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요리)] [include(틀:투르크메니스탄 관련 문서)] [[투르크멘어]]: Türkmen tagamlary [[영어]]: Turkmen cuisine [목차] == 개요 == [[중앙아시아]] 남서부 [[투르크멘인]] 및 [[투르크메니스탄]]의 [[요리]].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요리]], [[타지키스탄 요리]]와 비슷하며 [[서남아시아]](특히 [[이란]])와도 매우 비슷한데 역사적으로 지금의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남부와 서아시아, 캅카스에 걸친 셀주크 투르크를 세워 서-중앙아시아 일대로 튀르크인들이 정착하여 해당지역에 살던 백성들도 튀르크화되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지배로 인하여 러시아 요리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처럼 [[오우즈]] 튀르크에 속해서 [[튀르키예 요리]], [[아제르바이잔 요리]]와도 공통점을 공유한다. [[파일:Baking_Bread_in_Bai_Bazaar,_Dashoguz.jpg]] [[반농반목]] 문화로 빵과 고기, 유제품을 함께 먹는데 아르메니아, 이란 및 우즈베키스탄, 인도 등등과 마찬가지로 탄두리 화덕에 빵과 고기를 조리한다. == 종류 == * [[난(빵)]] - 이란 빵과 다르게 좀 더 두툼하고 부드러운 편이다. * 오시([[필라프]]) - 고기 비계로 볶은 쌀밥으로, 명절 때 한꺼번에 빵을 많이 굽기 힘들거나 적은 양의 고기로 많은 사람들이 목에 기름칠 할 때 먹는 음식이다. * 차이([[차]]) - 녹차를 많이 마시는 편이다. * [[샤슐릭]] - 숯불에 고기를 직화로 구워먹는 경우도 많지만 화덕에 굽는 경우도 많다. * [[삼사#s-9]] - 고기를 소로 넣은 패스트리 빵 * [[돌마]] - 포돗잎으로 싼 고기로 손이 많이 가는 명절요리라 우리나라의 [[전(한국 요리)]]과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투르크메니스탄의 이웃나라 우즈벡 출신 여자들이 남편들이 이 요리 해달라고 하면 절레절레 하는 편이라고도 하고,~~ 중동이나 중앙아시아 요리 식당에서도 요리사들이 만들기 상당히 귀찮아하는 요리이기도 하다. * [[카틀라마]] * [[만두|만투]] * [[초르바|슈르파]] - 스프류를 총칭한다. 사골 등을 넣고 끓인 설렁탕과 대동소이한 종류도 있고, 렌즈콩을 넣고 끓인 중동/인도식 스프도 흔하다. * [[쿠루트]] * [[아이란]]([[케피르]]) - 소금이 살짝 들어간 요구르트 음료수. 시원한 게 특징이고, 쿠루트에 비하면 크게 짜진 않다. * [[라그만]] - 중앙아시아식 국수. * [[보르초그]](피쉬메) == 기타 ==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은 외교를 맺었음에도 투르크멘 또는 투르크메니스탄 요리를 찾아보기 힘든데, 이는 현재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치적 이유로 인한 폐쇄성 때문인 듯 하다. 다만 중앙아시아와 서남아시아 요리와 비슷해서 주로 중앙아시아-러시아 식당에서 비슷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중앙아시아 요리]] * [[우즈베키스탄 요리]] * [[타지키스탄 요리]] * [[카자흐 · 키르기스 요리]] * [[이란 요리]] * [[아프가니스탄 요리]] * [[튀르키예 요리]], [[아제르바이잔 요리]] [[분류:투르크메니스탄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