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Trill'''}}} == [[음악]] [[용어]] == 악보에 나온 음(으뜸음)과 2도 차이 나는 음, 두 음을 빠르게 반복하는 꾸밈음을 말한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인용) 조표의 조성에 따라 2도 차이 나는 음을 연주 하되, 트릴물결 모양 위에 제자리표나 샵, 플랫이 있을경우 그 임시표에 맞춘 음을 연주 한다. 단순히 2도 차이 나는 음을 흔드는 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주법이 있다. 트릴로 유명한(?) 곡으로, [[주제페 타르티니]]의 '악마의 트릴'이 있다. == [[코리도라스]]의 종 중 하나 == trilineatus. [[라틴어]]로 석 줄이라는 뜻으로 줄여서 트릴이라고 부른다. ==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트릴.EXE)] == [[리듬 게임]] 용어 == 음악용어 트릴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BEMANI|BEMANI 시리즈]]나 [[EZ2DJ]], [[DJMAX 시리즈]]에서 사용한다. 패턴에서 두 트랙에 배치된 노트가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서 나오는 구조. 교차 연타라고도 한다. [[파일:6jFWtri.png]] 대략 이런 형태이다. 트릴을 치다 보면 박자감을 놓치기 일쑤인지라 난이도를 높이는 데 일조할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트릴을 치는 동시에 간격을 미묘하게 조정한다든가 다른 노트를 넣어버리는 등의 변형이 추가되면 더 힘들게 된다.[* 정박노트만 일정하게 끼워넣은 경우 정박노트의 위치에 따라 오히려 쉬워질 수도 있는데, 박자가 헷갈리다가도 정박노트를 확실하게 잡는 것으로 감을 잡기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트릴을 이중으로 배치해놓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평소에 잘 보기 힘든 박자 간격의 트릴도 감을 잃게 하는 데에 일조한다(이쪽은 [[VIRTUAL MIND]]와 I can fly, I've got a reason등이 대표적). 그리고 이 트릴을 치는 와중에 다른 곳에서도 한 손가락 정도로는 커버 못 할 노트가 떨어진다면 한 손으로 트릴을 치고 다른 손으로 나머지를 잡는 '''한손트릴'''이라는 것도 있다. 당연히 그냥 트릴보다도 박자감을 놓치기 쉽고 미스가 나기 일쑤. [[비트매니아]] 2ndMIX의 [[Ska a go go]]라는 곡의 최후반부가 이 트릴 배치로 구성되어 있어서 당시 최고 난이도(그 때는 배속 조정도 없었다)로 군림했다. [[비트매니아 IIDX]]에서는 [[R5]]의 어나더가 10초가 넘는 트릴로 난이도를 높였으며, 그 외에 트릴로 유명한 곡은 [[Get on Beat]] (WILD STYLE), [[DUE TOMORROW]], [[gigadelic]], [[Colors (radio edit)]], [[FEEL IT]], [[Beastie Starter]] 등이 있다. 그리고 비트매니아 GB 초기작에선 OVERDOSER(driving dub mix)와 Luv to me에 스카고고 수준의 트릴이 존재하는데 '''GB 실기로는 절대로 치는 게 불가능하다'''. 그래서인지 이후 시리즈에서는 이런 트릴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DJMAX Portable]]에서는 [[HAMSIN]]의 중반부와 Road Of Death의 초반부가 유명하나, [[DJMAX 시리즈]]의 시스템인 플레이큐 덕분에 [[BEMANI 시리즈]]나 [[EZ2DJ]]보다 트릴을 처리하기 쉽다. [[DJMAX TECHNIKA]] 시리즈에서는 게임 특성상 트릴이 나올 경우 터치 인식 오류 때문에 씹힐 확률이 극히 높기 때문에 콤보 잇기가 다른 의미로 힘들다. 이렇게 씹힘으로 유명한 곡들로는 [[Out of CTRL]] MX 패턴, [[Angel(DJMAX)|Angel]] MX패턴 등이 있다. [[EZ2DJ]]에서는 [[Fire Storm]]의 중반부, [[Hyper Magic]]의 중반부, 그리고 특히 최후반부가 악명 높다. [[EZ2DJ AE]]에서는 [[1950(EZ2AC)|1950]]이 초반 반주가 끝나고 매우 긴 트릴이 배치되어 있다. [[펌프 잇 업]]에서는 게임 특성상 다리떨기 하듯 떨면 되는 쉬운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 때문에 오히려 더 리듬 맞추기가 어렵고, 체력적으로도 부담이 된다. 