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 시리즈)] [include(틀:트랜스포머 얼라인드 세계관 작품)] ||<-2>[[파일:external/tfwiki.net/TFRID2015promoposter.jpg|width=400]] || || '''제목''' || 트랜스포머 어드벤처 || || '''원제''' || Transformers: Robots in Disguise || || '''제작사''' || [[해즈브로 스튜디오]] || || '''감독''' || [[https://tfwiki.net/wiki/Adam_Beechen|아담 비첸]] || || '''음악''' || 케빈 맨세이(Kevin Manthei)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5년 초에 방송이 잡힌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트랜스포머 프라임]]의 후속작이며[* 후속작 치고는 [[알시(프라임)|전]][[휠잭(프라임)|작]][[넉 아웃|에]] [[쇼크웨이브(프라임)|있]][[스모크스크린(프라임)|었]][[울트라 매그너스(프라임)|던]] 주요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지 않았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해즈브로 스튜디오]]에서 기획하였다. 전작의 제프 클라인이 개발을 맡았으며 스티븐 멜칭이 스토리 에디터를 맡았다. CG는 전작과 같은 [[폴리곤 픽쳐스]]가 맡았다. == 상세 == 미국에서는 애초에 Hub Network(해즈브로와 디스커버리의 합작)에서 방송할 예정이었으나, 해당 채널의 [[Discovery Family]]로의 개편이 발표된 지 며칠 후 '미국에서는 [[Cartoon Network]]에서 첫 방송할 것'이라는 공식 발표가 나왔다. 이로써 해즈브로 스튜디오가 기획한 프로그램 중 처음으로 미국에서 '예전에 Hub Network였던 곳'이 아닌 __다른 곳__에서 __첫 방송__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해즈브로가 기획한 모든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그동안 미국에선 Hub Network > Discovery Family에서 처음 방송했었다. 한편, 전작인 트랜스포머 프라임은 미국의 지상파 TV 방송망인 [[CW]]의 Vortexx에서 방송한 적이 있다.] 미국에서는 2015년 3월 14일에 첫방송한 뒤 3월 21일에 정규 편성에 들어갔다. 근데 그 전에 중국의 어느 사이트에서 합법적으로 2014년 12월 31일에 첫 13편을 유료회원에게 먼저 공개했다 2015년 1월 중순에 비회원 무료공개로 전환했으며 ~~[[대륙의 기상]]~~, TV에서는 프랑스에서 2월 9일에 세계 최초로 방송됐고, 영어권 나라 중에는 처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월 21일에 방송에 들어갔다. 코믹스도 있는데 그 세세한 내용과 작화의 갭이 큰 편. [* 실제로 애니메이션 관련 코믹스는 공식 애니메이션와는 독자적인 외전으로 보는 편이 많다. 즉 설정만 서로 똑같을 뿐 스토리는 서로 다르다는 것] 지구에 있는 범블비 팀의 능력을 보고, 범블비에게 지구에 있는 디셉티콘 죄수 체포를 맡기고 다시 사이버트론으로 떠난다. 2017년 11월 4일(영국) 시즌4 26화 (71화)로 시리즈가 종영되었다.[[http://tfwiki.net/wiki/Freedom_Fighters|#]] == 등장인물 == === [[오토봇]] === * [[범블비(프라임)#s-2.8|범블비]] * [[사이드스와이프(RID)|사이드스와이프]] * [[픽싯]] * [[스트롱암]] * [[그림록(RID)|그림록]] * [[드리프트(RID)|드리프트]] * 슬립스트림 [[파일:AkzWiaP.jpg|width=300]] 성우는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 [[유센 이사무]] / [[김현구(성우)|김현구]](투니버스), [[김기철(성우)|김기철]](대원방송). 