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툰)]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ToonAlligator-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툰 앨리게이터'''|| || 일어판 명칭 ||<-4>'''トゥーン・アリゲーター'''|| || 영어판 명칭 ||<-4>'''Toon Alligato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물 || 파충류족 || 800 || 1600 ||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수비 표시로 소환된 바로 다음 턴에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루드 카이저|루드 카이저]]의 공격으로 참수되었다. 이후로도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페가수스가 듀얼을 할 때마다 높은 빈도로 소환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도 페가수스[* 사실 그 정체는 페가수스로 변장한 [[아멜다]].]가 마찬가지로 [[카이바 세토]]와의 2차전 듀얼 중 첫 턴에 소환한 것으로 등장하며, 이번에는 [[스피어 드래곤]]의 공격에 재가 되며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도 역시 페가수스가 [[크로노스 데 메디치]]&[[나폴레옹(유희왕)|나폴레옹]]과의 3vs1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소환 후 다음 턴에 [[툰 블랙 매지션 걸]]의 제물이 되었다. 작중에서는 그래도 희귀한 편인지 소환되었을 때 [[마루후지 쇼]]가 처음 보는 몬스터라 하기도 했고, [[티라노 켄잔]]은 '귀여운 파충류'라고 평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ToonAlligator-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툰 앨리게이터'''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トゥーン・アリゲーター'''|| || 영어판 명칭 ||<-4>'''Toon Alligato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물마족 || 파충류족 || 800 || 1600 || ||<-5>미국 코믹 세계에서 나타난 악어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95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툰 앨리게이터, 일어판 명칭=トゥーン・アリゲーター, 영어판 명칭=Toon Alligator, 레벨=4,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800, 수비력=1600, 효과외1=미국 코믹 세계에서 나타난 악어 몬스터.)] 1기에서 등장한 파충류족 중에서는 수비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 레벨 4 파충류족 [[일반 몬스터]]지만, 그 어정쩡한 능력치로 인해 활약하기는 어렵다. 파충류족 일반 몬스터로서 활용하기엔 일단 같은 레벨 4에 [[에일리언 솔저(유희왕)|에일리언 솔저]]라는 하이 스탯 몬스터가 있기에 경쟁이 어려운 편. 그렇다고 물 속성인 것을 활용하자니 같은 일반 몬스터 / 레벨 4 / 물 속성 / 파충류족엔 이미 [[가가기고]]가 바로 뒤이어 존재한다. 그나마 높아 보이는 척하는 수비력에선 또 [[베놈(유희왕)|베놈 코브라]]가 수비력 2000으로 압도. 때문에 순수 스탯만으로는 같은 종족 카드에게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그야말로 고대의 카드답게 씁쓸한 운명의 카드. 어떻게든 활용도를 찾아보자면, 일단 '툰' 카드이기 때문에 툰 목차의 효과 범위에 들어가며, 도서관 엑조디아나 과거 마도 덱 같은 테마에서 툰 목차의 마지막 효과 발휘 시에 서치용으로 사용을 할 수는 있...겠으나 이 카드 말고도 다른 걸출한 하급 툰 몬스터들이 많기에 그것마저도 불가능. 다른 활용도로는 일반 몬스터의 장점 중 하나인 '예상외'의 대상이 된다는 것 정도. 물론 파충류 덱에서 쓰기엔 위에서 말한 에일리언 솔저와 가가기고가 있기에 두각을 드러내진 못하고, 그나마 툰 덱에서 툰 인어의 특수 소환 효과와 같이하여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노리는 것도 방법이다. 특히 툰 인어와 이 카드 둘 다 물 속성이기에 [[바하무트 샤크]]를 불러 [[떡 깨구리]]로 집짓기에 들어가는 것도 가능. 물론 이런 활용을 한다 해도 정작 대부분의 툰 카드들은 '툰 몬스터'를 서포트하기에, 오히려 덱의 자리만 많이 잡아먹고 쓸만한 연계는 되지 않는 게 현실. 정통 툰 덱보다는 변칙형 툰 덱에 투입해야 그나마 활용될 것이다. 그 악명 높은 [[떡 깨구리]]가 발매되고 나서 이 카드가 툰 인어와 함께 괴상한 쓰임새(?)로 채용되기 시작했는데, 일단 이 카드와 툰 인어 둘다 물 속성이라서 [[바하무트 샤크]]를 소환할 수 있는 데다가 둘 다 [[툰 목차]]의 서치 대상에 해당되기도 하고 툰 인어의 경우는 필드에 툰 월드만 있다면 그냥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바하무트 샤크를 생각보다 쉽게 부를 수 있다. 당연히 이에 따라 떡 깨구리도 자동 소환. 참고로 이 카드는 룰상 '''툰 몬스터가 아니다.''' 위의 어떤 종류의 툰에도 속하지 않는 그냥 평범한 일반 몬스터이다. 카테고리로서의 툰 몬스터(카드에 [XX족/툰]이라고 써있는 몬스터)는 아니기 때문에 카드 텍스트에서 '툰 몬스터'를 따지는 경우 이 카드는 상관없는 카드가 된다. 다만, 카드군으로서 툰을 지정하는, 즉, "툰"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8기) 혹은, "툰" 카드(9기~)라는 텍스트가 적혀있는 경우엔 이 카드도 혜택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사실 이 카드야말로 최초로 발매된 "툰"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였기 때문이다. 일본판 기준 1기 시절 Vol.7에서 나왔고, 다음에 일본판 기준 2기 팩 [[파라오의 사도]]에서 나온 게 위의 특수 소환 몬스터들이다. 일단 툰은 툰이고 페가수스가 쓰기도 한 카드이기 때문에 스트럭처 덱 페가수스편에 재록되긴 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7]] ||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PE-07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Starter Deck: Pegasus]] || SDP-00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Speed Duel Starter Decks: Destiny Masters || SS01-ENC02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Starter Decks: Match of the Millennium || SS04-ENB03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Demo Deck 2020 || DEM6-EN006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Duelists: Season 1 || LDS1-EN052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스트럭처 덱 -페가수스 편-]] || SDP-KR00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툰, version=938)] [[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