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external/cdn.gamemeca.com/blue-meca-1003-252.jpg|width=500]] Map Size: 128×128 TileSet: Twilight Players: 3 == 소개 ==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피디팝 MSL]] 공식맵. 맵퍼 [[송기범]]이 제작한 몇 안되는 컨셉맵 중 하나이다. [[플라즈마(스타크래프트)|플라즈마]]에서 처음 등장한 지형 지물인 중립 에그를 강화하여 클로킹 에그[* 중립 에그 12개로 길을 막고 그 위에 중립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비터]]를 배치해 에그를 클로킹.]라는 신개념 크립을 도입했다. [[MSL]]에서는 보기드문 컨셉맵. 12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중립 클로킹 에그를 뚫고 가기가 어려워서 하나대투증권 MSL 8강 [[차명환]] vs. [[김윤환(1989)|김윤환]] [[http://blog.naver.com/chldlfdnd123/100189280929|경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구성훈]] vs. [[윤용태]]의 [[http://www.youtube.com/watch?v=FNyvzRx3CQ8|8강전]]에서는 구성훈의 절묘한 심시티로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시즈 탱크]] 2대로 [[광전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질럿]] +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s-1|드라군]] 2부대에 가까운 병력을 막아낸 적이 있다.[* 그리고 [[구성훈]]은 지켜낸 12시의 누클리어 사일로를 바탕으로 핵 테러를 했다… 하지만 4시 뒷마당에 핵을 날리는 과정에서 컨트롤 미스로 모아둔 레이스를 잃는 실수를 해서 게임은 패배했다.] 에그와 미네랄 사이에 자원 수치 0짜리 미네랄이 있어서 일꾼은 사이로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지만 다른 유닛들은 에그를 파괴하지 않는 이상 지나갈 수 없어서 방어가 힘든 구조다. == 대표 경기 == 위에서 언급하듯이 12시의 드론 밀치기가 약간 까다로운데 위치별 유불리를 따질 정도가 아니다. 즉, 연습만 조금 했으면 문제가 없다는 얘기인데 [[하나대투증권 MSL]] 8강 [[김윤환]] vs. [[차명환]] 경기에서 [[차명환]]이 밀치기가 안 된다며 항의를 한 해프닝이 있었다. 하지만 옵저버와 일반 유저들의 실험으로 밀치기가 안 된 건 차명환\의 컨트롤 실수로 밝혀졌고 차명환은 가루가 될 때까지 까일 뻔했지만 되려 [[MSL]]이 까였다(…). 그 해프닝 이틀 뒤에 [[구성훈]]이 12시 뒷마당 [[몰래멀티]]로 [[차명환]]을 디스했다(…).[* 여담이지만 이 경기때 윤용태가 12시에 맹렬한 공세를 퍼부었지만, 구성훈은 끝내 공세를 저지했다. 다만, 그날 경기에서 수차례 리콜 공격을 받으면서 큰 타격을 입고 패배했다.] 본진간 러시 거리가 상당히 멀지만 저그에 유리할 정도는 아니다. 그래도 모든 멀티가 가스 멀티고 8시 뒷마당은 다른 스타팅 뒷마당과 다르게 [[뮤탈짤짤이]]가 되는지라 밸런스가 걱정되는 상황이었는데 저그들이 뮤탈을 쓸 생각을 안 했다. 32강 끝났을 때 여기서 플레이한 저그들은 모두 히드라 러커 쓰다가 꼴랑 1승 했다. 그것도 토스상대로…. [[이제동]]마저 뮤탈을 거의 한방러시 개념으로 쓸 정도이니 말 다했다. 중립 아비터도 마나가 차기 때문에 프로토스가 다크 아콘으로 마인드 컨트롤 해버리면 캐사기가 되는 게 아니냐라는 얘기도 있지만, 스킬 리서치가 안 돼있다면 말짱 도루묵. 아비터 존재의 의의는 스킬이지 은폐장이나 공격 능력이 아니다. 물론 은폐장도 좋기야 하지만 [[다니모스]]가 아닌 이상 아비터의 공격 능력으론 은폐장을 얼마 유지하지도 못하고 바로 펑.덕분인지 당시에는 프로토스들이 중립 아비터 활용을 거의 활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윤용태]]는 [[구성훈]]과의 경기에서 아비터 트리뷰널만 올려두고 스타게이트에선 다른 걸 뽑으면서 중립 아비터를 마인드 컨트롤하며, 결과적으로 한 타이밍 빠른 아비터 테크를 사용하기도 했다. 일단 마인드 컨트롤로 가져간 뒤 빠르게 스킬 리서치만 완료한다면 마나 꽉 찬 아비터를 빨리 확보할수 있기 때문에 좋은 편이었다. 이는 [[중재소|아비터 트리뷰널]] 건설 후 첫 아비터를 뽑는 시간(160초)보다 스테이시스필드(100초)나 [[소환(스타크래프트 시리즈)|리콜]](120초)을 개발하는 시간이 빠르고 첫 아비터가 에너지(스테이시스 필드 100, 리콜 150, 아비터 초기 에너지 50) 차는 데 필요한 시간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테이시스 필드는 약 94초, 리콜은 약 150초 더 빨리 쓸 수 있다. [[차명환]]과 [[김명운]]은 MSL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7RiP_XnebYM&ab_channel=MinAn|빅파일 MSL 패자전]]과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30545854|4강전 2세트]],총 2번을 이 맵에서 대결했는데, '''두 경기 다 하이브까지 가면서 치열한 [[히드라러커]] 싸움이 벌어졌다'''. 맵의 특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하나대투증권 MSL]] 이후 화제에 오른 경기들은 대부분 이 맵에서 나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트라이애슬론, version=30)] [[분류:트라이애슬론]][[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