드리프트의 제자. 드리프트의 오른팔에 장작하는 [[수리검]]으로 변신한다. 무기는 [[나기나타]]를 쓰며 [[일본갑옷]]풍에 제트스톰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배색에 붉은색이 더 많고 각이 졌다. 원래는 좀[[도둑]]이였으나 드리프트에게 발견되고 드리프트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제자가 된다. * 제트스톰 [[파일:QimB8ZX.jpg|width=500]] 성우는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 [[하타나카 타스쿠]] / [[김지율]](투니버스), [[고성일]](대원방송). 드리프트의 제자. 드리프트의 왼팔에 장작하는 수리검으로 변신한다. 무기는 [[쌍절곤]]을 쓰며 슬립스트림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배색에 검은색이 더 많고 둥글다. 원래 슬립스트림과 함께 좀도둑이였으나 드리프트를 만나고 개심해 제자가 됐다. 정중하고 예의바르지만 느긋하고 차분한 슬립스트림과는 다르게 조금 성급하고 충동적이다.[* 첫 등장에서 변신 풀고 땅에 착지 할 때 슬립스트림은 손바닥을 땅에 집고 균형을 잡지만 제트스톰은 착지 실패하고 굴렸다.] 그래서인지 둘의 협동도 슬립스트림이 리드하는 편. 드리프트가 엄격해 좀처럼 칭찬해 주질 않는다고 불만을 토로하는데 과보호인 아버지를 둔 러셀과 마음이 맞아 친구가 된다. 프랙처가 인질들을 데리고 협박해 공격하자 '범블비'''만''' 지켜라'라는 드리프트의 명령을 무시하고 슬립스트림과 함께 러셀과 픽싯를 도우러 가, 최종적으로 프랙처의 우주선을 빼앗아 전세를 역전했다. 후의 드리프트의 칭찬을 받고 지구를 떠난다. 17화에 드리프트의 검을 잘못 닦았다는 이유로 가출했다. 나중엔 화해하고 드리프트가 정규 멤버가 되자 슬립스트림과 정규 멤버가 되었다. * [[재즈(WFC)#s-2.6|재즈]] * [[옵티머스 프라임(프라임)#s-2.10|옵티머스 프라임]] * [[윈드블레이드(RID)|윈드블레이드]] * [[라쳇(프라임)#s-2.7|라쳇]] * 언더톤 [[파일:언더톤.png]] 라쳇의 [[마이크론(트랜스포머)|미니콘]]이자 [[닌자]]봇. 라쳇의 팔에 장착하는 수리검으로 변신한다. 위치는 상관 없는 듯. 반역자 신세가 된 라쳇이 정차없이 떠돌다가 우연히 발견해서 데리고 다니는듯 하다. 어쩌다가 만나게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라쳇이 이녀석을 고쳐주어서 그 답례로 라쳇의 미니콘이 되었거나, 아니면 떠돌이생활이 싫었는지 자신과 같은 신세인 라쳇과 어울려 다니는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엄청난 병풍인데 처음 등장할때 라쳇이 들고있던 포드를 받혀준걸 제외하면 정말 존재감이 없다. * [[벌크헤드(프라임)|벌크헤드]] * 블러 성우는 [[맥스 미틀먼]].[* 참고로 일본어판은 성우가 없다. 왜냐면 일본에선 2기로 마무리되었기 때문(...).이는 한국도 동일.] 시즌4에서 등장한다. 레스큐봇으로 활동하다 잠시동안 '팀 범블비'의 인턴으로 활동한다. 첫등장때부터 삐걱대던 다른 팀원들과 달리 첫등장부터 적지않은 경험을 쌓아온 사이드스와이프와 죽이 잘맞았다. 신체스펙 자체는 사이드스와이프 비슷해보인다. * --[[넉 아웃]]-- 그의 비클만 등장한다. * 나이트라(Nightra) * 블래스트웨이브(Blastwave) * 드랍포지(Dropforge) === [[디셉티콘]] === * [[스틸조]] * [[언더바이트]] * [[선더후프]] * [[프랙처]] * 에어레이저 [[파일:b2IFg4p.jpg|width=300]] 성우는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 맘모스 니시오[* [[오버워치]]에서 [[젠야타]]를 맡은 성우다.] / [[손수호(성우)|손수호]]. 