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토폴로직)] ||<#293473>
'''{{{#!html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 || || [[파일:monst43.png|width=100%]]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 원작 == [include(틀:유희왕 VRAINS의 분기별 보스 몬스터)] [[파일:TopologicGumblarDragon-JP-Anime-VR.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 일어판명칭=トポロジック・ガンブラ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opologic Gumblar Dragon, 속성=어둠, 레벨=4, link2=, link4=, link6=, link8=, 공격력=30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자신의 패가 있고\,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서로의 패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의 패가 있고\, 이 카드가 엑스트라 링크 상태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전부 파괴하고\, 상대에게 3000 데미지를 준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효과3=③: 엑스트라 링크 상태의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파일:검블러 드래곤.png|width=500]] 유희왕 VRAINS 42화에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와의 스피드 듀얼에서 [[코가미 료켄|리볼버]]가 [[코가미 키요시]]의 희생으로 스톰 액세스를 성공시켜 얻은 링크 몬스터. 드롭 드라코와의 연계로 Playmaker와의 승부를 무승부로 돌리고, 이후 마스터 듀얼에서 엑스트라 링크 상태로 링크 소환된다. 극한영역의 필드를 만들어 Playmaker를 패 / 필드 카드 0장, LP 50의 최악의 상황으로 몰아넣게 되지만 듀얼 마지막에는 스팸 메일, [[제로 엑스트라링크]] 등 Playmaker의 전술에 역이용된다. 애니판 효과임을 감안해도 효과가 완전히 정신나간 카드. 엑스트라 링크를 조건으로 하는 ②③의 효과를 제외하고 봐도 자신 턴에 비교적 간단한 조건으로 상대 패 전부를 파괴하는 ①의 효과를 선공에서 쓰면 무시무시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②③의 효과를 통해 원작에서도 엑스트라 링크를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양쪽 패 파괴 효과명은 '''언폼드 카드(アンフォームド・カード / Unformed Card).''' 등에서 연기를 뿜어 패를 파괴한다. 엑스트라 링크 상태에서 상대 패 파괴 + 데미지 효과명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デウス・エクス・マキナ / Deus Ex Machina).''' 참으로 적절하지 않을 수가 없다. 등 뒤에서 수많은 톱니바퀴가 나타나며, 두 팔을 발사해 상대 패를 전부 파괴하고 효과 데미지를 준다. == OCG == [include(틀:유희왕/OCG/컬렉터즈 팩 커버 카드)] [[파일:トポロジック・ガンブラー・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 일어판명칭=トポロジック・ガンブラ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opologic Gumblar Dragon, 속성=어둠, 레벨=4, link2=, link4=, link6=, link8=, 공격력=30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패를 임의의 매수 랜덤으로 버린다(최대 2장). 그 후\, 버린 수만큼 상대는 패를 고르고 버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엑스트라 링크 상태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패를 2장까지 가능한 한 고르고 버린다. 이 효과로 상대의 패가 0장이 되었을 경우\, 추가로 상대에게 3000 데미지를 준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3번째로 등장한 토폴로직 몬스터.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마법 / 함정 카드를 제외하는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에 이어 이 카드는 '''패'''를 견제한다. 다른 토폴로직 몬스터들과 달리 컬렉터즈 팩에서 등장했는데, 이는 리볼버의 또 다른 링크 몬스터인 [[바렐스워드 드래곤]]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바렐스워드 드래곤은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 수록됐고, 또 다른 바렐 몬스터인 [[바렐가드 드래곤]]이 이 카드와 같이 수록됐다. 완전히 정신나갔다고 평가된 만큼 원작 효과보다 상당히 약화됐다. 패를 "전부 파괴"하는 효과는 공통적으로 "2장"까지 "버리는 것"으로 약화됐고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한쪽만 발동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엑스트라 링크 상태에서 모든 링크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을 주는 ③의 효과가 잘렸다. 대신 소환 조건은 그대로에, ②의 효과로 3000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상대의 패가 0장이 됐을 때만이란 제한이 붙었어도 살아남았다. 다만 패를 버려 묘지나 제외 존에 카드를 쌓게 만드는 게 득이 된다는 보장은 없기에 신중하게 써야 한다. 가장 쓰기 좋은 방법은 상호 엑스트라 링크가 테마인 [[트로이메어]]를 조합하는 것이다. 트로이메어가 기본적으로 상호 링크를 전제로 운용하는데다, 강력한 내성을 부여해주는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와 트로이메어 피닉스도 있다. 게다가 링크 마커는 [[파이어월 드래곤]]이나 트로이메어 그리폰과 같은 데다, 기본 공격력도 링크 몬스터 중에선 최상위라서 트로이메어 링크 몬스터와 제대로 조합하면 웬만해선 뚫기 힘들다. 또 패에서 버려져 묘지로 보내졌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암흑계]], [[미계역]]과 시너지가 좋다. 원작보다 약화됐음에도 여전히 막강하게 패를 털 수 있는 1번 효과 때문에, 결국 TCG에선 2019년 1월 28일에, OCG에선 2020년 1월에 '''금지''' 카드가 되었다. 이렇게 [[파이어월 드래곤]]에 이어 2번째로 금지된 링크 4 몬스터가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둘 다 사이버스족 몬스터에다가 링크 마커의 위치도 똑같다. 검블러 금지 이후 [[도둑의 연막탄]]을 활용한 패털이 덱이 성행하자 비교되기도 했으나 이쪽도 2023년 7월에 금지되었다. 이름의 '''검블러(Gumblar)'''는 2009년에 첫 등장한 자바 스크립트 기반의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구글 검색을 통해 감염되는 특성을 가졌으며, 진단명은 '''Troj/JSRedir-R'''이다. PDF의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며,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의 무차별 파괴 형태를 패 파괴의 형식으로 표현한 듯하다. 이 카드가 트로이메어와 시너지가 좋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재밌는 부분. 듀얼링크스에서는 엑스트라 링크 룰이 없는 관계로 ②의 효과는 아예 삭제되었다. 리볼버의 스킬 '스톰 액세스'로만 사용 가능한 카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 2018 || CP18-KR043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COLLECTORS PACK]] 2018 || CP18-JP043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 BLRR-EN04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