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통가의 총리]] [목차] == 개요 == Prime Minister of Tonga 통가 총리는 [[통가|통가 왕국]]의 총리로 통가의 국정을 책임지며, [[정부수반]] 역할을 한다. [[국가원수]] 역할은 [[통가 국왕]]이 맡는다. 1875년 통가 헌법이 도입되면서 총리직도 생겼으나 국왕에 의해 임명과 해임이 반복되었다. 당시엔 [[왕세자]]나 왕의 친척이 총리를 맡는 등, 국정을 도모하는 국왕의 참모 개념이 강했다. 2000년대에 통가에 민주화 시위가 열리면서, 2010년부터 [[통가 의회]]에서 총리를 뽑게 되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국정에 대해 총리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게 가능해졌다. 그러나 법관의 임명 등 권한은 여전히 통가 국왕에게 남아있기도 하다. 또한 국왕이 일방적으로 [[의회 해산]]을 하는 게 여전히 가능하다. [[2017년 통가 총선]]의 경우, [[퍼시픽 게임]] 개최에 관해 국왕이 불만을 표시하면서 의회 해산이 이뤄졌다. 현직은 18대 [[시아오시 소발레니]]다. == 역대 총리 == * [[조지 투포우 1세|시아오시 투포우 1세 시대]](1854년 즉위, 1875년 입헌) * 1대 [[테비타 웅가]](Tēvita ʻUnga): 재임 1876년 1월 1일 - 1879년 12월 18일. 무소속. 국왕인 투포우 1세의 아들이었다.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 * 2대 셜리 월더머 베이커(Shirley Waldemar Baker): 재임 1881년 1월 - 1890년 7월. 무소속. 잉글랜드 출신의 선교사로 통가 자유교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다. 국왕인 투포우 1세의 신임을 얻어 총리를 지냈다. 본래 웨슬리안 교회 소속이었으나 호주에 있던 상부와의 갈등으로, 자유교회를 창립해 독립했다. 이 일로 웨슬리안 신자들인 통가인들의 저격을 당한 적도 있으나 본인은 무사했고 자녀들이 부상을 입었다. 해당 사건으로 6명의 통가인이 처형되었다. 이후 사건을 조사하러 온 영국인들에 의해 뉴질랜드로 쫓겨나기도 했으나 다시 통가로 돌아와 1903년에 [[하파이 제도]]에서 죽었고 묘도 거기 있다. * 3대 시아오시 투쿠아호(Siaosi Tukuʻaho): 재임 1890년 7월 - 1893년. 무소속. 훗날 살로테 투포우 3세의 남편이 되는 빌리아미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 [[조지 투포우 2세|시아오시 투포우 2세]](1893년 즉위) * 4대 시오사테키 베이쿠네(Siosateki Veikune): 재임 1893년 - 1905년 1월. 무소속. 그의 재임 동안 통가는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다. * 5대 시오아시 투이 펠레하케(Siaosi Tuʻi Pelehake): 재임 1905년 1월. 무소속. 한 달 동안 재임했다. 국왕인 투포우 2세의 아버지이기도 했다. 한국으로 치면 [[대원군]] 포지션이지만 한 달도 못 있었다. * 6대 시오네 투포우 마테이아로나(Sione Tupou Mateialona): 재임 1905년 1월 - 1912년 9월 30일. 무소속. * [[살로테 투포우 3세]](1918년 즉위) * 7대 테비타 투이바카노(Tevita Tuʻivakano): 재임 1912년 9월 3일 - 1923년 6월 30일. 무소속. * 8대 [[빌리아미 퉁이 마일레피히]] 공(Prince Viliami Tungī Mailefihi CBE): 1923년 6월 30일 - 1941년 7월 20일. 무소속. 살로테 투포우 3세의 남편이었다. 3대 총리 시아오시 투쿠아호의 아들이기도 하다. * 9대 솔로모네 울라 아타(Solomone Ula Ata OBE): 재임 1941년 7월 20일 - 1949년 12월 12일. 