프랙처의 미니콘. 프랙처에게 충성하고 있으며 그의 오른쪽 어깨에 장착되는 [[미사일]]로 변신한다. 작고 굵은 상반신에 비해 길고 앏은 절지 동물같은 하반신이 특징. * 다이브봄 [[파일:uqZIJqH.jpg|width=300]] 성우는 카리 페이턴 / [[마츠시마 아키히로]][* [[찹 샵]]의 오른팔도 맡았다.] / [[김지율]]. 프랙처의 미니콘. 프랙처에게 충성하고 있으며 그의 왼쪽 어깨에 장착되는 미사일로 변신한다. 에어레이저보단 인간형에 가깝지만 더 날카롭고 [[원숭이|영장류]]같이 긴 팔이 특징. * [[클램프다운]] * [[찹 샵]] * [[킥백(프라임)#s-3|킥백]] * [[오버로드(RID)|오버로드]] * [[세이버혼]] * [[크레이지볼트]] * 슬라이스다이스 [[파일:external/tfwiki.net/TRID_E_30_Slicedice_Robot_Mode.jpg|width=400]] 성우는 게리 앤서니 윌리엄스 / [[오치아이 코지]].[* 수도와 중복. [[트랜스포머 G1]] 미방영분에서 [[스파이크 윗위키]], 크렁크를,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는 [[휠리(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휠리]]를 맡았다.] 크레이지볼트의 미니콘. 양쪽의 눈동자 색이 서로 다르다. 크레이지볼트를 천재라고 칭하며 크레이지볼트가 하는말에 맞장구를 쳐주거나 크레이지볼트와 대화하는 상대에게 예의를 갖추어라는 등 크레이지볼트를 전적으로 따르고있다. 크레이지볼트의 등을통해 들어가 발사가 가능하지만 어째서인지 한번도 명중한적이 없다. 완구에서 묘사될때는 구 형태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각진 캡슐형태로 등장한다. * 글로우스트라이크 성우는 [[그레이 그리핀]][*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는 [[알시(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알시]]를 맡았다.] / 사타케 카이리. * 스콜포녹 성우는 [[빅터 브랜트]] / [[코마야 마사오]][* [[트랜스포머 3]]에서는 [[레이저비크(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레이저비크]]를 맡았다.]/[[김용준(성우)|김용준]] * [[사운드웨이브(프라임)#s-1.7|사운드웨이브]] * [[스타스크림(프라임)#s-1.9|스타스크림]] * [[스턴티콘(RID)|스턴티콘]] * [[사이클로너스(WFC)|사이클로너스]] * [[트랜스포머: 로보츠 인 디스가이즈(2015년)/기타 디셉티콘|그 외 디셉티콘들]] === [[인간]] === * 러셀 클레이 [[파일:external/tfwiki.net/WWOD_McPlank.jpg|width=300]] 성우는 스튜어트 앨런 / [[무라나카 토모]] / [[안영미(성우)|안영미]](투니버스), [[윤성혜]](대원방송). 오토봇과 처음 만난 지구인 소년. 원래 어머니랑 같이 살고 있었으나 어머니가 [[덴마크]]로 출장을 가버렸기 때문에 아버지에게 맡겨저 있다. 오토봇을 보고 놀라긴 했지만 허물없이 지내며 오토봇들의 존재가 들키지 않게 재치를 발휘하는 성숙한 면도 있다. 극 중에선 디셉티콘도 [[야바위]]로 속이고 겁이 없다고 하며 '''정말 겁도 없는''' 모습도 보인다. 단 아버지가 디셉티곤에게 잡히거나 위험에 빠질 때 당황하거나 겁을 먹긴 하다. 아버지에 관한 건 좋아하지만 아버지의 할머니같은 취향은 격렬히 싫어한다. 아버지와 투닥투닥할 때도 있지만 그래도 러셀에게는 소중하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더니 데니와 똑같이 변장술에 뛰어나다. 