특히 다른 게임과 달리 '''노트 두 개를 한 발로 처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므로''' 2개-1개-2개-1개같은 모양으로 떨기가 나오면 매우 곤란하다. [[유비트]]에서는 게임 특성상 일정 박자 내에서는 같은 위치에 노트가 연속으로 배정되지 않도록 배치가 되어 있어 다른 리듬게임과 같은 동일 위치를 연속으로 치는 트릴배치는 나오지 않는다. [[리플렉 비트]]에서는 레벨 9 이상의 고난도의 곡이라면 거의 '''필수요소'''.[* 물론 트릴의 비중이 극단적으로 작은 [[HAERETICUS]]나 [[EMPEROR OF THE AVALON]] 같은 예외도 있다.] 초대작부터 손가락을 부러트리는 [[Broken]]부터 시작하여, [[Hollywood Galaxy]],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과 같은 노래들이 악랄한 트릴에 [[롱노트|롱오브젝트]]와 섞여서 구성되어 있다.[* 3TOP이 섞이지 않은 순수 트릴로서는 [[Liberation#s-2|Liberation]]에서 정점을 찍었다. '''32비트''' 트릴 세례가 곡 전체에 걸쳐 두 번이나 쏟아진다.] 거기에 게임 특성상 3TOP과 섞이기도 하거니와, 저스트 리플렉으로 날아오는 경우 체인끼리 서로 교차되는 것을 미처 보지 못하고 '''한 쪽 체인을 다 놓쳐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설사 제대로 보더라도 어느 쪽 체인이 먼저인지 순간적으로 착각하여 대량의 그레이트 또는 굿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노스텔지어 시리즈]]에서는 트릴의 형태가 사뭇 다른데, 다른 리듬 게임에서 양손을 번갈아 가며 치는 패턴을 노스텔지어에서는 트릴이라고 하지 않으며, 모든 트릴은 한 손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도하고 만들어졌다. 트릴 노트라 하여 인접한 건반을 빠르게 번갈아 가며 치는 노트도 있지만, 아래 악곡 목록에는 트릴 노트를 제외하고 까다로운 일반 노트 트릴이 등장하는 악곡을 서술한다. [[DANCERUSH]]에서는 거의 기초 수준의 패턴이며 그냥 발을 리듬감으로 치면 된다. [[태고의 달인 시리즈]]는 비공식적인 기차라는 이름으로 트릴을 칭한다.[* 노트가 가지런히 늘여져 있는 모습이 마치 기차와 흡사해서 붙여진 이름.] 이 패턴이 나왔을 때, 그야말로 탈인간 수준이 아닌 이상 양 손(혹은 손가락)을 번갈아가며 노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16비트 {{{#ff5604 ●●●●●●●●}}} {{{#089bca ●●●●●●●●}}} {{{#ff5604 ●}}}{{{#089bca ●}}}{{{#ff5604 ●}}}{{{#089bca ●}}}{{{#ff5604 ●}}}{{{#089bca ●}}}{{{#ff5604 ●}}}{{{#089bca ●}}} 등의 패턴은 부분적으로 노트 낙하 게임의 트릴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애초에 트릴이 안되면 적응하기 쉽지 않은 게임이다.~~ 모바일 리듬게임에서는 기기를 들고 하는 모바일 게임 특성상 대부분 어려운 패턴은 빠른 양손 번갈아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 양손 번갈아치기에 모두 트릴이란 이름을 붙이면 트릴이 아닌 패턴이 동시치기, 따닥이 및 연타밖에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예시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예시를 서술할 때에는 16비트 이상의 빠른 속도로 두 __같은 위치__를 번갈아 치는 패턴이 있으면서 __가장 어려운 패턴이 번갈아치기 패턴일 경우__에만 서술하고 이외에는 서술하지 않는다. === 트릴로 유명한 음악게임 악곡들 === 트릴이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거나, 트릴곡으로 유명한 곡은 '''굵은 글씨'''로 서술해주세요. ==== [[BEMANI|BEMANI 시리즈]] ==== ===== [[beatmania]] ===== * '''[[Ska a go go]]''' * [[deep in you]] * [[GENOM SCREAMS]] * MANMACHINE PLAYS JAZZ * [[DENIM]]'''(어나더 한정)''' * THE EARTH LIGHT * [[PINK DREAM]] * NEW WORLD * TEAR IT UP * LIQUID RAIN ===== [[beatmania IIDX]] ===== * '''[[5.1.1.]]''' * '''[[R5]]''' * [[THE SAFARI]] * [[Get on Beat]] (WILD STYLE) * [[FEEL IT]] * [[泰東ノ翠霞]] * [[gigadelic]] * [[DUE TOMORROW]] * [[V2(BEMANI 