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통신사 라이벌)] [include(틀:한국프로농구 라이벌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002a, #000000);" '''{{{+1 {{{#fff 통신사 더비 (Mobile Carrier Derby)}}}}}}'''}}} || ||<#fff><:> [[서울 SK 나이츠|[[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width=100%]]]] ||<#fff><:>[[부산 kt 소닉붐|[[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100%]]]] || ||<#e1002a><:> '''[[서울 SK 나이츠|{{{#fff 서울 SK 나이츠[br]Seoul SK Knights}}}]]''' ||<#000000><:> '''[[수원 kt 소닉붐|{{{#fff 수원 kt 소닉붐[br]Suwon kt Sonicboom}}}]]''' || [목차] == 개요 == KBL의 [[서울 SK 나이츠]]와 [[수원 kt 소닉붐]]의 더비 매치. 서로의 모기업이 통신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통신사 라이벌]], 통신사 더비로 자주 불린다. [[창원 LG 세이커스]]의 경우는 [[서울 삼성 썬더스]]와 재계 라이벌로 엮여 통신사 더비로는 잘 엮이지 않는다. 다만 창원 LG는 kt가 부산에 있을때 [[낙동강 더비(농구)|낙동강 더비]]로 엮인적이 있지만 그건 연고 팬들에 한해서이고 현재 야구까지 동반 운영하면서 라이벌리가 있는 듯 하나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kt는 수원 연고 이전과 함께 LG와 특례시 통신대전으로 경쟁하고 있다. 두 팀이 만났을 때 재미난 경기가 자주 벌어질 때가 많은데다 연고지가 서울과 수원이라는 점에서 농구판 [[슈퍼매치]]로도 불린다. 삼성과 kt도 슈퍼매치로 불릴 수 있으며, 전 수원 연고팀(삼성) VS 현 수원 연고팀(kt)이라는 점이 있다.[* 다만 삼성이 수원으로 연고지를 썼던 시절에는 [[수원실내체육관]]을 사용했다. 그 이후 kt가 수원으로 옮기게 될 때 수원실내체육관은 한국전력-현대건설 배구단들이 쓰고 있어서 서수원칠보체육관으로 가게 되었다.] 다만 e스포츠의 [[통신사 라이벌/e스포츠|통신사 라이벌]] 관계와는 달리 서로간의 경쟁 관계는 딱히 없는 듯 하다. e스포츠는 [[최연성]]의 SKT와 KTF간의 이중계약과 [[임요환]]이 속했던 SKT T1, [[홍진호]]가 속했던 KTF-kt의 임진록이 있지만 농구에서는 그런 모습을 찾기 어렵다. 또한 kt 소속의 [[이영호]]가 위너스리그에서 SKT T1에게 3:0으로 밀리고 있는 가운데 출전해서 [[도재욱|도]][[김택용|택]][[박재혁(1987)|혁]][[정명훈(프로게이머)|명]]을 [[리버스 스윕|모두 잡아내는 스토리]]까지 있었고, kt가 프로리그에서 우승했을 때 모두 SKT T1을 잡아서 우승하기도 했다. 삼성-LG와의 전자 라이벌 관계와는 달리 선수 이적이 잦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2005년에 [[황진원]], [[이한권]], [[조상현]]-[[방성윤]], [[김기만(농구)|김기만]], [[정락영]]의 3:3 트레이드나 KTF-SK-kt를 오간 [[박상오]]가 그런 예. 팬들과 선수들 간에 라이벌 의식도 적지 않은 편이지만 이상하게도 이 더비는 만나기만 하면 미친 듯한 고득점 게임이 펼쳐지곤 하는 특징이 있다. 2019년에는 kt 치어리더였던 [[박기량(치어리더)|박기량]]이 떠나고 [[김연정]]이 복귀하였고, 박기량은 SK로 가게 되면서[* 박기량은 LG 세이커스에서도 치어리더를 한 적이 있어서, 통신 3사 농구팀을 모두 경험해 보게 되었다.] 치어리더 박기량 vs 김연정 구도의 통신사 더비도 성사되기도 했다.[* 박기량이 kt에 소속되었던 시절에는 치어리더 통신사 더비는 [[안지현]] vs 박기량의 구도였다.] 