 죄보 카드를 가져올 수 있다. * [[매지션즈 소울즈]] & [[일루전 오브 카오스]] 마법, 함정을 묘지로 보내고 드로우하는 효과가 토이 몬스터를 전개하면서 드로우를 보는 말도 안 되는 아드를 창출하는 효과로 바뀐다. * [[EM 미스 디렉터]] 소울즈를 활용할 경우의 고점 파츠. 마법사족 / 6레벨 / 튜너라는 스펙이 소울즈의 덤핑과 탱크의 소환에 전부 대응하며, 토이 솔저와 함께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뽑아 퍼미션을 마련하는 것도, 묘지의 소울즈를 소생시켜 7싱크로를 뽑는 것도 가능하다. * [[사일런트 스워드맨|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사일런트 매지션|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 원작에서도 같이 쓰인 카드인만큼 시너지가 있다. 토이 솔저의 서치 효과로 바로 가져올 수 있으며 전사족인 토이 솔저를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하여 마법 퍼미션 요원으로 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묵의 사일런트 매지션 역시 서치가 가능하며 같이 쓰기 좋은 디아벨스타와 매지션즈 소울즈가 마법사족이기에 이를 릴리스하고 특수소환할 수도 있다. *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 마찬가지로 원작에서 무토 유우기가 쓴 카드들을 리메이크 시킨 카드군으로 토이 솔저의 효과로 2종의 사일런트 제로 몬스터들을 서치할 수 있다. 토이 덱은 솔저 외엔 일소권을 쓰지 않기에 초동인 트리콜로르 가제트에게 일소권을 넘겨줄 수 있으며 솔저에 일소권을 썼다해도 토이 탱크의 효과로 패에서 가제트를 특수 소환 할 수 있기에 황금궤 플랜으로 이어갈 수 있다. 둘 다 핵심 지속마법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에 한쪽이 안 잡혔을 때 다른 한쪽의 플랜을 사용하는 식으로 보완이 가능하고 사일런트 매지션,스워드맨을 서포트하며 매지션즈 소울즈로 패에 남는 2,3장째 황금궤 마함들을 코스트로 드로우를 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