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급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도시국가]][[분류:분지]][[분류:오아시스]][[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include(틀:위서(북조))]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000,#ddd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吐鲁番, ruby=Tǔlǔfān)][ruby(市, ruby=Shì)] | }}}'''[br]투르판시 | Turp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吐鲁番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시[br]가오창구 뤼저우둥루 495호[br]新疆维吾尔自治区吐鲁番市[br]高昌区绿洲东路495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69,713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693,988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0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위구르인]] 68.96% | [[한족]] 25.02[br][[후이족|회족]] 5.63% | [[토가족]] 0.07% || ||<-2> '''{{{#ffff00 서기}}}''' || 마쉐량(马学良) || ||<-2> '''{{{#ffff00 시장}}}''' || 멤티 사으티^^([[위구르인]])^^[br](买买提·沙吾提)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6억 ^^(2020)^^ || || '''{{{#ffff00 1인당}}}''' || $8,039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없음 || || '''{{{#ffff00 시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新K'''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5'''04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95''' || ||<-2> '''{{{#ffff00 우편번호}}}''' || '''83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J-04''' ||}}}}}}}}} || ||<-3> [[http://www.tlf.gov.cn/|홈페이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rpan-minarete-emir-d07.jpg|width=350]]}}}|| || 투르판의 랜드마크인 아민 미나레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급시]]. [[우루무치]]에서 동남쪽으로 150km 떨어진 [[투르판 분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69만 명이다. [[카레즈]]( Karez 坎儿井)[* 우물과 지하수로를 결합한 일종의 인수(引水) 관개시설로 기원전 700년경 이란의 동부 사막지대에서 기원되었는데 [[조로아스터교]]의 전파와 더불어 신장지역에 전파되었다.]를 이용해서 과일 농사를 짓는데 특히 [[포도]][* 투루판포도(吐鲁番葡萄)는 [[국가지식산권국]]이 지정한 국가지리표지산품(国家地理标志产品)으로 등록되어있다.]가 맛있기로 유명하다. 과거에는 [[목화]] 농사가 번성하였다. 투루판 자오허 공항이 있지만, 주로 철도 교통이 이용된다. 고창성, 교하성 유적이 매우 유명한 관광지이고, 시내의 에민 [[미나렛]]도 18세기 위구르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2000년에는 도시의 인구 중 70%가 [[위구르인]], 23%가 [[한족]]이었으나, 2018년에는 위구르인 77%, 한족 17%로 바뀌었다. 6% 남짓을 차지하는 [[회족]]도 있다. [[파일:Jiaohe_Ruins.jpg]] 교하(交河) 고성 [[파일:Gaochang_Ruins_Turpan_Xinjiang_China_新疆_吐魯番_高昌故城_-_panoramio_(5).jpg]] 고창(高昌) 고성 고대의 투르판 지역은 [[실크로드]]가 지나가며 번영하였는데, 시내 북쪽의 야르호토에는 한대에 [[차사국]](車師國)이라 기록된 국가의 도성인 교하성 유적이 있고, 시내 남쪽의 카라호자에는 [[고창국]]의 도성인 고창성 유적이 있다. 투르판이라는 이름은 몽골 제국 시대 이후로 생긴 이름이다. == 지리 == 도시가 위치한 [[투르판 분지]]는 [[타림 분지]]의 북쪽 끝에 해당하는데, [[고도|해발 고도]]가 마이너스 400m로, 전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낮고 매우 건조하여 무상일수가 270일에 달하며 연간 일조 시간은 약 3,200시간 이상된다. 여름에는 영상 50도까지 올라가고, 겨울에는 영하 28도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4월부터 30도가 넘는 날이 등장해서 여름이 9월까지 계속되다가 10월에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겨울로 들어선다.] 연교차가 무려 76도... 2023년 7월 중순에는 산하 싼바오향(三堡乡)의 기온이 무려 52.2도까지 치솟았다.[* 이전 기록은 인근 아이딩호(艾丁湖) 부근에서 2015년 관측된 50.3도 였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73399?sid=104|#]] 투르판 분지의 최고기온은 무려 '''66.7°C'''이다(!) == 역사 == [include(틀:위구르의 역사)] 기원전 2세기 무렵 투르판 분지의 오아시스 도시 국가 [[차사국]]은 [[흉노]]에 종속되었으나 [[한나라]]가 이들을 몰아내고 [[둔전]]을 설치하며 이 지역에 한나라 군인들을 주둔시켰다. 한나라 멸망 이후 [[노수호]]들이 이주해 와 [[고창국]]을 세웠다. 고창국에는 많은 [[소그드인]]들이 이주해와서 살게 되었는데 소그드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고창에서는 한나라가 무너진 이후에도 계속 한문을 사용했다 한다. 다만 고고학 발굴 결과 이들이 사용하는 한문은 엉터리 한문이 많았다. 640년에 [[당나라]]가 고창을 정복한 이후 [[투르판 분지]]는 [[돌궐]], [[티베트]], [[당나라]] 간의 각축정이 되었는데, 결국 803년에 [[위구르 칸국]]에게 정복되었다. 840년에 [[키르기즈]] 족의 침공으로 위구르 제국이 무너지자, 그 유민들은 투르판 분지에 코초를 중심으로 [[천산 위구르]] 왕국을 세웠다. 투르판 분지는 코초의 소그드인 후손들은 위구르인들에게 여러 가지 문화와 지식, 기술을 전수해준 덕분에 코초 위구르 왕국은 수백 년 동안 동서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동서 무역 외에도 과수 재배와 면직물 산업이 부흥하였다. [[카라 키타이]], [[원나라]] 지배를 거치면서도 불교 신자가 대부분이던 투르판 분지 일대는 1389년부터 [[모굴리스탄 칸국]]의 지배를 받으며 15세기 중반 이슬람화되었다. 이 때 중심지가 코초에서 카라호자와 투르판 시로 이동하였다. 1473년에는 투르판의 술탄이 명나라의 보호를 받던 동쪽의 [[하미시|하미(쿠물)]]를 점령하고 이슬람화시켰다. 이후 [[준가르 칸국]], [[청나라]]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2015년도에 투르판지구가 폐지되고 투르판시로 승격되었다. == 교통 == 투르판 자오허 공항(IATA : TLQ), [[투루판베이역]]이 가오창구에 위치해 있다. 철도역의 경우 [[투루판역]](吐鲁番站)에 [[란신철도]](兰新铁路)가 지나가고 [[투루판베이역]](吐鲁番北站)에 [[란신고속철도]](兰新客运专线)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