오토봇들 중 사이드스와이프를 처음 만났는데 마음도 잘 맞는 편. * 데니 클레이 [[파일:external/tfwiki.net/Sideways_Denny_with_Hunters.jpg|width=300]] 성우는 테드 맥긴리 / [[키타다 마사미치]][* [[트랜스포머 5]]에서는 산토스를 맡았다.] / [[선호제]](투니버스), [[김용준(성우)|김용준]](대원방송). 러셀의 아버지. 러셀을 '러스티'라고 부르며 사랑하는 [[아들바보]].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아내와 러셀과는 같이 살고 있지 않고 별거를 하고 있었다.[* 작 중에서 어릴 때 같이 있어주지 못했다고 말하는걸 보면 아마 [[이혼]]한 듯. 아니면 과거에 무슨 일을 한거나.] 냉장고나 도기제 장식물같은 평범한 폐품부터 캠핑카나 보트같은 대형 폐품, 그리고 작은 가게'''들'''을 폐품회수업을 하며 자기 취향으로 봐꾸며 재판매하는 [[공돌이]]. 친절한 성격으로 오토봇들의 작전에 협력하며 오토봇들이 디셉티콘을 체포할때 근처에서 출입 금직 구역이나 영화 촬영이라며 사람들의 의심을 피하게 도와준다. [[변장]]술에도 뛰어나다. * 행크 성우는 베일리 감바토글리오 / [[사토 미유키]]. 본명은 헨리에타. 러셀의 단짝이며 같은 풋볼을 하는 여자아이다. 보이시한 외모인데 의외로 머린 긴 편. 아직까지는 오토봇의 정체를 모르는 듯 하다. * [[잭슨 다비]], [[라파엘 에스키벨]], [[나카다이 미코]] 등장하지는 않지만 시즌 2 10화에서 범블비가 사차원에 갇혔을 때 그들이 어떻게 했는지 생각해보면서 그들을 언급했다. === 기타 === * [[마이크로너스 프라임]] * [[메가트로너스(WFC)|메가트로너스]] * [[벡터 프라임]] == 영상 == * 시즌 1 예고편 [youtube(1KjHtPfhHCg)] * 시즌 2 예고편 [youtube(47YLHT69OO4)] == 미국 외 방영 == === 일본 === 일본어판의 제목은 '''[[트랜스포머 어드벤처]]'''(トランスフォーマーアドベンチャー). 어째서인지 지상파가 아닌 케이블 채널 [[애니맥스]]에서 3월 15일부터 방송을 시작하고. 20일 부터는 유투브와 니코니코동화에서도 방송을 시작하였다. 오프닝과 엔딩이 새로 제작됐는데 오프닝은 영상은 본편 영상에서 편집한 영상[* 새롭게 그려진 작화가 있긴하다.]인데, 엔딩은 '''[[3D]][[엔딩 댄스]]'''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dZE2jqYoTTc|영상]]. 노래도 대놓고 일본풍이여서 좀 많이 깬다.(...) 그리고 2기는 트랜스포머 어드벤처 프라임 오브 마이크론(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アドベンチャー -マイクロンの章-)으로 방영했다. === 한국 === 한국에선 [[투니버스]]를 통해 2015년 4월 25일 토요일 오후 6시에 첫 방송했다. 제목은 일본어판을 따랐지만, 영상 및 대사 번역은 영어 원판이 기준이다.[* 영어판 제목이 동일한 [[트랜스포머 카로봇]]은 대사 번역이 일본어판 기준이며 제목인 카봇도 일본판 제목인 카로봇을 줄인 것이다. 어드벤처의 제목이 일본어판을 따른건 아무래도 Robots in Disguise는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알기 쉬운 어드벤처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연출은 [[김이경(PD)|김이경]] PD. 그러나 성우진에 대해선 범블비와 옵티머스가 최소한 [[강수진(KBS 성우)|전작]] [[성완경|성우]]로 캐스팅이 되길 바란 사람들이 꽤 있었는데 정작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성우진]]로만 이루어져서 아쉬움을 드러낸 사람들도 있다. 1기의 첫 13회만 먼저 도착해서인지 중간에 쉬었으나, 2015년 8월 29일 부터 14회를 방송하면서 나머지 분량을 내보내기 시작했다. 2기 방영예정의 소식이 없다. 그런데 투니버스 홈페이지에 어드벤처 소개 항목이 '''[[망했어요|사라졌다]].''' 