시리즈)|V2]] * [[Beastie Starter]] * '''[[Liberation]]''' * [[不沈艦CANDY]] * [[Verflucht]] * [[Set U Free feat. Kanae Asaba]] ===== [[DanceDanceRevolution]] ===== * [[Across the nightmare]] * [[Anti-Matter]] * [[Elemental Creation]] * '''[[Horatio]]''' * [[Pluto Relinquish]] * [[printemps]] * [[V(BEMANI 시리즈)|V (for EXTREME)]] * [[ビューティフル レシート]] ===== [[팝픈뮤직]] ===== * @n H@ppy Choice * [[asteer]] * '''[[Desire]]''' * [[fffff]] * [[fffff|fffff op.2]] * '''[[HYENA]]''' * '''[[MANA(BEMANI 시리즈)|MANA]]''' * MY * '''[[STULTI]]''' * '''[[ULTRA BUTTERFLY(坤剛力)]]''' * '''[[V]]''' * '''[[螺子之人]]''' * '''[[僕ガ壊レル前ニ]]''' * [[繚乱ヒットチャート]] * [[灼熱Beach Side Bunny]] * ヴェルヴェットバレット * [[ガッテンだ!!]] * ギターケンドー * [[スーパーモグー]] * [[ブタパンチのテーマ]] ===== [[사운드 볼텍스]] ===== * [[Hellfire(BEMANI 시리즈)|Hellfire]] * [[The world of sound]] * [[World's end(BEMANI 시리즈)|World's end]] * [[XyHATTE]] * '''[[Blastix Riotz]]''' * [[Black Emperor]] * '''[[Lachryma《Re:Queen’M》]]''' * [[A Lasting Promise]] * [[Divine's:Bugscript]] * [[voltississimo]] * [[For.*tune]]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fallen leaves]] *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2.2.2|'''木枯らしのエチュード''']] *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3.2.3|協奏曲第4番ヘ短調 RV 297「冬」より第一楽章]] {{{#BB1616,#EA4F4F Expert}}} * [[virkatoの主題によるperson09風超絶技巧変奏曲]] *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3.3.1|'''協奏曲第2番ト短調 RV 315「夏」より第三楽章''']] * [[ピアノ体操第一]] *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4.2.11|ピアノソナタ「ヴァルトシュタイン」第1楽章]] * [[交響詩 「魔女狩り」]][* 일반적인 트릴 외에도, 양손을 이용한 겹트릴이 두 번 등장한다.] * [[Ave]] *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4.2.17|'''フィガロの結婚序曲''']] {{{#BB1DB9,#E75FE3 Real}}} ==== [[펌프 잇 업]] ==== * [[진공]] * [[소서리스 엘리제]] * [[Cleaner]] * [[Bemera]] * [[Rock the House]] [* 정공법으로는 밟기 '''매우''' 힘든 32비트 트릴이 존재한다] * [[WI-EX-DOC-VA]] [* 다리를 찢어서 트릴을 처리해야 한다] * [[Windmill]] * [[Guitar Man]] * [[Trato De No Trabarme]] ==== [[EZ2AC 시리즈]]/[[EZ2ON 시리즈]] ==== * EZ2DJ 1st trax Special Edition * [[R.D.M.]] * EZ2DJ 4th trax * [[Fire Storm]] * EZ2DJ Platinum * [[Riff Guy]] * EZ2DJ 7th trax 1.5 * '''[[Hyper Magic]]''' * EZ2DJ Azure Expression * [[AXIS(EZ2AC)|AXIS]] * [[1950(EZ2AC)|1950]] * EZ2AC Evolve * [[Repulse Stream|Repulse Stream(RAVEN@TION REMIX)]] ==== [[DJMAX 시리즈]] ==== * [[Electronics]][* 포터블 시리즈 한정. 테크니카에서는 연타곡이다.] * '''[[HAMSIN]]''' * [[Your Own Miracle]] * '''[[Super Lovely]]''' * '''[[Misty E'ra 'Mui']]''' ===== 레이저 ===== DJMAX 시리즈의 5키는 기본적으로 가운데 라인을 양손이 공유하고, 이에 따라 키 두 개를 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법 특성상 3번 라인에 빠른 속도의 연타가 쏟아지는 패턴이 존재하는데, 이를 레이저라 한다. 