무소속. * 10대 타우파하우 퉁이 왕세자(Taufa'ahau Tungi KBE): 재임 1949년 12월 12일 - 1965년 12월 16일. 무소속. 살로테 투포우 3세의 장남으로,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가 된다. *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1965년 즉위) * 11대 [[파타헤이 투이펠레하케]] 왕자(Fatafehi Tuʻipelehake CBE): 재임 1965년 12월 16일 - 1991년 8월 22일. 무소속. [[살로테 투포우 3세]]의 막내아들로 투포우 4세의 동생이다. * 12대 시아오시 투이할라 알리파테 바에아 투포우(Siaosi Tuʻihala ʻAlipate Vaea Tupou): 재임 1991년 8월 22일 - 2000년 1월 3일. 무소속. 바에아 남작(Baron Vaea)이다. 아버지가 [[조지 투포우 2세]]의 사생아인 빌라이 투포우(Vīlai Tupou)이다. 그래서 바에아 남작은 투포우 4세와는 사촌 관계이다. 1921년생으로 [[뉴질랜드 공군]]에 입대하여, 파일럿으로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이후 통가로 와서 이복고모인 살로테 투포우 3세의 [[부관]]으로 근무했다. 1960년 [[하파이 제도]]의 총독을 지냈고, 이후 영국에 [[고등판무관]]으로 파견되었다. 딸인 [[나나시파우 투쿠아호]]는 그의 다음 총리인 아호에이투와 결혼하여 2012년에 왕비가 되었다. * 13대 [[투포우 6세|아호에이투 우누아키오통가 투쿠아호]] 왕자(ʻAhoʻeitu ʻUnuakiʻotonga Tukuʻaho): 재임 2000년 1월 3일 - 2006년 2월 11일. 무소속. 국왕인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의 3남이었다. 그의 재임기간에 통가는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다. * [[시아오시 투포우 5세]](2006년 즉위) * 14대 펠레티 세벨레(Feleti Sevele): 2006년 3월 30일 - 2010년 12월 22일. 인권민주운동(HRDM) 소속. 통가에서 민주화 운동이 거세지자, 처음으로 [[평민]] 출신이자 당적을 가진 총리에 임명되었다. * [[투포우 6세|아호에이투 투포우 6세]] (2012년 즉위) * 15대 투이바카노 경 시알레 아타옹고 카호(Siale ʻAtaongo Kaho, Lord Tuʻivakanō): 2010년 12월 22일 - 2014년 12월 30일. 무소속. 처음으로 [[통가 의회]]에서 선출한 총리이다. 귀족들의 지지를 받았다. * 16대 [[아킬리시 포히바]]: 2014년 12월 30일 - 2019년 9월 12일. [[프렌들리 제도 민주당]] 소속. 오랫동안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했고, [[2014년 통가 총선]]에서 처음으로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 2017년에 국왕이 의회 해산을 했지만, 선거에서 오히려 과반수를 확보해 정권을 연장했다. 재임 중인 2019년에 폐렴으로 별세했다. * [[직무대행]] [[세미시 시카]]: 2019년 9월 12일 - 2019년 10월 8일. [[프렌들리 제도 민주당]] 소속. 포히바 총리의 별세 후 직무대행을 했다. * 17대 [[포히바 투이오네토아]](Pōhiva Tuʻiʻonetoa): 2019년 10월 8일 - 2021년 12월 27일. [[통가 인민당]] 소속. 프렌들리 제도 민주당 탈당파와 귀족 의원들의 지지를 받아 총리가 되었다. * 18대 [[시아오시 소발레니]](Siaosi Sovaleni): 2021년 12월 27일 -. 무소속. 귀족이 아닌 인물은 영국인이었던 2대 베이커와 14대 세벨레, 16대 포히바와 그 직무대행이었던 시카 뿐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