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Τρωάδες / The Trojan Women''' [목차] == 개요 == [[그리스 로마 신화]]의 [[트로이 전쟁]]을 소재로 한 [[그리스 비극|비극]]. == 비극 == === [[에우리피데스]] 作 ===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공연된 시기는 [[기원전 415년]]. 에우리피데스가 알렉산드로스와 [[팔라메데스]]에 [[트로이 전쟁]]을 소재로 집필한 세 번째 작품이다. 전쟁에서 패하고 자신들의 운명을 기다리는 트로이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로 남편과 가족을 잃은 여인들이 누구의 전리품이 되었는지와 전후 살해당한 트로이 왕족들의 운명을 보여주고 마지막으로 [[헤카베]]가 성벽에서 던져져 죽은 손자 [[아스티아낙스]]를 묻어주며 끝난다.[* [[아스티아낙스]]의 어머니인 [[안드로마케]]는 자신이 아들을 직접 묻기를 희망했지만, 이미 네오프톨레모스에게 끌려가 헤카베가 묻어야만 했다.] ==== 등장인물 ==== * [[헤카베]] * [[카산드라]] * [[안드로마케]] * 탈티비오스 * [[메넬라오스]] * [[헬레네]] * [[포세이돈]] * [[아테나]] ==== 후속작 ==== ※ 에우리피데스는 트로이아 여인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그 뒷 이야기를 비극으로 집필했다. 아래는 시열대 순으로 기재. * 《[[헤카베]]》 * 《[[헬레네]]》[* 다만 《트로이아 여인》에서 헬레네가 살아남기 위해 옛 남편에게 돌아가 트로이 마저 배신한 여인으로 묘사됐다면, 《[[헬레네]]》에서는 애초에 트로이에 있었던 헬레네가 가짜였고 진짜는 [[이집트]]에 있었다는 설정으로 집필되었다.] * 《[[안드로마케(비극)|안드로마케]]》 === [[세네카]] 作 === [[고대 로마]]의 정치인이자 철학자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세네카]]의 비극. 공연된 시기는 [[1세기]] 중후반. [[에우리피데스]]의 비극과 마찬가지로 전쟁에서 패하고 자신들의 운명을 기다리는 트로이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다. 전체적인 진행은 비슷하다. ==== 등장인물 ==== * [[헤카베]] * [[카산드라]] * 탈티비오스 * [[아가멤논]] * [[네오프톨레모스|피로스]] * [[칼카스]] * [[안드로마케]] * [[아스티아낙스]] * [[오디세우스|율리시스]] * [[폴릭세네]] * [[헬레네]] == 영화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을 원작으로 하여 만든 1971년작 [[영화]]. [[미국]], [[영국]], [[그리스]] 합작 작품이다. === 출연진 === * [[캐서린 헵번]] - [[헤카베]] 역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안드로마케]] 역 * [[준비에브 뷔조]] - [[카산드라]] 역 * [[아이린 파파스]] - [[헬레네]] 역 * [[브라이언 블레시드]] - 탈티비오스 역 * 패트릭 매기 - [[메넬라오스]] 역 === 여담 · 수상 === * 이디스 해밀턴의 번역을 기반으로 했으며, 최대한 극본을 변경하지 않았다고 한다. * [[캐서린 헵번]]은 캔사스 시티 평론가 위원회에서 여우주연상을, [[아이린 파파스]]는 전미 비평가 위원회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관련 문서 == * [[신화 관련 정보]] * [[그리스 로마 신화]] * [[문학 관련 정보]] * [[그리스 비극]] [[분류:그리스 비극]][[분류:1971년 영화]][[분류:그리스 로마 신화/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