겉모습은 연타이지만, 실상은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도록 의도된 트릴 패턴에 더 가깝다. 다음은 [[DJMAX RESPECT V]]에서 레이저가 메인으로 등장하는 악곡의 목록이다. * '''[[Road Of Death]]''' * [[v o l d e n u i t]] * [[Mammal]] * [[유령(DJMAX)|유령]] ==== [[SUPERBEAT : XONiC]] ==== 게임 특성상 전체적으로 트릴이 많이 나온다. 그 중에서 가장 악랄한 트릴곡만 기술. * [[Black Inked Skin]][* 후살로 나오는 트릴이 압권. [[BEATCRAFT CYCLON]]에서도 트릴곡으로 악명 높았다.] * [[Dimension Detonator]][* 특히 6TRAX.] * '''[[MATADOR]]''' * Moonlight Sonata 3rd Movt. ==== [[DEEMO]] ==== * '''[[Altale]]''' * [[Holy Knight]] * '''[[Almighty|L7: Legion]]''' * '''[[Lune]]''' * [[Music. The Eternity of Us]] * [[Reverence]] * [[Saika]] * [[Sairai]] * [[Sacred]] * [[Shedding Season]] * [[Witch's Invitation]] * [[Future World]] * [[VIVERE LA VITA|vivere la vita]] * [[Wicked Fate]] * '''[[PUPA/리듬 게임 수록|PUPA]]''' * '''[[Ragnarok(Rayark)|Ragnarok]]''' * '''[[Amber Wishes (Deemo edit)]]''' * '''[[Longinus]]'''[* Deemo 트릴 곡의 끝판왕.위의 Amber Wishes의 강화판 취급을 받는다.] * '''[[Parodia Sonatina Var.II]]'''[* Deemo 트릴 곡의 끝판왕 2. Deemo 수록곡 중에서는 이 곡의 트릴이 가장 어렵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Marigold(Rayark)|Marigold]]'''[* Deemo 트릴 곡의 끝판왕 3.] ==== [[Cytus]] ==== * [[Holy Knight]] * [[Violet]] * '''[[Solar Wind]]''' * '''[[L2A]]''' * [[Prismatic Lollipops]] * [[Total Sphere]] * [[Oriens]] * [[Future World]][* 이쪽은 디모에 있는 곡 형태에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 '''[[Halcyon]]''' * '''[[Sweetness and Love]]''' * [[The Blocks We Loved]] * [[Afterglow]] * 7.0 업데이트 이전의 [[Entrance]][* 7.0 업데이트 채보 수정으로 인해 트릴이 주력인 곡이 아니게 되었다.] * [[Morpho]] * [[VitMaster]] * [[Bloody Purity]] ==== [[Cytus II]] ==== * [[Super attractor]] * [[Chrome VOX]] * [[Dropping Lightspeed]] * [[Liberation(Rayark)|Liberation]] * [[Ramen is God]] * [[Re:VeLΔTiØN ~光道ト破壊ノ双白翼~ ]] * [[Bone Born Bomb]] * [[Re:incRnaTiØN ~夕焼ケ世界ノ決別ヲ~]] * [[Make Me Burn]] * [[Pure Powerstomper]] * [[CHAOS(Rayark)|CHAOS]] * [[The Devil Will Pray]] * [[honeykill]] * [[Alexandrite(Rayark)|Alexandrite]] * [[V.]] * [[99 Glooms]] * [[FREEDOM DiVE]] * [[iL]] * [[VIS::CRACKED]] * [[SAMURAI]] * [[Violet(Rayark)#C2|Violet]] * [[Xiorc]] * [[REBELLIUM]] * [[Floor of Lava]] * [[Demetrius]] * [[CODE:RED]] * [[Rebellion Trigger]] * [[History DstrØyeR]] * [[Elysian Volitation]] * [[Re:The END -再- ]] * [[Lamentation]] * [[Aragami#Cytus II|Aragami]] * [[Lucid Traveler]] * [[Grievous Lady#Cytus II|Grievous