과거에는 KBO 리그 야구에서 [[SK 와이번스]]와 [[kt wiz]]가 W매치를 치루기도 했다. == 역사 == 1982 원년부터 서울과 부산을 지켜온 LG(MBC), 롯데와 달리 농구 두 팀은 SK가 2001년 [[청주시|청주]]에서 [[서울특별시|서울]]로, kt는 [[광주광역시|유랑]][[여수시|생활]]을 하다가 2003년부터 [[부산광역시|부산]]에 연고를 두다 2021년 [[수원시]]로 이전했다. 이렇게 더비의 역사는 짧다. 특이하게도 08~09시즌부터 13~14시즌까지 36경기에서 18승 18패로 동률인데, 상대전적은 모두 우세한 쪽의 5승 1패로 마무리가 되었다. (08~09, 12~13, 13~14 SK 우세, 09~10, 10~11, 11~12 kt 우세) [[프로-아마 농구 최강전/2016년|2016년 프로-아마 최강전]]에서는 프로농구 사상 최다 득점경기가 펼쳐지면서 kt가 승리했다. (140-132) 양 팀의 선수들이 차례로 5반칙 아웃되면서 3차 연장전까지 가는 대혈투. [[2016년]] [[11월 13일]] 잠실에서 열린 두 팀간의 대결에서 SK가 26점 차이로 리드하고 있었으나 후반 들어서 KT의 맹공격으로 80:80 연장행. 연장전에서 90:92로 KT가 대 역전승을 거뒀다. 당시 SK는 [[김선형]],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 등의 젊은 선수들이 구축했지만 KT는 이렇다 할 선수들이 없는 상태에서 [[박상오]]의 맹활약이 빛났다. 참고로 KT는 이 때까지 1라운드에서 SK를 단 한 번도 이겨본 적이 없지만(코리아텐더가 KTF로 창단된 후. --5승 1패를 했을 때도 그 1패가 1라운드--) 이 시즌에 처음으로 1라운드에서 SK를 이겼다. 2016-17시즌에는 더비가 시작된 이래 10년만에 동률이 나왔다. 2017-18시즌의 통신사 더비는 SK의 6승 0패 스윕으로 끝났지만, 부산에서는 보통 팽팽한 경기가 이어지다가 결국 SK가 이기는 흐름이었고, 잠실에서는 SK가 원사이드로 KT를 압도하는 흐름이었다. 위에 다른 3개의 더비와는 다르게 이 더비는 아직까지 플레이오프나 챔피언결정전에서의 대결이 없다. 2019년 1월 5일 [[김선형]]이 이 더비에서 역대 국내선수 최고득점 타이기록 49득점을 기록했다.[* 다른 한 선수는 부산 기아자동차의 김영만 (1997)] 2019년 10월 6일 첫 대결에서 88대 80으로 SK가 승리를 했다. 2021년부터는 kt 소닉붐이 부산에서 수원으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통신사 더비가 공교롭게도 [[슈퍼매치]]가 열리는 지역에서 열린다. 그 이전 SK 나이츠의 경우 형제 야구팀인 [[SK 와이번스]]가 [[SSG 랜더스]]로 매각되면서 더 이상 야구단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2022년 2월 6일 SK가 이 더비에서 구단 창단 이래 최다 연승인 12연승을 기록했다. == 상대 전적 == ||<:> '''년도'''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width=80]] [br] '''SK''' ||<:>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80]] [br] '''나산/골드뱅크/[br]코리아텐더/KTF/kt''' ||<:> '''상대우위''' || ||||||||<:> SK, 1997년 가을에 창단, 1997-98시즌부터 참가 || ||<:> 1997-98시즌 ||<:> 3승 2패 ||<:> 3승 2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1998-99시즌 ||<:> 2승 3패 ||<:> 3승 2패 ||<:> {{{#000000 나산 플라망스 우위}}} || ||||||||<:> 골드뱅크, 나산 플라망스 인수 || ||<:> 1999-00시즌 ||<:> 4승 1패 ||<:> 1승 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골드뱅크, 여수시로 연고이전 || ||<:> 2000-01시즌 ||<:> 4승 1패 ||<:> 4승 1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SK, 