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와 연산)] [include(틀:대수학)] [목차] {{{+1 [[通]][[分]] / reduction to common denominator}}} == 개요 == [[수학]]에서 [[분모]]가 다른 2개 이상의 [[분수(수학)|분수]]의 분모를 같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분모가 다른 두 분수의 분모를 두 분모의 [[최소공배수]]로 바꾸는 일이다. 이렇게 바뀐 분모를 공통분모라고 한다. 일상 생활에서는 두 대상의 공통점을 공통분모라고 하기도 한다.[* 수학적으로는 공약수가 조금 더 비슷한 뜻이다. 공통분모는 둘 이상의 분수의 분모의 '''공배수'''이므로 두 분모의 공통점과는 거리가 멀지만 공약수는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약수라는 점에서 공통점에 조금 더 가깝다.] 이걸 하려면 배수, 약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의 관계를 알고 넘어와야 한다. 굳이 꼭 [[최소공배수]]로만 할 필요는 없으며, 그냥 아무 [[공배수]] 중에 하나로 통분해도 상관은 없다. 특히 가장 쉽게 통분하는 방법은 분모의 곱으로 통분하는 것이다. 다만, 최소공배수가 아니라면 필연적으로 [[약분]]을 해야만 [[기약분수]]가 된다. 중학교 올라가면 유리수의 계산에도 적용되니 잘 익혀두자. == 해야 하는 이유 == [[약분]]과는 달리 항상 하는 건 아니다. 대개 분모가 다른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분수의 덧셈, 뺄셈을 해야 할 때[* 특히 [[조화수열]]의 합을 구하려면 통분이 필수적이다.]만 하는 정도다. 분모를 통일한 후 분자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면 된다. 간혹 통분해야 하는 것을 모르고 [[1학년의 꿈|[math(\dfrac{1}{x} + \dfrac{1}{y} = \dfrac{1}{x+y})] 같은 꼴로 잘못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분모가 같고 분자가 다른 수는 분자가 큰 쪽이 크고 반대로 분자가 같고 분모가 다른 수는 분모가 작은 쪽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분자와 분모 모두 다른 경우는 어느 쪽이 더 큰지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ath(\displaystyle {3\over 5} )]와 [math(\displaystyle { 4\over6 } )] 중 무엇이 큰지 확인하기 위해서 통분하여 확인하면 [math(\displaystyle {{18\over 30} \lt {20\over 30}} )] 가 되므로 [math(\displaystyle { 4\over6 } )]가 더 크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분수의 계산엔 약분과 더불어 통분이 필수적이다. 사실 초딩 [[수포자]]의 8할은 이게 안 돼서 포기하는 학생들이다. 초등 5학년 1학기 과정이다. == 기본적인 방법 == b, d, f가 모두 0이 아닐 때, * [math(\displaystyle \frac{a}{b}, \frac{c}{d} \rightarrow \frac{a \times d}{b \times d}, \frac{c \times b}{d \times b} \rightarrow \frac{ad}{bd}, \frac{bc}{bd})] (분수 2개의 통분) * [math(\displaystyle \frac{a}{b}, \frac{c}{d}, \frac{e}{f} \rightarrow \frac{a \times d \times f}{b \times d \times f}, \frac{c \times b \times f}{d \times b \times f}, \frac{e \times b \times d}{f \times b \times d} \rightarrow \frac{adf}{bdf}, \frac{bcf}{bdf}, \frac{bde}{bdf})] (분수 3개의 통분) 공식에서 알 수 있듯이, 통분을 할 때 각각의 분수의 분자와 분모에 나머지 분수들의 분모의 곱을 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두 공식을 이용하여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는 분자에 해당하는 ad, bc와 adf, bcf, bde의 크기를 비교하면 된다. 한 분수의 분모가 나머지 분수의 분모의 배수일 때는 그 분수의 분모로 통분하면 된다. 예를 들어 3/5, 7/10, 9/20을 통분할 때 20은 5, 10의 배수이므로 공통분모를 20으로 하여 12/20, 14/20, 9/20과 같이 하면 된다. == 통분을 이용한 덧셈 공식 == 위에서 소개한 통분 공식을 이용한 후 각 분수를 더해 주면 된다. 즉 b, d, f가 모두 0이 아닐 때, * [math(\displaystyle \frac{a}{b} + \frac{c}{d} = \frac{a \times d}{b \times d} + \frac{c \times b}{d \times b} = \frac{ad+bc}{bd})] (2개의 분수의 통분) * [math(\displaystyle \frac{a}{b} + \frac{c}{d} + \frac{e}{f} = \frac{a \times d \times f}{b \times d \times f} + \frac{c \times b \times f}{d \times b \times f} + \frac{e \times b \times d}{f \times b \times d} = \frac{adf+bcf+bde}{bdf})] (3개의 분수의 통분) 덧셈 결과의 분수의 분모(b×d)는 원래 분수의 분모(b, d)를 곱한 것이지만, 여기서 약분이 가능한 경우 (b×d)/n 꼴이 될 수 있다. 즉 분모의 곱의 약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통분할 분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1/2 + 1/3 = 5/6은 원래 분수의 분모인 2, 3을 곱한 것이지만, 1/6 + 1/3 = 9/18의 경우 추가적으로 약분을 해야 한다. 뺄셈의 경우는 a, c, e 중 적당한 것을 음수로 처리하여 위 공식처럼 계산하면 된다. 일반화하면 아래와 같다. * [math(\displaystyle \frac{a}{b} + \frac{c}{d} = {\rm sgn}(b \times d) \frac{a \times d}{|b \times d|} + {\rm sgn}(d \times b) \frac{c \times b}{|d \times b|} = {\rm sgn}(bd) \frac{ad+bc}{|bd|})] * [math(\displaystyle \frac{a}{b} + \frac{c}{d} + \frac{e}{f} = {\rm sgn}(b \times d \times f) \frac{a \times d \times f}{|b \times d \times f|} + {\rm sgn}(d \times b \times f) \frac{c \times b \times f}{|d \times b \times f|} + {\rm sgn}(f \times b \times d) \frac{e \times b \times d}{|f \times b \times d|} = {\rm sgn}(bdf) \frac{adf+bcf+bde}{|bdf|})] [math({\rm sgn})]는 [[부호 함수]]이다. 다르게 보면, [math(-1)]제곱에 대한 [[곱셈 공식]]이라고 볼 수 있다. == 극한과 통분 == 2개 이상의 분수의 합 또는 차로 구성된 수열이나 함수의 [[극한]]을 구하려고 할 때, 각 분수가 극한을 구할 수 없는 꼴이지만 통분하면 극한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math(\begin{aligned}\displaystyle \lim_{n \to \infty}\left(\frac{2n^2+n+1}{n} - \frac{2n^2+1}{n+1}\right)& = \lim_{n \to \infty}\left\{\frac{(2n^2+n+1) \times (n+1)}{n \times (n+1)} - \frac{(2n^2+1) \times n}{(n+1) \times n}\right\}\\&= \lim_{n \to \infty} \frac{3n^2+n+1}{n^2+n} = 3\end{aligned})] || 통분하기 전에는 [math(\infty-\infty)] 꼴의 [[부정형]]이었지만, 통분하면 [[확정형]]이 되어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분수(수학)|분수]] * [[약분]] * [[분모]] * [[부분분수분해]] - 통분의 역연산이다. [[분류:수학 용어]][[분류:한자어]][[분류:대수학]][[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