사실상 [[조기종영]] 된 것으로 보였으나, [[대원방송]] 계열에서 2016년 6월 3일부터 2기 방영이 재개되었는데, '''성우진이 전부 변경되었다'''. 다만 이쪽은 [[대원방송 성우극회|전속 성우]]의 출연이 아예 없다.[* 프리랜서까지 포함하면 [[최낙윤]], [[이재범(성우)|이재범]], [[강시현(성우)|강시현]]이 출연하기는 했다.] 대신 외부 성우들이 많이 기용되었으며, [[MBC 성우극회]] 성우들이 많다는 것이 특징.[* 그밖에도 투니버스 성우인 [[시영준]]이 출연하였다.] 그런데 스탭롤이 없고, 어디에서 누가 연출을 맡았는지 표시되지 않은 것이 흠. 성우 기용 형태로 보아, 대원방송 외주사인 영상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외주사에서 연출을 맡은 것으로 보인다. 3기는 [[조기종영|결국 방영조차 되지 않았다]]. == 기타 == * 전작 [[트랜스포머 프라임]]이 역대 트랜스포머 TV 애니메이션 중에서 가장 많은 제작비가 투입된 작품인 반면, RID 2015는 [[카툰 렌더링]] 처리와 모델 돌려쓰기를 하는 등 적은 예산으로 가는 듯한 작품 이다. * 영어판과 일본어판에서는 몇몇 디셉티콘들이 지역 [[사투리]]를 쓰지만 한국어판에서는 전부 표준어를 쓴다. * 현지 평균 시청자 수는 90만 명이다. 이는 토요일에 방송되는 어린이 프로그램 중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 [[소닉 붐 시리즈|소닉 붐 TVA]]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시청률이라고 하며, [[트랜스포머 프라임]] 프리미어 때의 28만 명보다 3배 이상 많다. * 디자인이나 내용면에 있어선 시리즈 중에선 꽤 재미있긴 하지만 기존 트랜스포머 팬들에게조차도 호불호가 갈린다. 그 외에도 디셉티콘들 디자인이 열의 아홉은 다 곤충 아니면 동물 또는 수인형이라 수인 애호가들이나 동물 캐릭터 애호가들에게는 초반에 "왜 수인과 동물을 범죄자들로 취급했느냐" "이거 수인혐오 만화냐" 등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그러나 내용이 진행되어 가면서 디셉티콘 중에서 수인형 로봇인 [[스틸조]]나 [[선더후프]] 등을 비롯한 수뇌부나 중간보스격 캐릭들이 일단은 악역임에도 존재감 있고 어느정도 간지있게 나오는 덕에 이러한 의견은 금세 사그라들었다. 게다가 동물 캐릭터형(다이노봇)인 그림록이 오토봇과 활동을 하기 때문에 그것으로도 꽤 괜찮았던 것으로 보인다. * 전작인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워 포 사이버트론]]이나 [[트랜스포머: 폴 오브 사이버트론|폴 오브 사이버트론]]에 등장했던 대부분의 내용을 무시하는 걸로 유명하다. 윈드 블레이드의 설정을 보면 직계로 이어지는 트랜스포머 프라임의 설정마저 무시하는 비범함을 보여둔다.~~평행세계~~ --[[옵티머스 프라이멀|이래도 괜찮은 거냐아아!!]]-- 그림록의 뒷설정을 보면 알곤 있지만 하스브로의 압박으로 어쩔 수 없이 차이를 내는 걸로 보인다. * 전작과 달리 저연령층을 타깃으로 만든것이라서 그런지 전작과 달리 분위기가 매우 가볍고 누군가가 죽는 묘사나 폭력적인 묘사가 없다. 아무래도 죄수를 응징한다기 보다는 그들과 대면하고 역경을 헤쳐나가며 탈옥자들을 재수감 시킨다는 컨셉때문인듯. [* 전작에서 범블비(총살), 테일게이트(사살), 클리프점퍼(사살, [[테러콘|시체능욕]], 시체훼손), 메가트론(사살), 스카이퀘이크(폭사, 시체능욕, 일부사지 절단), 드레드윙(상관에 의한 총살), 하드셸(인간에 의한 사살), 메이크시프트(폭사), 브레이크다운([[에어라크니드|배반자]]에 의한 '''사지분해'''), 그리고 수많은 비콘들이 무슨 짓을 당했나 곰곰히 생각해 본다면(폭사, 참수, 사살, 추락사(...) 심장(스파크)꺼내기, 고문 등등) 본 작품은 수위가 낮아지고 건전해진 것이다.] [각주] [[분류:트랜스포머 시리즈/애니메이션]][[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