서울시로 연고이전 / 골드뱅크, 코리아텐더로 팀명 변경 || ||<:> 2001-02시즌 ||<:> 4승 2패 ||<:> 2승 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02-03시즌 ||<:> 3승 3패 ||<:> 3승 3패 ||<:>백중세 || ||||||||<:> 부산으로 연고이전, KTF, 코리아텐더 맥스텐 인수 || ||<:> 2003-04시즌 ||<:> 4승 2패 ||<:> 2승 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04-05시즌 ||<:> 1승 5패 ||<:> 5승 1패 ||<:> {{{#000000 KTF 매직윙스 우위}}} || ||<:> 2005-06시즌 ||<:> 2승 4패 ||<:> 4승 2패 ||<:> {{{#000000 KTF 매직윙스 우위}}} || ||<:> 2006-07시즌 ||||||<:> 3승 3패 백중세 || ||<:> 2007-08시즌 ||<:> 2승 4패 ||<:> 4승 2패 ||<:> {{{#000000 KTF 매직윙스 우위}}} || ||<:> 2008-09시즌 ||<:> 5승 1패 ||<:> 1승 5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KTF, kt 소닉붐으로 팀명 변경 || ||<:> 2009-10시즌 ||<:> 1승 5패 ||<:> 5승 1패 ||<:> {{{#000000 kt 소닉붐 우위}}} || ||<:> 2010-11시즌 ||<:> 1승 5패 ||<:> 5승 1패 ||<:> {{{#000000 kt 소닉붐 우위}}} || ||<:> 2011-12시즌 ||<:> 1승 5패 ||<:> 5승 1패 ||<:> {{{#000000 kt 소닉붐 우위}}} || ||<:> 2012-13시즌 ||<:> 5승 1패 ||<:> 1승 5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13-14시즌 ||<:> 5승 1패 ||<:> 1승 5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14-15시즌 ||<:> 6승 0패 ||<:> 0승 6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15-16시즌 ||<:> 2승 4패 ||<:> 4승 2패 ||<:> {{{#000000 kt 소닉붐 우위}}} || ||<:> 2016-17시즌 ||<:> 3승 3패 ||<:> 3승 3패 ||<:>백중세 || ||<:> 2017-18시즌 ||<:> 6승 0패 ||<:> 0승 6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18-19시즌 ||<:> 3승 3패 ||<:> 3승 3패 ||<:>백중세 || ||<:> 2019-20시즌 ||<:> 3승 2패 ||<:> 2승 3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20-21시즌 ||<:> 3승 3패 ||<:> 3승 3패 ||<:>백중세 || ||||||||<:> kt, 수원으로 연고이전 || ||<:> 2021-22시즌 ||<:> 4승 2패 ||<:> 2승 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2022-23시즌 ||<:> 4승 2패 ||<:> 2승 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종합'''(괄호 안은 KTF-KT때 성적) ||<:> 84승 71패[br](64승 55패) ||<:> 71승 84패[br](55승 64패) ||<:> '''{{{#e1002a SK 나이츠 우위}}}''' || * KTF 매직윙스 시절이었던 03-04 시즌 이후 이어진 통산 라이벌전 성적 == 관련 문서 == * [[라이벌전/대한민국]] * [[한국프로농구]] * [[서울 SK 나이츠]] * [[수원 kt 소닉붐]] [[분류:한국프로농구 라이벌전]][[분류:대한민국의 통신회사]][[분류:서울 SK 나이츠]][[분류:수원 kt 소닉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