Lady]] * [[GLORY : ROAD]] ==== [[팝스테이지]] ==== * '''Mercury''' 초기 패턴[* 하이퍼하드 패턴이 32비트 트릴로 악명이 높았고[[https://youtu.be/O0e5Yj-WGKc|#]], 이후 패치를 통해 너프당했다.] ==== [[Dynamix]] ==== * [[Vengeance]] --얘는 계단 아닌가-- * [[Shinobi (Original Short Mix)]] * [[Gallium Arsenide]] * [[Libra]] * [[Nanohemu]] * [[Ornament]] * '''[[GOEMON]]'''[* BPM 208의 속도로 '''24비트'''가 쏟아진다.] * [[Cryonix]] * '''[[diSTractiOn PoInT]]'''[* 하이라이트 도입부의 8비트에서 32비트로 차례차례 올라가는 '''변속 트릴'''이 압권이다.] * [[Dement -After Legend-]] * [[PUPA]] * '''[[The Path]]'''[* 역방향 견제(역견제)로 유명하다.] * '''[[Spooky Macaron]]''' ==== [[Arcaea]] ==== * [[Sheriruth]] * [[Lethaeus]][* 이 게임에서 흔히 나오는 따닥이를 트릴로 치는 패턴이 가장 먼저 나온 곡이다.] * [[Modelista]] * [[Flashback]] * [[Nirv lucE]] * [[GLORY : ROAD]] * [[Grievous Lady]] * [[Singularity]] * [[γuarδina]] * [[Halcyon]] * [[Ether Strike]][* 초반부 5:3 스윙리듬 기반 복합 트릴에서 세부판정이 깎이는 경우가 많다.] * '''[[Fracture Ray]]'''[* 16, 32, 24비트가 섞인 트릴, 10, 14, 20비트 트릴, 32비트 트릴 같은 정확하게 치기 어려운 트릴이 많다.] * [[Alexandrite]] * [[La'qryma of the Wasteland]] {{{#red (BYD)}}} * [[Xanatos]] * '''[[Heavensdoor]]''' * '''[[Heavenly caress]]'''[* 최후반에 241bpm 16비트 트릴이 압권.] * '''[[Einherjar Joker]]'''[* Fracture Ray의 32비트 트릴 5타 다음으로 빠른 트릴이 이 곡의 BPM 222 24비트 트릴 7타이다.] * [[Lost Desire]] * '''[[Dantalion]]'''[* 최후반부에 트릴로 치면 매우 큰 손이동을 요구하는 구간이 나온다.] * [[#1f1e33]] * '''[[Tempestissimo]]''' {{{#red (BYD)}}} * [[Purgatorium]] {{{#red (BYD)}}} * '''[[ω4]]''' * '''[[AMAZING MIGHTYYYY!!!!]]''' * [[Misdeed -la bonté de Dieu et l'origine du mal-]] * '''[[Aegleseeker]]''' * '''[[Abstruse Dilemma]]''' * [[GENOCIDER]] * '''[[Sheriruth (Laur Remix)]]''' * [[lastendconductor]] {{{#red (BYD)}}} * '''[[Pentiment]]''' {{{#red (BYD)}}} * '''[[Arcana Eden]]''' {{{#red (BYD)}}} * '''[[Testify]]''' {{{#red (BYD)}}}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 [[LOUDER]] * '''[[Y.O.L.O!!!!!]]''' * [[Paradisus-Paradoxum#s-2.2.6|Paradisus-Paradoxum]] *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 * [[브리키의 댄스#s-3.1.2|브리키의 댄스]] * [[Keep Heart]] * '''[[SENSENFUKOKU]]''' ==== [[Phigros]] ==== * [[Spasmodic]] * [[Eltaw]] * [[风屿]] - AT난이도 한정. ==== [[CHUNITHM]] ==== * [[Genesis(CHUNITHM)|Genesis]] * [[紅]] ==== [[태고의 달인 시리즈]] ==== * '''[[말랑말랑 전차#s-3.2|말랑말랑 전차(裏)]]'''[* [[말랑말랑 전차#s-3.2.2.1|채보]]를 보면 알겠지만, 이 곡은 초반부터 기차가 나오며, 무려 '''한 번에 24마디''' 동안 노트가 쉬지 않고 총 두번씩이나 나온다. 체력이 없으면 풀콤보는 커녕 판정도 잡기 힘들어진다.] == DJMAX Trilogy == [[DJMAX Trilogy]]를 줄여서 트릴로지, 더 줄여서 트릴이라고도 한다. 3번 문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연주법]][[분류:리듬 게임 특수 채보]]